• 제목/요약/키워드: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31초

멀티미디어 활용(活用)을 위한 유아교육(幼兒敎育) 환경(環境) (A Study on the multimedia settings in Kindergarten)

  • 주영주;곽은순
    • 교육시설
    • /
    • 제9권2호
    • /
    • pp.37-50
    • /
    • 2002
  • Computers have become an indispensable part of everyday lives in 21st century. This is particularly tru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multimedia use in kindergarten has rapidly grown in the last decade. Although ample research had been done on the issues of teachers' role in multimedia settings and selecting quality materials, few studies have been done on the proper environment for multimedia us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his regard, this research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multimedia use-animated illustration films, CD-ROM titles, and internet-in kindergarten. In addition, computer environment in kindergarten is investigated in order to provide guidelines for appropriate facilities and equipments. For smooth integration of computer activities into a school system, computers are located in ordinary classrooms in more than half of kindergarten in Seoul. Computers are used in independent lab settings in the last of the kindergarten in Seoul and there are four different types of lab settings. Among them computer at perimeter style is preferred for the ease of student-teacher, and student-student interactions.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cannot be overestimated. It is so critical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that the people in this field regard the environment as 'the third teacher' next to parents and teachers. Therefore the multimedia environment should also be considered seriously for the maximum use in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유아교육·보육기관 평가인정제 개발 연구 (Accreditation Standards and Procedures for Institution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 양옥승
    • 아동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77-196
    • /
    • 2000
  • A large sample (1090) of randomly selected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fessionals and government officials rated each of the 133 standards of "A Model for Institutional Accredit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Yang, 1999) on a scale of 1 (least important) to 5 (most important). Findings were that all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should be evaluated for accreditation every 3 years with 3-6 months for self-study and on-site validation visits by representatives of the appropritates agencies for 1-2 days. Evaluation results are should be used by institution personnel as a guide to self-supervision, by government officials as a funding standard and by parents as criteria of program quality. Essential accreditation standards included: facilities and equipment; curriculum; nutrition, health and safety;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and support systems. Safet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were most highly rated while parent involvement was not highly rated.

  • PDF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부모교육 내용에 대한 요구 (Felt Needs Mothers with Young Children as Content in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 이원영;배소연
    • 아동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7-31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needs of mothers in order to lay a foundation for improving the content of parent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mothers of 164 kindergarten children in Pusan participated in this study by a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Conclusions were that the felt needs of mothers identified in this study should be included in parent education programs along with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selected by professionals. Selection of content should be based on the fact that most mothers have similar concerns and interest in raising their children, regardless of background. However, mother's educational level needs to be considered. Further study needs to be done on educational methods, and tentative models of parent education need to be designed in order to activate effective parent education.

  • PDF

PDCA기반 CIPP 모형을 적용한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교육과정 질 관리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Measures for Managing the Quality of Curriculum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in College with the Application of CIPP Model Based on PDCA)

  • 김옥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215-226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과정 질 관리에 대한 문헌 고찰과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교육과정 질 관리에 대한 사례 분석을 토대로 시사점 도출 및 전문대학 직업교육에 적합한 평가 모형을 설계하고, 평가 모형을 적용한 유아교육과의 체계적인 교육과정 질 관리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 핵심내용으로 학과 차원에서 교육과정 질 관리를 체계적으로 접근하기 위한 방안으로 학사행정적인 절차로서 PDCA의 절차를 활용하고, PDCA 평가(C) 단계에서 국내 뿐 아니라 국외에서도 교육과정 평가를 위해 다수 활용되고 있는 프로그램 평가 모형인 CIPP 모형을 활용한 전문대학 유아교육과 교육과정 질 관리 모형을 제시하며, 구성원들의 역할 및 질 문화를 제안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전문대학 유아교육과에서 다양한 기관 및 정책적 지원을 위한 사업에서 요구하는 교육과정 질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된다.

일본 영유아 교육·보육과정 탐색 (An exploratory study on 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in japan)

  • 김희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1호
    • /
    • pp.403-411
    • /
    • 2020
  • 본 연구는 2017년 개정된 일본 영유아 교육·보육과정의 구성체계와 개정중점을 탐색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첫째, 2017년 개정 고시된 3기관(유치원, 보육소, 유보연계형 인정어린이원)의 영유아 교육·보육과정 구성체계는 다소 차이가 있으나 그 특성에 따라 보다 구체화하였으며, 공통적으로 개정중점을 같은 방향에서 제시하고 있다. 둘째, 교육·보육과정의 개정중점은 유아기까지 길러야 할 3가지 자질·능력을 정립, 10가지 유아상을 명확히 하고 있다는 점과 길러야 할 자질·능력과 유아상을 실천하기 위하여 커리큘럼·메니지먼트의 확립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이다. 유아상에 제시한 내용이 영유아의 발달에 적합한지와 교사의 자율권을 보장하지 못하면서 지나치게 커리큘럼·메니지먼트의 확립을 강조하고 있지 않는지에 대한 교육·보육관계자들의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예비유아교사의 따돌림 인식에 대한 연구 (A Study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Bullying)

  • 배재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417-426
    • /
    • 2019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따돌림에 대한 인식을 확인해봄으로써, 유아교육현장에서 발생하는 따돌림에 대한 예방 및 대처를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예비유아교사 313명에 대한 설문조사 자료를 토대로 SPSS Wi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따돌림 인식은 학년과 보육실습유무, 현장관찰수업유무, '학교폭력 예방 및 학생의 이해' 교과목 수강유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따돌림 행동에 대한 인식으로 '때리거나 발로 차는 등 폭력을 가하는 일이 빈번함', '공동으로 쓰는 물건을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경우가 많음', '다른 친구 앞에서 창피를 주거나 모함을 하는 일이 잦음'을 높게 인식하였다. 셋째, 따돌림 가해자의 특성에 대한 인식으로 '공격적인 행동과 말을 많이 함'이 가장 높았고 따돌림 피해자의 특성에 대한 인식으로 '수줍음이 많고 말이 별로 없음'이 가장 높았다. 넷째, 가해 이유에 대한 인식으로 '특별한 이유없이 그냥 재미로'가 가장 높았고 따돌림 현상 원인에 대한 인식으로 '부모의 양육태도나 가정환경의 문제'가 가장 높았다. 마지막으로, 따돌림 예방 및 대처의 주요 수행기관은 교사, 부모와 가정, 지역사회 및 국가, 유아교육기관, 교육청 순이었다. 교사의 역할로는 '학급에서 고립되는 유아들을 지속적으로 관찰하기'가 가장 높았고, 부모의 역할로는 '자녀에게 관심을 갖고 대화를 많이 하기'가 가장 높았으며, 유아교육기관의 역할로는 '교육과정 중에서 따돌림 방지교육 시간을 마련하여 운영하기'를 가장 높게 인식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의 따돌림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Study on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and Production of Tools in Domestic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 Ha, Yan;Lee, Jong-Ma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1호
    • /
    • pp.221-231
    • /
    • 2020
  •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하여 날이 갈수록 연령과 상관없이 과도하게 스마트기기에 많이 노출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의존도가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유아교사 및 유아 대상으로 무분별한 스마트폰 기기 노출 등으로 인한 스마트폰과의존 등 다양한 정보윤리의 문제점이 등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유아교육학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국내 유아대상 정보윤리교육의 현황에 대해 설문조사를 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보윤리교육 활성화 방안을 제시, 다양한 교재교구 개발 사례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가장 큰 의의는 유아들에게 정보윤리교육을 균형있게 실시하며, 상호작용이 활발한 다양한 교재교구 개발하고자 한다. 또한 유아 뿐만 아니라 유아교사들에게 정보윤리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바람직한 유아 미디어 교육을 실시하도록 하는 것이다.

유아교사들의 다문화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Multicultural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김영태;장기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4478-4486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들의 다문화인식과 다문화태도가 다문화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I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 394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응답결과에 대하여 첫째, 유아교사들의 다문화인식, 다문화태도, 다문화효능감이 근무지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유아교사들의 다문화인식, 다문화효능감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들의 다문화인식과 다문화태도가 다문화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볼 때, 다문화교육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과 태도가 변화되어야 다문화효능감은 향상될 수 있으므로, 유아교사들을 위하여 다문화교육 연수프로그램 등을 지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유아교육기관에서 정교사 2인 공동담임체제의 협력적 운영 (Collaborative Management of the Joint Homeroom Teacher System with Two Regular Teachers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 문연심;김정희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63-185
    • /
    • 2017
  •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정교사 2인 공동담임제의 현실적인 탐색을 통해 현장적용을 실천하는데 도움이 되고 이를 통해 전문성을 갖춘 교사체제를 정립함으로써 교사간의 협력적인 능력 창출과 운영에 대한 기초연구가 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7년 4월부터 7월까지 약 3개월간 경기도 소재의 K유치원에서 교사 16을 대상으로 반구조화 된 개인 및 집단면담 13회, 현장관찰 8회, 참여관찰 4회에 걸쳐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질적 자료 분석 방법인 키워드 분류, 유목화, 소주제 발견 단계로 진행 되었다. 그 결과, 정교사 2인 공동담임제의 협력적 운영에 대해 '업무 수행', '어려움', '기관의 지원', '변화'로 범주화하여 기술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정교사 2인 공동담임제를 도입하여 전문성을 갖춘 2인 교사가 협력적 운영의 과정, 변화를 통해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n Job Stress)

  • 진재섭;김세루
    • 보건의료생명과학 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153-160
    • /
    • 2021
  •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I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 교사 250명을 대상으로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 직무스트레스의 정도를 측정하고 그 관계와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18.0프로그램을 활용한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 사회적 지지는 평균보다 약간 높은 수준, 직무스트레스는 약간 낮은 수준으로 측정되었다. 둘째,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지지는 정적관계가 나타났으며,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는 직무스트레스와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지지가 직무스트레스에 주는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조직적환경요인, 물질적 지지, 행동적 요인이 직무스트레에 영향을 주는 것에 대해 83%설명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현직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감소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지지를 제공해주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