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23초

2019개정 누리과정의 놀이지원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 of play support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 김동례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1호
    • /
    • pp.67-74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놀이 및 2019개정 누리과정의 놀이지원에 대한 그들의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임의표집된 K시와 J도에 재직중인 보육교사 259명이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와 ANOVA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놀이에 대한 인식은 높았으며, 방임적놀이와 놀이허용의 차이를 구분에 대한 인식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2019개정 누리과정의 놀이운영에 대해 보육교사의 인식도 높게 나타났다. 셋째, 놀이인식수준에 따라 놀이운영에 대한 인식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보육교사의 놀이인식수준이 높을수록 놀이운영에 대한 인식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2019개정 누리과정이 성공적인 현장 안착에 밑거름이 되는 교사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유아교육현장에서의 포트폴리오 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제 (Teachers' Preception and Practice on Portfolio Assessment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심성경;변길희;류경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449-460
    • /
    • 2012
  • 본 연구는 포트폴리오 평가를 실시하고 있는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의 포트폴리오 평가에 대한 인식과 실제의 차이와 어려움을 알아보고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를 분석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라북도 J I G시에 소재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 304명이며, 질문지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대응표본 T-Test, ANOVA, Scheff$\acute{e}$검증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포트폴리오 평가의 실시방법과 효과에 대한 모든 하위영역별 실제의 수준은 인식 수준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배경변인에 따라서는 학력에 따라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4년대졸 이상 학력의 교사가 전문대졸 이하 학력의 교사에 비해 포트폴리오 평가의 실시 방법과 효과에 대한 인식과 실제의 차이가 더 컸다. 둘째, 포트폴리오 평가에 대한 어려움을 살펴본 결과 교사들은 모든 하위문항에 걸쳐 대체적으로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배경변인에 따라서는 하위내용별로 부분적 차이만 있었다. 즉, 국공립 유치원 교사와 학력이나 경력이 높은 교사의 경우 포트폴리오 평가에 대한 어려움을 상대적으로 더 많이 느끼고 있었다. 포트폴리오 평가 실시에 대해 교사들이 어려움을 느끼는 것은 포트폴리오 실시 여부나 질적 측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므로 교사들이 생각하는 어려움을 해소해 줄 수 있는 수요자 중심의 포트폴리오 관련 연수의 실시와 행정적 지원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교사의 핵심역량에 대한 교육공동체의 인식 조사 (Perception of Education Community about Teacher's Competency)

  • 성병창;부재율;한경임;이경화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1권1호
    • /
    • pp.78-95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areas and standards of kindergarten teacher's competency through survey research and interview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 community - kindergarten teachers, vice principals, principals, administrators, parents, and professo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Raw data from 62 interviewees were grouped into 25 codes including 'professional knowledge about young children'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labeled for representative themes. Based on the result of interview analysis, two areas of 'knowledge and skill' area (15 standards) and 'attitude and grounding' area (20 standards) were classified, survey researched for appropriateness and relative importance of each standard. 704 membe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ommunity were collected through stratified sampling.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at 'observation and evaluation ability for young children' and 'affection for young children' showed high appropriateness in 'knowledge and skill area' and 'attitude and grounding area', respectively. In the relative importance analysis, 'understanding of young children's development', 'understanding of curriculum for young children', and 'understanding of young children's behavioral problem and counseling' for knowledge and skill area, and 'respect for young children', 'affection for young children', responsibility', 'positive attitude' for attitude and grounding area showed high relative importance in order.

스웨덴과 한국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급식 지도 태도 비교 연구 (A Study of Early Child Care Center Teachers' Attitudes for Meal and Snack Guidance between Sweden and Korea)

  • 한유미;이영환;이진숙;오연주;권정윤;안경온;박은숙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706-715
    • /
    • 200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early child care center teachers' attitudes for meal and snack guidance between Sweden and Korea. Participants were 251 early child care center teachers (Sweden: 134, Korea: 117) working in Goetebory, Sweden, and Seoul, Korea.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December in 2003 to February in 2004. SPSS programme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Sixty five point eight percent of the Korean early child care center teachers provided a certain amount of foods for children. But $20.9\%$ of Swedish provided a certain amount of foods for children, $79.1\%$ of them provided the amount a child wanted. Sixty one point seven percent of Korean teachers allowed a child leave foods on the plate, but $95.5\%$ of Swedish teachers asked a child eat all food on the plate. When a child didn't want to eat, $61.1\%$ of the Korean teachers fed him/her, but $11.0\%$ of the Swedish teachers did. Only $42.4\%$ of the Swedish teachers allowed a children eat sweets, but $92.9\%$ of Korean did. The Swedish teachers' perception for food guidance were eating by child himself/herself > washing hands before eating > having appropriate table manner > eating as talking with friends > not playing during the meal time, while the Korean teachers' was taking various food > having appropriate table manner > eating by child himself/herself, not playing during the meal time > washing hands before eating. The Swedish teachers thought 'eating as talking with friends' and 'eating by child himself/herself' is important, where as the Korean's did 'eating without making noise', 'not playing during the mealtime' in the eating behavior. For 'brushing teeth after meal' the Swedish teachers' score (1.5) was lower than the Korean (4.2). The results is necessary to improve meal and snack guidance for Korean early child care center teachers' education.

그림책 이야기를 활용한 통일대비 유아 통일교육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Unification Education Program Preparation for Unification Using a Picture Story Book)

  • 양승희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1-50
    • /
    • 2017
  • 본 연구는 유아에게 민족공동체 의식과 민주시민의식을 바탕으로 북한사회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통일에 대한 합리적인 인식을 함양하고, 평화적인 방법으로 통일을 실현할 수 있는 의식과 태도를 기르기 위하여 그림책 이야기를 활용한 유아 통일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유아교육현장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요구조사와 문헌고찰을 통하여 그림책 이야기를 활용한 통일대비 유아 통일교육 프로그램의 목적, 목표 및 교육내용을 구성하였다. 그림책 이야기를 활용한 통일대비 유아 통일교육 프로그램의 교육내용은 대한민국 국민으로서의 정체성 갖기(역사적 정체성, 문화적 정체성, 세계 속의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 북한에 대한 이해(북한 문화 이해, 북한 언어 이해, 북한 음식 이해, 북한 자연 이해), 남북한 간의 화해(개인 간의 화해, 집단 간의 화해, 국가 간의 화해), 평화통일(평화, 통일)을 주된 내용요소로 하여 구성하였다.

예비교사의 교육실습 전후 인식비교 (Comparison of Perceptions about Teaching Practices by Student Teachers Before and After Practice Teaching)

  • 최진숙
    • 아동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113-123
    • /
    • 2005
  • This study compared student teachers' perceptions about teaching practices and the current state of practice teaching before and after practice teaching. Subjects were 96 students at three-year colleges in Suncheon, Jollanam-do. The survey used a questionnaire,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tion of practice teaching and the current state of practice teaching,'(Woo and Choi 2004), revised for this research.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mean scores between before and after practice teaching(t=4.30, p<.001). In sub-area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role of student teachers, the contents of teaching, support system, evaluation and preliminary guidance(p<.001), but not in the evaluation of practice teaching and student teachers' attitudes(p>.05). This information should be beneficial for teachers' colleges in preparation of practice teaching programs.

  • PDF

자유놀이 제한 규칙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Th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f Restriction Rules on Free Choice Activities at Their Classroom)

  • 원계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485-493
    • /
    • 2019
  • 본 연구는 유치원의 자유놀이 제한 규칙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유치원 자유놀이 운영을 위한 기초적인 정보를 얻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J 지역에 근무하는 유치원 교사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 도구는 학급 내 자유놀이에 대한 제한 규칙에 관한 교사의 인식을 묻는 설문지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는 흥미영역 중 미술영역에 대한 제한 규칙의 필요성을 가장 높게 인식하였다. 둘째, 교사는 세 가지 유형의 제한 규칙 중 인원수 제한 규칙의 필요성을 가장 높게 인식하였다. 셋째, 제한 규칙의 필요 이유에 대한 교사 인식은 다음과 같았다. 인원수 제한 규칙 필요 이유는 일부 영역으로 쏠리는 현상을 예방하기 위해서였다. 시간 제한 규칙 필요 이유는 다양한 흥미영역에서 놀이하도록 지도하는 것이 교육적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었다. 공간 제한 규칙 필요 이유는 각 흥미영역 고유의 교육목표를 확실히 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유아의 놀이 권리와 연계하여 자유놀이 제한 규칙의 의미와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일반유아교사와 장애전담교사 간 협력교수 유형 적용을 통한 역할인식 (A Study of Teachers' Role Perception of Cooperation Teaching between General Education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Handicapped Children)

  • 황미진;서현아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63-179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n inclusion class in M Inclusion Day Care Center in Busan. Thirteen sessions of cooperation teaching were applied in the inclusion class. In this sen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what kinds of change occurred in the perspectives of teachers' role on both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 and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during cooperation teaching.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articipation observations, teachers' reflective journals, and interviews.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it could be suggested that various types of teaching strategies need to be introduced to both teachers from the beginning of inclusion so that the general teacher and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could understand each others roles and tasks, share opinions and ideas about daily activities, and experience the roles of the other teacher.

캡스톤 디자인 기반 장애교재교구 제작을 통한 예비보육교사의 장애 인식,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 및 교사효능감의 변화 (Changes in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Disabilities, Attitudes toward Inclusive Education, and Teacher Efficacy through Capstone Design-based Disability Teaching Materials Production Classes)

  • 박미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793-805
    • /
    • 2021
  • 본 연구는 캡스톤 디자인 기반의 장애아와 비장애가 함께 놀이하는 장애교재교구 제작 수업을 통하여 예비보육교사들에게 장애 인식, 통합교육 태도 및 교사효능감의 변화와 차이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수도권 3년제 K대학에서 2020년 한 학기 동안 캡스톤 디자인 수업에 참여한 보육 전공학생 3학년 50명(실험집단 25명, 비교집단 25명)이며, 양적 및 질적 연구를 혼합하여 적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장애교재교구를 제작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 보다 장애 인식과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 및 교사효능감에서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다. 장애인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지식이 증가하여 장애 인식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이러한 장애 인식의 긍정적 변화는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와 교사효능감에도 긍정적인 변화를 준 것으로 판단된다. 예비보육교사의 이러한 긍정적인 변화는 통합교육현장에서 장애유아와의 상호작용 시, 교사의 다양한 역할과 교수행동의 질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다.

유아의 성과 교사 변인에 따른 유아의 과학에 대한 태도 (5-year-old Students' Attitude Toward Science in Relation to Their Gender and Teachers' Background)

  • 조부경;고영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833-842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과학에 대한 태도가 어떠하며, 유아의 성과 교사의 학력, 경력, 과학적 소양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유치원 교사 90명을 대상으로 기초 배경과 과학적 소양에 대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고, 유아 180명에게는 "유아의 과학에 대한 태도"문항을 토대로 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의 과학에 대한 태도는 긍정적이었으며, 교사의 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과학에 대한 선호는 교사의 과학적 소양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치원 교사들이 양성 교육과 현직 교육을 통해 지속적으로 과학적 소양을 함양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