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1.21.11.793

Changes in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Disabilities, Attitudes toward Inclusive Education, and Teacher Efficacy through Capstone Design-based Disability Teaching Materials Production Classes  

Park, Mi-Kyung (경복대학교 아동상담보육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hanges and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disabilities, attitudes toward inclusive education, and teacher efficacy in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through capstone design-based disability teaching material production classe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50 third-year child care majoring students (25 experimental group, 25 comparison group) who participated in capstone design class for one semester in 2020 at 3-year K university.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produced teaching materials for the disabilities,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disability awareness, attitude toward inclusive education, and teacher efficacy than the comparative group. there was a positive change in the perception of disability due to an increase in the overall understanding and knowledge of the disabilities. It is judged that these positive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gave positive changes to the attitude toward inclusive education and teachers' efficacy. This positive change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ing behavior and various roles of teachers when interacting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the inclusive education field.
Keywords
Capstone Design; Disability Teaching Materials; Attitudes of Inclusive Education; Teacher Efficacy in Inclusive Educa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이병석, 영유아 다문화 인성교육, 서울: 학자사, 2012.
2 최미화, "장애이해 교육과정에서 나타난 예비유아 교사의 장애 유아 통합 교육에 대한인식 변화," 유아특수교육연구, 제10권, 제4호, pp.89-114, 2010.
3 권순구, "국내 교사효능감 척도 개발을 위한 교사효능감 척도에 대한 고찰 및 제언," 교육문제연구, 제28권, 제4호, pp.77-107, 2015.
4 박미경, "예비보육교사의 융합 캡스톤 디자인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0권, 제23호, pp.827-849, 2020.
5 차률, 통합체육수업 참여에 따른 비장애 고등학생의 장애인식, 통합인식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6 양진희, "예비유아교사의 장애관련 동아리활동 경험이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와 교사효능감 및 교수수행에 대한 인식에 비치는 효과," 아동학회지, 제28권, 제1호, pp.147-170, 2007.
7 이효림, 송민서, "그림책 활용 장애이해교육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변화,"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제7권, 제1호, pp.195-222, 2019.   DOI
8 S. K. Shin, E. K. Ko, and Y. Park, "A Study on the Effects of Multicultural Teaching Materials Making Activities Based on the Capstone Design Teaching Model," The Journal of Multicultural Society, Vol.6, No.2, pp.63-89, 2016.   DOI
9 정정희,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의 신념과 효능감에 따른 교사 역할 지각,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10 유용식, 권순신, "장애이해교육이 비장애아동의 장애아동에 대한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4호, pp.508-516, 2013.   DOI
11 이미나, 김영춘, "보육교사가 인지하는 장애아동의 인권 인식과 사회통합에 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4호, pp.387-398, 2016.   DOI
12 원영미, 전지혜, "장애아 통합어린이집 일반교사의 장애인식 및 보육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제18권, 제1호, pp.169-192, 2018.   DOI
13 김희정, 장애체험 클럽활동이 일반학생의 장애인식과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4 이종배, 초등학교 통합교육 교사의 통합교육 태도 및 교사효능감의 관계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010.
15 김지은, 통합교육 경험, 학년, 성별에 따른 아동의의 장애아동 및 장애인에 대한 태도,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16 김주혜, 특수교사의 서신지원이 통합학급교사의 교사효능감과 통합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17 L. D. Enochs and I. M. Riggs, "The relationship of pupil control to preservice elementary science teacher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ncy," Science Education, Vol.79, No.1, pp.63-75, 1990.   DOI
18 노영희, "문헌정보학 캡스톤디자인 교육과정 운영과 학습만족도 측정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6권, 제3호, pp.89-118, 2015.
19 이현경, "통합교육에 대한 예비보육교사의 태도에 관한 연구-대전광역시 지역을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15-21, 2010.
20 전미숙, 예비 일반유치원 교사와 예비 특수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비교 연구,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21 S. Sez, "A literature review: pre-service teachers' attitudes toward students with disablities," Education, Vol.130, No.1, pp.53-56, 2009.
22 I. I. Baker and I. Gottrieb, "Attitudes of teachers toward mainstreaming retarded children," In 1. Gottliev(Ed.), Educating mentally retarded persons in the main streaming. Baltimore : University of Park Press, 1980.
23 T. M. Stephans and B. L. Braun, "Measures of regular classroom teachers attitudes toward handi-capped children," Exceptional Children, Vol.46, No.4, pp.292-294, 1980.   DOI
24 U. Sharma and I. Desai, "Measuring concerns about integrated education in India," Asia and Pacific Journal on Disability, Vol.5, No.1, pp.2-14, 2002.
25 김경숙, 이은하, "반성적 기록에 나타난 예비보육교사들의 장애인에 대한 경험 사례 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회, 제25권, pp.57-78, 2003.
26 전영미, "캡스톤 디자인 수업이 학생역량 및 수업만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18호, pp.601-610, 2018.
27 C. Alexander and P. S. Strain, "A review of educator's attitudes toward handicapped children and the concept of main streaming," Psychology on the school, Vol.15, pp.390-396, 1978.   DOI
28 신수경, 고은교, "캡스톤 디자인 수업모형에 기초한 교수매체 제작 및 적용활동이 예비유아교사의 자기개방, 자기주장, 학습실행력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미디어연구, 제16권, 제2호, pp.1-20, 2017.
29 S. T. Howrey and K. Whelan-Kim, "Building cultural responsiveness inrural, pre-service teachers using a multi-cultural children's literature project," Journal of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Vol.30, No.2, pp.123-137, 2009.   DOI
30 이하원, 신원애, "캡스톤 디자인 수업모형에 기초한 언어교수매체 제작 및 적용활동이 예비유아교사의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제27권, 제3호, pp.355-366, 2018.
31 J. W. Creswell and V. L. P. Clark, "Designing and conducting mixed methods research," Thousand Oaks, CA: Sage, 2017.
32 최문화, 특수학급학생에 대한 고등학교 일반학생의 장애인식,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33 A. L. Green and Z. Stoneman, "Attitudes of mothers and fathers of nonhandicapped children," Journal of Early Intervention, Vol.13, pp.292-302, 1989.   DOI
34 김은실, 통합학급 초등교사 학습공동체 활동이 교사 효능감과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특수교육학과, 박사학위논문, 2019.
35 김주혜, 특수학급교사와의 협력을 통한 교사포트폴리오 제작이 통합학급교사 교수행능력과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36 R. C. Bogdan and S. K. Biklen,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ories and methods(5th ed.), Boston, MA: Pearson, 2006.
37 김정은, 정경옥, "교육실습을 통한 예비특수 교사의 교사효능감 변화,"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제52권, 제4호, pp.367-384, 2009.
38 R. Johnson and D. W. Johnson, "The integration of the handicapped into the regular classroom: Effects of cooperative and individualistic instruction,"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Vol.6, pp.344-353, 1981.   DOI
39 G. E. Mills, 교사를 위한 실행연구[Action Research: A Guide for the Teacher Researcher], (강성우 외 역), 서울: 우리교육 (원전 2003 출판), 2005.
40 김명희, 특수학급 아동의 통합교육에 대한 일반 교사의태도,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2.
41 남윤석, 통합교육 관련교사 변인에 관한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42 J. Yates, "Model for preparing regular classroom teacher for main streaming," Exceptional Children, Vol.39, pp.471-472, 1973.   DOI
43 이영희, 초등교사와 예비 특수교사의 통합교육에 관한 인식 비교 연구,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44 서유진, "예비일반교사들의 특수교육학개론 과목이수와 통합학급 교육실습경험을 통한 교사효능감과 장애학생에 대한 인식변화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제27권, 제3호, pp.291-325, 2010.   DOI
45 박영옥, 유치원 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 및 교사효능감의 구조적 관계 분석,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46 이지현, 장애아 완전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비교,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47 양진희, "유치원에서의 성공적인 장애유아 통합 교육 실천에 관한 의미이해," 유아교육연구, 제25권, 제3호, pp.147-173, 2005.
48 곽현주, 한남주, "예비유아교사의 장애유아통합교육에 대한 갈등고찰," 유아교육학논집, 제14권, 제3호, pp.227-248, 2010.
49 박영옥, 권수정, 김다래, "유치원 교사의 통합교육의 태도와 교사효능감의 관계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제54권, 제1호, pp.393-400, 2015.
50 M. D. Home, "Attitudes of elementary classroom teachers toward mainstreaming," Exceptional Child, Vol.3α, pp.93-98, 1983.
51 백지혜, 장애유아 통합교육을 경험한 유치원 교사들의 인식과 교육과정 수정 노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52 박지연, "장애인식개선교육의 의무화에 따른 보육교사의 인식 탐색," 특수교육, 제13권, 제3호, pp.53-76,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