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D1

검색결과 1,252건 처리시간 0.033초

파골세포의 분화와 뼈 흡수에 천남성의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Rhizoma Arisaematis on Osteoclast Differentiation and Bone Resorption)

  • 이명수;이창훈;박기인;김하영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65-70
    • /
    • 2011
  • Osteoclasts play a critical role in bone-related diseases such as osteoporosis and rheumatoid arthritis by resorbing the bone. Recently, natural products from plants have been extensively studied as therapeutic drugs to treat and prevent various diseases. Here, we examined the effects of rhizoma arisaematis on ostoclast differentiation and bone resorption. We showed that rhizoma arisaematis significantly suppressed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kappa}B$ ligand (RANKL)-induced osteoclast differentiation in bone marrow-derived macrophages (BMMs) in a dose dependent manner but have little or no effect on the cytotoxicity of BMMs and RAW264.7 cells. We found that rhizoma arisaematis iarrow-ed the RANKL-induced c-Fos and nuclear factor of activated T cells (NFAT)c1, which is a master regulator of osteoclast differentiation. Furthermore, rhizoma arisaematis suppressed the mRNA expression of tartrate resistant-acid phosphatase and cathepsin K iaduced by RANKL in BMMs. in y chanistic studies, rhizoma arisaematis considerably iarrow-ed I-${\kappa}B$ degradation, which is a negative regulator of NF-${\kappa}B$, but iaduced the phosphderlation of p-38, ERK, and JNK.MMlso, we found that rhizoma arisaematis significantly iarrow-ed osteoclastic bone resorption. Taken tarether, our results suggest that rhizoma arisaematis suppresses osteoclast differentiation through down-regulatd the mRANKL-induced c-Fos and NFATc1 expression and iarrow-s bone resorption.

랫드에 있어서 Bromobenzene의 격일 투여 시, 매일 투여한 경우와 간손상 정도의 비교 (Comparison of Liver Damage in Bromobenzene-Daily Treated Rats with Every Other Day Treated Ones)

  • 이상희;윤종국;조현국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01-107
    • /
    • 2000
  • Bromobenzene의 투여 간격에 따라 간손상이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검토하기 위하여 흰쥐에 체중 1 kg 당 400 mg의 bromobenzene을 복강으로 2일 및 1일 간격으로 각각 3회 투여한 다음 간손상을 병리조직학적, 간기능적 측면에서 검토한 결과2일 간격으로 투여한 실험군에서 간손상이 경미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간조직 중 cytochrome P45O 함량은 2일 간격으로 투여 한 실험군에서는 대조군 보다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1일 간격으로 투여 한 경우에는 대조군 보다 오히려 유의한 (p<0.01) 감소를 보였다. 간조직 중 대조군에 대한 glutathione 감소율과 glutathione S-transferase 활성 증가율은 2일 간격으로 bromobenzene을 투여한 군이 1일 간격으로 투여한 실험군 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상 실험 결과는 동일한 양과 회수로서 bromobenzene을 격일로 투여한 실험동물에 있어서 매일 투여한 경우 보다 간손상이 경미하였으며, 이는 bromobenzene의 대사율이 증가됨으로서 나타난 결과로 생각된다.

  • PDF

노후항공기(P-3CK) 패스너 홀 손상 수리 한계 설정을 위한 피로해석 (Fatigue Analysis to Determine the Repair Limit for the Damaged Fastener Hole of Aging Aircraft(P-3CK))

  • 김영진;김형근;김창영;장중진;이말영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1권12호
    • /
    • pp.959-966
    • /
    • 2013
  • 이 논문에서는 설계정보가 없는 노후 항공기를 사용한 P-3CK 해상초계기 사업을 바탕으로, 끝단거리 부족 결함 수리를 위한 패스너 홀 구조특성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끝단거리 결함이 많이 발생했던 낫셀 론저론 부분을 선택하고, 1.5, 1.8, 2.0배 끝단거리에 대한 정적 해석을 수행하여 보수적인 응력을 구하였다. 이 응력을 바탕으로 TWIST의 표준하중 스펙트럼을 적용하여 비행하중을 생성하고, 이 비행하중을 이용하여 균열성장 피로해석을 수행하였다. 이 결과를 통하여 P-3CK 사업 중 수리된 패스너 홀의 유효성을 평가하고 정비주기 및 기준을 설정하였다.

의도적 음독후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의 입원과 관련된 요인 분석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Hospitalization of Patients Visited the Emergency Department after Deliberate Self-poisoning)

  • 노우식;김혜진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02-109
    • /
    • 2020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factors associated with the hospitalization of patients who visited the emergency department (ED) after deliberate self-poisoning.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the patients, who visited the ED at a tertiary teaching hospital after deliberate self-poisoning between March 2017 and December 2019,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Results: Fifty-seven in the hospitalization and 236 in the discharge group patients were included. The mean age in the hospitalization and discharge group was 48.8±20.4 and 41.8±19.1, respectively (p=0.020). Univariate analysis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p=0.020), mental status (p<0.001), request for help (p=0.046), chronic disease (p=0.036), substance ingested (p<0.001), and risk rescue-rating scale (p<0.001) between the two groups (hospitalization group and discharge group). In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or predicting the hospitalization of patients after deliberate self-poisoning, the Risk-Rescue Rating Scale (RRRS) was identified (OR=1.493, 95% confidential interval=1.330-1.675, p<0.001).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s analysis of RRRS for the decision to hospitalize showed a cut-off value of 38.9, with a sensitivity, specificity, and area under the curve of 96.4%, 77.0%, and 0.949, respectively. Conclusion: The RRRS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hospitalization for patients who visited the ED after deliberate self-poisoning. Nevertheless, multicenter prospective studies will be needed to determine the generalisability of these results.

에탄올 생산 향상을 위한 발효저해물질 제거와 리그닌 유래 발효저해물질이 에탄올 발효에 미치는 영향 (Enhancement of Ethanol Production by The Removal of Fermentation Inhibitors, and Effect of Lignin-derived Inhibitors on Fermentation)

  • 엄민;신경진;이재원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3호
    • /
    • pp.389-39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옥살산 전처리 바이오매스의 액상가수분해산물에 포함된 발효저해물질을 전기투석과 XAD 수지 처리하여 제거한 후 에탄올을 생산하였다. 전기투석 과정에서 아세트산은 대부분 제거되었으며(95.6%), 비이온성 발효저해물질(Total phenolic compound: TPC, 5-hydroxymethyl furfural: HMF, furfural)은 XAD 수지 처리에 의해 효과적으로 제거되었다. 전기투석과 XAD 수지 처리된 액상가수분해산물로 발효를 수행한 결과 XAD 수지의 침지시간이 짧을수록 에탄올 생산이 향상되었다. 최대 에탄올 생산은 발효 72시간 후 $6.16g/{\ell}$로 전기투석 후 액상가수분해산물을 XAD-4 수지에서 5분 침지하였을 때 나타났다. 리그닌 유래 발효저해물질 중 syringaldehyde는 저농도(1 mM, 2 mM)에서 에탄올 생산을 향상시켰으며 5 mM에서는 발효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리그닌 유래 발효저해물질의 시너지 효과를 확인하고자 합성배지로 발효를 수행하였으며, Syringaldehyde (1 mM)와 ferulic acid (1 mM) 합성배지를 이용하여 발효를 수행한 결과 syringaldehyde보다 ferulic acid의 영향으로 에탄올 생산이 감소했다.

응급의료센터 환자의 내원 정보 및 실태 분석 (Analysis of Arrival Information and Status of the Patients in Emergency Department)

  • 이삼범;도병수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6권2호
    • /
    • pp.277-282
    • /
    • 1999
  • 1998년 4월 1일부터 7일까지 1주일간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응급의료센터를 방문하는 환자 464명을 대상으로 응급 환자 조사 대장을 작성하여 환자의 일반적인 정보 내용과 현황에 대하여 전향적으로 조사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 기간중 내원 환자수는 일 평균 66.3명이었으며, 대기 환자수는 평균 17.3명으로 당일 총진료 환자수는 83.6명이었다. 2. 내원 방법은 걸어서 내원한 환자가 57.3%로 가장 많았고, 교통편은 자가용이 58.0%, 구급차가 26.3%였으며, 발생 장소는 거주지가 85.3%로 가장 많았고, 지역별로는 대구 지역이 81.5%였다. 타 병원을 경유하여 내원한 환자는 2.6%, 직접 내원한 환자는 97.4%였다. 3. 내원 원인 분류상 질환이 74.6%로 가장 많았고, 사고 환자가 71명(15.3%)이었으며 이중 교통 사고가 49명(10.6%)을 차지하였다. 4. 진료를 의뢰한 임상과는 내과가 26.6%로 가장 많았고, 다음이 소아과 16.8%, 정형외과 8.6%, 신경과 8.2%, 신경외과 7.8% 순으로 많았으며 응급의학과를 포함한 기타 과는 8.2%를 차지하였다. 5. 진료 결과 입원이 38.4%, 퇴원이 61.0%, 도착시 사망 환차가 0.6%였으며 타 병원으로의 전원은 1례도 없었다. 결론적으로 3차 의료기관의 응급의료센터에서의 진료는 질병 환자 중심의 진료와 당일 진료후 퇴원가능한 경한 환자 중심의 "fast tracking"을 이용한 신속한 진료 및 외상 환자 및 중환자 중심의 진료 등의 다원적인 진료 형태가 요구되며 이러한 진료형태의 개발과 확립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실내 건축자재 및 생활 가공제품 중 천연방사성핵종(238U, 232Th)의 농도 평가를 위한 분석법 연구 (Study on the determination methods of the natural radionuclides (238U, 232Th) in building materials and processed living products)

  • 이현우;임종명;이훈;박지영;장미;이진홍
    • 분석과학
    • /
    • 제31권4호
    • /
    • pp.149-160
    • /
    • 2018
  • 국내에서는 많은 수의 친환경 및 건강 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기능성 생활제품이 생산되고 있으며 이러한 제품 제조 시 원료물질에 존재하는 모나자이트, 토르말린 등 방사능 농도가 높은 물질이 가공제품 내에 함께 유입 될 수 있어 원료물질과 함께 국민 생활과 밀접한 가공제품의 관리가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서 정확한 방사능 농도 분석 자료 및 유효성이 검증된 분석방법의 이용 및 개발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천연방사성 물질의 신속 스크리닝을 위한 ED-XRF 분석법과 정밀분석의 목적으로 ICP-MS를 이용하여 실내 건축자재 및 생활제품 내의 천연방사성핵종($^{238}U$, $^{232}Th$)의 농도를 정량분석하고 비교 및 평가하였다. 타일, 시멘트, 페인트, 벽지, 석고보드 등 총 47 종의 실내 건축자재와 건강제품, 섬유제품, 광물질 등 총 47 종의 생활 가공제품의 실제시료를 분석한 결과, ED-XRF 및 ICP-MS의 결과값은 전체적으로 1:1의 선형성을 보였으며 ED-XRF를 이용한 신속 스크리닝의 적용성과 ICP-MS를 이용한 정량분석법의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한편, 가공제품 중의 $^{238}U$, $^{232}Th$ 방사능 농도는 생활제품에 비해서 건축자재에서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수준이었으며 특히 생활제품은 47 개 중 6 개의 제품이 원료물질의 관리기준치($1.0Bq{\cdot}g^{-1}$)를 초과(최대 $8.2Bq{\cdot}g^{-1}$)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Landsat TM 자료를 이용한 임종구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Forest by Landsat TM Data)

  • 최승필;홍성태;박재훈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5-60
    • /
    • 1993
  • 자연 생태계의 일부분으로 발생한 삼림은 공기를 맑게하고 수자원을 보존하며, 번식과 멸종의 방지, 휴식공간 제공 그리고 인간생활 환경을 형성하고 보존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연구에서 원격탐사 자료를 이용하여 삼림식생을 분류한 것은 침염수, 활엽수, 농경지 및 초지, 물의 네 가지로 삼림식생정보를 분류하였다. TM 수치영상을 컴퓨터를 이용하여 분류할 경우, 물지역의 특성 값은 제 4밴드에서 7-13 D.N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침엽수, 활엽수, 농경지 및 초지는 모두 비슷한 특성 값이 나타나므로 화상처리를 해야했다. 화상처리를 제 2밴드와 제 3밴드를 합성한 영상을 비연산처리한 결과, 제 3밴드로부터 활엽수 지역은 72-91의 D.N으로 나타나고, 제 1밴드에서의 침엽수 지역은 l18∼136, 제 3밴드에서의 농경지 및 초지는 96-120의 D.N에서 일치하였다. 또한 최대 우도법으로 분류한 결과와 TM 수치영상의 현지답사에 대한 비교오차를 구한 결과 침엽수, 활엽수, 농경지와 초지 및 물에서 각각 -7.43%, +1.89%, +7.58%, -2.04%의 분류 정확도를 얻었다. 결론적으로 이 결과는 원격탐사 자료를 이용한 삼림식생분류가 매우 유용한 것임이 입증되었다.

  • PDF

A nationwide study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pneumonia who visited Emergency De­partment in South Korea in 2012

  • Lee, Chang Hyu;Won, Youn Kyoung;Roh, Eui-Jung;Suh, Dong In;Chung, Eun Hee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9권3호
    • /
    • pp.132-138
    • /
    • 2016
  • Purpose: Acute respiratory infection, particularly pneumonia, is the most common cause of hospitalization and death among children in developing nation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pneumonia who visited Emergency Department (ED) in South Korea in 2012. Methods: We analyzed National Emergency Department Information System (NEDIS) records from 146 EDs in South Korea for all pediatric patients aged ${\leq}18years$ who were diagnosed with pneumonia between January and December 2012. Results: Among 38,415 subjects, the male-to-female ratio was 1:0.8. Patients aged <12 months comprised 18.0% of the study population; those aged 1 to 3 years, 54.4%; those aged 4 to 6 years, 16.8%; those aged 7 to 12 years, 7.4%; and those aged 13 to 18 years, 3.4%. Presentation rates were highest in April, followed by January, March, and May. The hospital admission rate was 43.5%, of which 2.6% were in intensive care units. The mortality rate was 0.02%. Based on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10th Revision, diagnostic codes, the types of pneumonia according to cause were viral pneumonia (29.0%), bacterial pneumonia (5.3%), Mycoplasmal pneumonia (4.5%), aspiration pneumonia (1.3%), and pneumonia of unknown origin (59.3%). Conclusion: Despite the limited data due to the ED data from the NEDIS lacking laboratory results and treatment information, this study reflects well the outbreak patterns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pneumonia. Our results provide a basis for future studies regarding ED treatment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pneumo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