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 coliO157:H7

검색결과 388건 처리시간 0.023초

회분식 광펄스 처리에 의한 병원성 대장균의 비가열 살균 (Nonthermal Sterilization of Pathogenic Escherichia coli by Intense Pulsed Light Using a Batch System)

  • 김애진;신정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81-86
    • /
    • 2015
  • 광펄스 기술의 주요 공정 변수인 빛의 세기, 펄스 수, 광원과 시료사이의 거리에 따른 병원성 대장균의 사멸효과, 형태학적 변화와 세포의 손상 및 회복 여부를 알아보았다. 1,000 V, 5 pps, 7.9 cm에서 병원성 대장균을 광펄스 처리하였을 경우 처리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사멸정도가 증가하였으며, 120초 처리하였을 때 약 7.1 log CFU/mL 감소하였고, 사멸속도는 $0.07s^{-1}$이었다. 같은 빛의 세기에서는 펄스수가 증가할수록 사멸정도가 증가하였으며, 램프와 시료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사멸효과가 높았다. 광펄스 처리에 의한 미생물의 사멸은 세포막의 파괴에 의한 것으로 처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세포내 물질의 외부 유출이 증가하며, 사멸되지 않은 세포라도 손상을 입어 정상적인 생육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아 사멸이 물리적 손상 이외에의 생물학적 손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세포의 물리적 손상 여부를 전자 현미경으로 살펴본 결과 광펄스 처리를 받은 세포는 세포막에 손상을 입어 세포내 물질의 유출이 일어난 것을 알 수 있었다.

소 장관 유래 Enterococcus faecium의 Enterobacter sakazakii에 대한 생육저해활성 (Growth Inhibitory Activity of Enterococcus faecium Isolated from Bovine Intestinal Tract against Enterobacter sakazakii)

  • 박주희;윤성식;박영서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99-104
    • /
    • 2008
  • 소 장관으로부터 분리한 유산균 중에서 Enterobacter sakazakii에 생육저해활성을 나타내는 균주를 분리한 후 동정한 결과 Enterococcus faecium으로 동정되었고 E. faecium JH95로 명명하였다. 본 균주는 kanamycin과 streptomycin에 대해 $100{\mu}g/mL$가지 매우 높은 내성을 나타내었다. 본 균주의 배양액은 L. monocytogenes, C. perfringens와 E. sakazakii에 대하여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S. typhimurium, S. aureus와 E. coli O157:H7에 대해서도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균주의 배양 상등액은 항균활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배양액이 지니고 있는 항균활성은 $100^{\circ}C$에서 5분간 가열하거나 단백질 가수분해효소 처리에 의해 소실되어 식중독 미생물에 대한 생육저해물질이 단백질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소와 돼지 도체 표면의 미생물 오염도 및 병원성 미생물 검색 (Survey of microbiological quality and detection of pathogenic microorganisms on the surface of slaughted beef and pork products)

  • 나인택;임홍규;조미영;이양수;이병동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9-14
    • /
    • 2002
  • This surve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microbiological quality and to detect of pathogenic microorganisms on the surface of slaughtered beef and pork products in two abattoirs located in Seoul from January 2001 through December 2001. Two hundred and twenty-five beef and 215 hog were surveyed for microbiological quality and 630 beef and 625 hog were detected for pathogenic microorgainsms. 1. The prevalence level on number of standard plate count(SPC) less than $10^4$cfu/$cm^2$in beef and hog were 89.8% and 90.7%, respectively. 2. Escherichia coli less than $10^2$cfu/$cm^2$ in beef and less than $10^3$cfu/$cm^2$ in hog were 98.2% and 99% 3. E coli 0157:H7 was recovered from 2 beef carcasses(0.32%), and Staphylococcus aureus from 12 pork carcasses(1.90%), Listeria monocytogenes from 1 beef and 4 pork carcasses (0.15%, 0.64%) and clostridium perfringens from 14 beef and 11 pork carcasses(2.22%, 1.76%), respectively.

Characteristic of Antibiotic Resistance of Foodborne Pathogens Adapted to Garlic, Allium sativum L.

  • Moon, Bo-Youn;Lee, Eun-Jin;Park, Jong-Hyu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4호
    • /
    • pp.511-515
    • /
    • 2006
  • Antibiotic resistance of foodborne pathogens adapted to garlic (Allium sativum Linn.) was determin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ntibiotic resistance and garlic. The Gram (-) strains of Escherichia coli and Salmonella typhimurium and the Gram (+) strains of Bacillus cereus and Staphylococcus aureus were subcultured consecutively in a garlic broth, and the surviving colonies on the agar were selected as the adapted strains.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s (MIC) for 15 antibiotics on the adapted strains were determined on Muller-Hinton Infusion agar. Adaptation to 1.3%(v/v) garlic juice increased MIC for vancomycin, aminoglycoside, and erythromycin on B. cereus, and for ampicillin and erythromycin on E. coli O157:H7. MIC of aminoglycosides, chloramphenicol, and vancomycin on the adapted S. aureus increased. The adapted S. typhimurium was more resistant to penicillin and vancomycin than the non-treated strain. The adapted S. typhimurium and S. aureus lost their antibiotic resistance in non-garlic stress conditions. However, the adapted B. cereus was still resistant to erythromycin and vancomycin, and the adapted E. coli was also resistant to erythromycin. Antibacterial garlic might increase the antibiotic resistance of E. coli, B. cereus, S. aureus, and S. typhimurium and this resistance can continue even without the stress of garlic. Therefore, garlic as a food seasoning could influence the resistance of such pathogens to these antibiotics temporarily or permanently.

새싹채소 종자의 전처리 방법이 식중독 세균 검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ample Preparation Methods for the Isolation of Foodborne Pathogens from Sprout Seeds)

  • 김원일;김선영;김인선;한상현;김세리;윤보현;류재기;김현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465-470
    • /
    • 2016
  • 본 연구는 전처리 방법이 새싹채소 재배에 사용되는 종자 중 식중독 세균의 검출율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검증하기 위해 시중 유통되고 있는 새싹채소 재배용 종자 19종을 수집하여 종자를 세척 방법과 발아 방법으로 전처리한 후 E. coli, E. coli O157:H7, Salmonella spp., L. monocytogenes의 검출율을 비교하였다. 또한 인위적으로 Salmonella enterica를 접종한 알팔파 종자에 대해서 무처리, 세척, 발아 방법으로 전처리한 후 S. enterica의 검출율을 검정하였다. 시중 유통되고 있는 종자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세척 방법과 발아 방법 등의 전처리 방법에 따라 E. coli 검출율과 양성시료에 차이가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인위적으로 S. enterica를 접종한 알팔파 종자에 대한 검출율 비교 검정에서도 분석시료량 대비 전처리방법별로 검출율이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선택배지 종류에 따라서도 S. enterica의 검출율이 차이가 났다. 결론적으로 새싹채소 재배용 종자의 식중독 세균 분석에 있어서 종자의 전처리 방법, 시료당 분석시료량, 선택배지 종류 등이 검출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Growth of Seeded Escherichia coli in Rewetted Cattle Waste Compost of Different Stages

  • Hanajima, D.;Kuroda, K.;Fukumoto, Y.;Haga, 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2호
    • /
    • pp.278-282
    • /
    • 2004
  • Compost is used mainly as an organic fertilizer, but it is also used as bedding material for cattle. Dairy cattle have been identified as a main reservoir of pathogenic Escherichia coli O157:H7. Further, E. coli is regarded as an environmental pathogen that causes bovine clinical mastitis. Hence, its growth in compost spread or compost bedding should be avoided. Physical and chemical conditions, available nutrients and microflora in compost change greatly during the composting process. Since pathogen growth in compost seems to be related to these changes, we assessed the possibility of E. coli growth in compost samples collected at 0, 7, 13, 22, 41, 190 and 360 d. Cattle waste composts with and without added tofu residue were collected from static piles and immediately air-dried. Compost samples were inoculated with a pure culture of E. coli, the moisture content was adjusted to 50%, and the samples were incubated for 5 d at $30^{\circ}C$. The numbers of E. coli in compost before and after incubation were determined by direct plating on Chromocult coliform agar. Almost all compost samples supported E. coli growth. Samples collected during or immediately after the thermophilic phase (day 7) showed the highest growth. Growth in samples more than 13 d old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aged compost samples. The addition of tofu residue gave a higher growth than its absence in younger samples collected prior to 13 d. To minimize the risk of environmental mastitis, the use of compost in the initial stage of the process is better avoided.

Anti-Biofilm Activity of Grapefruit Seed Extract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and Escherichia coli

  • Song, Ye Ji;Yu, Hwan Hee;Kim, Yeon Jin;Lee, Na-Kyoung;Paik, Hyun-D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9권8호
    • /
    • pp.1177-1183
    • /
    • 2019
  • Grapefruit seed extract (GSE) is a safe and effective preservative that is used widely in the food industry.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addressing the anti-biofilm effect of GSE. In this study, the anti-biofilm effect of GSE was investigated against biofilm-forming strains of Staphylococcus aureus and Escherichia coli. The GS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for S. aureus and E. coli were $25{\mu}g/ml$ and $250{\mu}g/ml$, respectively. To investigate biofilm inhibition and degradation effect, crystal violet assay and stainless steel were used. Biofilm formation rates of four strains (S. aureus 7, S. aureus 8, E. coli ATCC 25922, and E. coli O157:H4 FRIK 125) were 55.8%, 70.2%, 55.4%, and 20.6% at $1/2{\times}MIC$ of GSE, respectively. The degradation effect of GSE on biofilms attached to stainless steel coupons was observed (${\geq}1$ log CFU/coupon) after exposure to concentrations above the MIC for all strains and $1/2{\times}MIC$ for S. aureus 7. In addition, the specific mechanisms of this anti-biofilm effect were investigated by evaluating hydrophobicity, auto-aggregation, exopolysaccharide (EPS) production rate, and motility. Significant changes in EPS production rate and motility were observed in both S. aureus and E. coli in the presence of GSE, while changes in hydrophobicity were observed only in E. coli. No relationship was seen between auto-aggregation and biofilm formation. Therefore, our results suggest that GSE might be used as an anti-biofilm agent that is effective against S. aureus and E. coli.

Shiga-like Toxin I의 세포독성과 수용체 Gb3 발현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Gb3 Expression and Cytotoxicity of Shiga-like Toxin I)

  • 임석환;김기영;김형천;김영희;손용해;오양효;박영민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2호
    • /
    • pp.143-153
    • /
    • 2003
  • 목 적 : Shiga-like toxin (SLT)을 생산하는 Esherichia coli에 의한 감염은 설사, 출혈성 대장염(hemorrhagic colitis) 및 용혈성 요독 증후군(hemolytic uremic syndrome)을 특징으로 하며, 특히 5세 이하의 소아에게서 심각한 결과를 초래한다. SLT-I의 병인으로는 다양한 숙주 매개인자들이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E. coli 0157 : H7 (ATCC 43890)로부터 정제한 SLT-I이 포유동물 세포들에 대한 세포독성과 종양괴사인자(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의 생산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SLT-I의 수용체인 glycolipid globotriaosylceramide (Gb3)의 발현과 SLT-I의 세포독성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 법 : SLT-I과 SLT-I B를 순수분리 정제하고 SLT-I B-FLTC 접합체를 제조하여 vero 세포, 대식세포 및 수지상세포를 대상으로 세포독성능을 측정하고 세포독성능의 차이가 SLT-I의 수용체인 Gb3의 발현과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Flow cyotmetry로 분석하였다. 또한 대식세포의 종양괴사인자 생산능은 ELISA법으로 시행하였다. 결 과 : SLT-I은 대식세포(Raw264.7)로부터 TNF-${\alpha}$의 생산을 증가시켰다. 연구 대상 세포 중 SLT-I에 감수성을 나타낸 Vero 세포와 수지상세포(dendritic cells)는 Gb3 발현이 각각 83%와 68%로 높았으며, 29%의 낮은 Gb3 발현을 보인 Raw264.7 세포는 감수성을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위의 결과로부터 SLT-I에 감수성을 보이지 않은 Raw264.7 세포를 대상으로 Gb3 발현 정도와 SLT-I의 세포독성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Gb3의 발현을 증가 시킨 후 SLT-I의 세포독성을 재차 평가하였다. 이 결과 TNF-${\alpha}$의 처리에 의하여 6 h에 Gb3의 발현이 정점(43.5%)에 이르렀으며 36 h에 정상 수준(25.0%)으로 환원되었다. 그러나, Gb3의 발현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SLT-I의 세포독성에는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SLT-I에 의한 세포독성은 세포의 종류에 따라서 다르며 또한, Gb3의 발현정도에만 의존적이지는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결 론 : 이와 같은 결과는 E. coli 0157의 감염증 병인 연구에 있어 SLT-I과 Gb3의 발현의 상관관계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티베트 요거트에서 분리한 유산균의 병원성 세균 항균 효과 연구 (Antimicrobial Effect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Tibetan Yogurt against Foodborne Pathogenic Bacteria)

  • 고주영;이지연;최한희;박선우;강석성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9권3호
    • /
    • pp.121-127
    • /
    • 2021
  • Yogurt is produced by bacterial fermentation of milk and contains lactic acid bacteria (LAB), which produce various metabolites such as organic acid, hydrogen peroxide, and bacteriocin.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cell-free supernatants (CFS) of LAB isolated from Tibetan yogurt. CFS (TY1, TY2, TY3, TY4, TY5, TY6, and TY7) from selected strains of LAB were co-incubated with four different foodborne pathogenic bacteria, namely E. coli O157:H7, Listeria monocytogenes, Salmonella typhimurium, and Staphylococcus aureus. Inhibition of foodborne pathogenic bacterial growth was not affected in the presence of CFS (pH 6.5). In contrast, CFS without neutralization completely inhibited the growth of the bacteria. Furthermore, when the concentration of CFS (without neutralization) was changed to 1:4 and 1:8, a difference in inhibition was observed between Gram-positive and Gram-negative bacteria. CFS more effectively inhibited the growth of Gram-negative E. coli O157:H7 and S. Typhimurium than Gram-positive L. monocytogenes and S. aureus. These results suggest that organic acids in LAB may inhibit the growth of foodborne pathogenic bacteria, particularly Gram-negative bacteria.

부추와 부추 재배 토양의 미생물 오염도 조사 (Evaluation of Microbial Contamination in Leek and Leek Cultivated Soil in Korea)

  • 양수인;서승미;노은정;류재기;류경열;정규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534-541
    • /
    • 2019
  • 본 연구는 부추의 안전한 재배를 위해 전국에 부추를 재배하는 지역 중 겨울재배지 A지역 3농가(I, II, III)와 여름재배지 B지역 3농가(I, II, III)를 선정하여 부추와 부추가 재배되고 있는 토양의 미생물 오염도를 조사하였다. 부추와 부추 재배 토양에서 위생지표세균(일반세균수, 대장균군, 대장균)과 병원성 미생물(B. cereus, E. coli O157:H7, Salmonella spp., L. monocytogenes)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A지역 3농가의 부추에서 일반세균수는 5.87-8.76 log CFU/g으로 검출되었으며 r대장균군은 1.20-6.98 log CFU/g으로 검출되었다. B지역 3농가에서는 일반세균수가 6.30-7.90 log CFU/g으로 나타났으며 대장균군은 4.97-7.36 log CFU/g이었다. 또한 A지역 3농가의 부추 재배 토양에서 일반세균수는 5.94-7.48 log CFU/g으로 검출되었으며 대장균군은 2.45-5.62 log CFU/g으로 검출되었다. B지역 3농가에서는 일반세균수가 6.30-7.80 log CFU/g으로 나타났으며 대장균군은 6.17-7.40 log CFU/g으로 검출되었다. A지역과 B지역의 부추, 부추 재배 토양에서 대장균이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 두 지역의 부추와 부추 재배 토양의 병원성 미생물 분석 결과, B. cereus는 A지역의 부추 시료 30개 중 8개(26.6%) 시료에서 검출되었으며 부추 재배 토양 24개 시료 중 24개(100%) 시료에서 검출되었다. 또한 B지역 3농가는 모두 멀칭한 농가로 부추에서는 B. cereus가 검출되지 않았으며 부추 재배 토양에서 9개 시료 중 6개(66.6%) 시료에서 검출되었다. 반면에 두 지역의 부추와 부추 재배 토양에서 E. coli O157:H7, Salmonella spp., L. monocytogenes은 검출되지 않았다. 농산물에서 B. cereus와 같은 병원성 미생물의 오염은 재배단계에서 토양 등으로 인해 쉽게 오염될 수 있다. 이러한 오염을 줄이기 위해 농작물 재배 시 작물과 토양의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해 토양 멀칭재배와 온도 및 습도 등 재배환경을 관리하는 것이 미생물 오염도를 줄이는데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농산물로 인한 식중독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재배환경 모니터링 연구와 위생적인 관리방안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