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learning environment

검색결과 520건 처리시간 0.027초

e-Learning에서의 커뮤니티 활성화와 학습참여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ctivation of Cyber University Communities and Participation in e-Learning)

  • 이진희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6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9-42
    • /
    • 2006
  • 이러닝에서의 커뮤니티 활동이 학습 참여도에 어떤 영향을 주며, 학습 만족에는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연구 자료를 바탕으로 연구 성과를 분석한다. 기존 연구로는 커뮤니티 활동의 특성과 학습 동기유발 수단, 학습참여도에 관한 내용을 기초로 정리하였으며, 커뮤니티 활동을 통해 친밀감을 형성하고, SMS, e-mail 등 학습수단이 학습참여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임을 알 수 있다.

  • PDF

유비쿼터스 환경을 위한 SCORM 기반의 학습지원 프레임워크 (The SCORM Based Learning Support Framework for Ubiquitous Environment)

  • 정화영;홍봉화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661-667
    • /
    • 2010
  • 많은 기존의 E-러닝은 SCORM과 LMS를 연동하고 있다. 또한 U-러닝은 E-러닝의 하나의 트랜드로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U-러닝에서 기존의 SCORM과 LMS를 연동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매우 미흡하게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SCORM과 LMS를 연동한 U-러닝 프레임워크를 제안하고자 한다. U-러닝에서 사용하는 각기 다른 모바일 기기의 특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모바일 기기 변환모듈과 학습객체 재구성 모듈을 이용하였다. 특히 모바일 기기 정보는 모바일 기기 메타데이터를 사용하여 저장하고 관리하였다.

스마트러닝 서비스 모델에 대한 연구 (A Study on Smart Learning Service Model)

  • 오승환;권오영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28-33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기기의 출현으로 급변하는 정보통신환경을 반영한 스마트러닝 모델을 제시한다. 스마트 기기들은 화면크기와 성능이 다양하지만 크게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개인용 컴퓨터(PC), 스마트 TV로 구분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각 기기 유형별로 서비스에 적합한 교육 콘텐츠와 상호작용 방법들에 대하여 살펴보고, 각 기기 특성에 맞는 스마트러닝 서비스 모델과 향후 정보통신환경을 반영한 스마트 러닝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원거리 학습을 이용한 실시간 PLC 실습환경 개발 및 적용사례 (A Case Study of On-line PLC Laboratories Using Distance Learning)

  • 이성열
    • 산업공학
    • /
    • 제18권4호
    • /
    • pp.412-417
    • /
    • 2005
  • This paper describes the development of on-line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PLC) laboratories to teach the detailed operation of a PLC using distance learning approach. The PLC has become a key component to provide intelligence for machines in CIM environment. This study introduces a case study that teaches PLC programming in distance learning environment. The study describes the contents of PLC laboratories and workstation set ups. The study concludes with problems found and proposes the ways to improve the on-line laboratories.

맞춤 e-learning을 위한 컴퓨터 적응 진단 및 수업 체제 개발 연구 (A study for developing a system of computer adaptive diagnosis and instruction(CADI) for tailored learning under e-learning environment.)

  • 이중권;김성훈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3권3호
    • /
    • pp.291-307
    • /
    • 2004
  • This study focused on the developing a system of computer adaptive diagnosis and instruction(CADI). This system is a conceptual model that connected learning with assesment by using new media such as computers, multimedia, and new technologies. In this conceptual model, adaptive diagnosis means tailored or customized diagnostic evaluation, and adaptive instruction implies tailored or customized instruction. The connection between learning and assesment suggests that they are closely related to determine following learning contents and learning methods. CADI's expected effect are 1) it can contribute to real learning of core concept, 2) it can enlarge the educational opportunities, 3) it can help students study by student himself and learn media literacy, 4) information for evaluation functions more essential roles, 5) it is possible to work cooperatively with any other school subject.

  • PDF

이러닝 학습자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컴퓨터 자기 효능감, 자기 조절 효능감 및 LMS 품질 (The effects of computer self-efficacy,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and LMS quality on e-learner's satisfaction)

  • 이종기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97-106
    • /
    • 2007
  • Sloan 컨소시엄 2004에 의하면 원격교육이 고등 교육 분야에서 빠르게 성장하는 분야이다. 본 연구는 정보시스템 성공모델에 기초하여, 학습관리시스템에 대한 만족과 함께 이러닝 학습자 특성과 관련된 요인을 중심한 연구로서, 이러닝 학습자의 자기조절 학습 전략과 학습자의 컴퓨터 자기 효능감에 초점을 맞춘 연구이다. 학습자의 학습관리시스템 만족과 관련한 요인은 시스템 품질, 학습 컨텐츠 품질, 학습자와 교수자간의 서비스 품질로 구성하였다. 실증분석의 결과 이러닝의 학습관리시스템 만족과 관련하여 인지된 유용성, 인지된 사용용이성 및 서비스품질이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고, 학습자 스스로의 자기조절학습 전략과 컴퓨터 자기 효능감 역시 이러닝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요인임을 증명되었다.

  • PDF

e-러닝 기반의 SPRT형 CAT모델에서 학습정보이력 요소의 적용이 판정의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lements of Learning Information's Record on the Correctness of Decision When Applied to the E-Learning based on CAT with SPRT Model)

  • 김경현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71-79
    • /
    • 2007
  • 본 연구는 e-러닝 기반의 SPRT형 CAT모델에서 학습정보이력 요소(학습시간 및 모의테스트 점수)의 적용이 판정의 정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보았다. 그 결과, e-러닝 기반의 SPRT 판정에 학습정보이력요소(학습시간과 모의테스트 점수) 변인을 적용하면 SPRT 판정의 정확성을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음을 밝혀내었다. 특히 모의테스트 점수 변인은 거의 90%에 이르는 개선 효과를 보여주어 실제 e-러닝 평가 환경에서 곧바로 활용할 수 있는 변인으로 판명되었다. 따라서 학습정보이력요소를 평가영역의 SPRT와 접목시킨다면 학습자의 성적을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판정할 수 있어, 궁극적으로 e-러닝 학습자의 개별화 촉진에 실제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다양한 학습정보이력요소를 반영한 알고리즘을 개발한다면 한 단계 높은 수준의 e-러닝 평가 프로그램을 제작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e-learning 환경을 위한 실감형 교육 컨텐츠 시스템 (An Augmented Education Contents for an E-learning Environment)

  • 한은정;김기락;정기철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2 (1)
    • /
    • pp.268-270
    • /
    • 2004
  • 본 논문은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을 이용하여 학습자에게 효과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e-learning 교육컨텐츠 환경을 제공한다. 현재까지 연구되어온 증강환경을 이용한 교육 컨텐츠는 단순한 상호작용만을 허용하고, 실감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에는 제약이 따른다. 본 논문은 이를 개선하기 위해 기존의 교육 컨텐츠를 실감형 교육 컨텐츠로 전환할 수 있는 시스템 구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컨텐츠의 배치, 조작, 학습과정 등에서 기존의 교육 컨텐츠보다 인터랙티브하고 직관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실감형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 PDF

Factors Influencing Learning Satisfaction of Migrant Workers in Korea with E-learning-Based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 Lee, Young Joo;Lee, Dongjoo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6권3호
    • /
    • pp.211-217
    • /
    • 2015
  • Background: E-learning-based programs have recently been introduced to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OSH) education for migrant workers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factors related to migrant workers' backgrounds and the instructional design affect the migrant workers' satisfaction with e-learning-based OSH education.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surveys of 300 migrant workers who had participated in an OSH education program. Independent sample t 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ere conducted to examine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learning satisfaction using background variables. In additi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examine relationships between the instructional design variables and the degree of learning satisfaction.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learning satisfaction by gender, age, level of education, number of employees, or type of occupation, except for nationality. Among the instructional design variables, "learning content" (${\beta}=0.344$, p < 0.001) affected the degree of learning satisfaction most significantly, followed by "motivation to learn" (${\beta}=0.293$, p < 0.001), "interactions with learners and instructors" (${\beta}=0.149$, p < 0.01), and "previous experience related to e-learning" (${\beta}=0.095$, p < 0.05). "Learning environment"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degree of learning satisfaction. Conclusion: E-learning-based OSH education for migrant workers may be an effective way to increase their safety knowledge and behavior if the accuracy, credibility, and novelty of learning content; strategies to promote learners' motivation to learn; and interactions with learners and instructors are systematically applied during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e-learning programs.

E-learning의 결정요인이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Determinants of Distance-Learning on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 손달호;김현주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0권2호
    • /
    • pp.49-70
    • /
    • 2008
  • 교육의 패러다임이 교수자 중심에서 학습자 중심으로 바뀌면서 가상 교육의 환경이 현실에서 벌어지는 교육환경과 많은 차이가 있을 뿐 아니라 인터넷 기반 교육은 학습자들 간의 다양한 상호작용을 지원할 수 있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E-Learning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추출해서 추출한 요인들이 E-Learning 기대효과와 학습효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위하여 E-Learning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크게 학습자의 특성과 시스템 지원환경, 교수자의 특성 3개의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학습자의 특성 요인은 사용의 편의성과 자기효능감의 2개의 요인들로 구성하였으며, 시스템의 특성요인은 컨텐츠 구성, 내용의 적정성, 상호작용정도, 매체 풍부성 4개의 요인으로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수자의 특성 요인들로는 강의내용, 강의 스타일, 교수자신용도 등 3개의 요인들로 구성하였다. 분석결과 학습자의 특성은 사용자 편의성이 기대효과와 학습효과에 유의한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인터넷을 통한 학습의 편리성이 학습의 성과가 향상되기를 바라는 학습자의 기대가 컸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되고, 또한 학습효과도 학습자가 학습에 거는 기대감이 학습효과에 반영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