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ynamic walking

검색결과 380건 처리시간 0.03초

정상인의 지면수평자보행에 대한 입각기 압력중심의 이동 (Movements of the Center of Pressure During Stance Phase in Free Level Walking of Normal Adults)

  • 김영호;양길태;문무성;박시복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587-592
    • /
    • 1999
  • 압력측정시스템은 입각기동안 동적압력분포를 성공적으로 측정할 수 있으나 하중수용기-중간입각기, 말기입각기-전유각기의 전환기들에 대해서는 운동분석시스템을 사용하지않고는 정확한 정의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저자들은 수평자유보행 시 압력중심의 이동을 이해하기 위해서 정상적인 발을 가진 20-30대 성인남자 78명을 대상으로 동작분석과발바닥 압력측정을 동시에 수행하였다. 결과로 하중반응기-중간입각기 전환시기의 발바닥 압력중심점은 후족부와 중족부의 경계선에서 앞쪽으로 1.9$\pm$1.5frame(32$\pm$24msec)에 위치하였으며 말기입각기-전유각기 전환시기에는 중족골두 최대 압력점의 앞쪽으로 2.3$\pm$2.0 frame(38$\pm$33msec)에 위치하였다. 정상수평보행에 있어서 최초접지 순간 압력중심은 전방으로 빠르게 이동하다가 바로 급속히 감소하여 하중반응기-중간입각기의 전환시기에는 작은 속도로 이동하였다. 압력중심의 이동속도는 그 후 다시 서서히 증가하다가 전체 보행주기의 25% 전후에서 서서히 감소하여 비교적 일정하다가 말기입각기-전유각기의 전환시점에서 다시 급격한 증가를 보였다. 족부질환과 보행특성을 판단하는데 있어서 압력중심의 이동궤적은 매우 유용한 인자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를 통해서 압력측정시스템만으로는 정의할 수 없었던 두 전환기인 하중반응기-중간입각기, 말기입각기-전유각기를 결정할 수있게 되었다.

  • PDF

만성 발목 불안정성(CAI) 환자와 건강 대조군 간 종합적 발목관절복합체의 생체역학적 특성 (Bio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Comprehensive Ankle Joint Complex between Chronic Ankle Instability (CAI) and Healthy Control)

  • Kim, Byong Hun;Jeong, Hee Seong;Lee, Inje;Jeon, Hyung Gyu;Lee, Sae Yong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68-175
    • /
    • 2021
  •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static and dynamic analysis of ankle joint complex between subjects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CAI) and healthy controls. Method: A total of 38 subjects and CAI group (N=19) and healthy control (N=19) participated in this first study. Variables that were measure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Subtalar joint axis inclination and deviation 2) Rearfoot angle 3) Navicular drop test 4) Heel alignment view in alignment analysis. Intra Correlation Coefficient (ICC) is used for reliability. A secondary 17 subjects are recruited including 9 of CAI and healthy for gait analysis between group. Lower extremity sagittal, frontal, and transverse kinematics were measured. All data were analyzed to ensemble curve analysis. Results: 1)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anding rearfoot, navicular drop, heel alignment view, subtalar joint (STJ) inclination and deviation. 2) Only in sagittal, meaningful difference is showed during walking in gait analysis. Conclusion: Morphological problem can affect ankle sprain in aspect of structure with no relation to compensation of neuromuscular.

The Sagittal Balance of Cervical Spine : Comprehensive Review of Recent Update

  • Sang Hoon Lee;Tae Hwan Kim;Seok Woo Kim;Hyun Take Rim;Heui Seung Lee;Ji Hee Kim;In Bok Chang;Joon Ho Song;Yong Kil Hong;Jae Keun Oh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6권6호
    • /
    • pp.611-617
    • /
    • 2023
  • The cervical spine plays a critical role in supporting the skull, maintaining horizontal gaze, and facilitating walking. Its unique characteristics, including the widest range of motion among spinal segments, have led to extensive research on cervical sagittal alignment. Various parameters have been proposed to evaluate cervical alignment, with studies investigating their clinical significance, correlation with symptoms, and implications for surgical interventions. Recent findings suggest that cervical sagittal alignment not only impacts the cervical spine but also influences global spine-pelvic alignment through compensatory mechanisms. This comprehensive review examines classical and new parameters of cervical sagittal alignment and considers the dynamic and muscular factors associated with it.

지역사회 노인낙상예방을 위한 운동 프로그램 개발 및 예비조사 (Development of a Fall-prevention Exercise Program for Elderly People in Community)

  • 이선희;박원숙;신계영;이경숙;임경춘;김민주;이인옥;최희권;박미성;배선형;유재선;정재희;윤인숙;은영;최미경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61-70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new fall-prevention exercise intervention for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program. Methods: A total of 7 older adults were participated in a 10-week fall-prevention exercise intervention (1 day per a week in community centers, 2 days per a week in a home). The exercise program consisted of warming-up, extension exercises, muscle strength exercises, balance exercises, and finishing exercise. Data were collected before the exercise and after 10 weeks of exercise. In this study, muscle strength of lower limbs was measured by 10 times of standing up and sitting on a chair. Static balance was measured by one-leg standing, and dynamic balance was measured by 6 meter walking. Results: After a 10-week exercise program, muscle strength of lower limbs (t=4.18, p<.05), statical balance were significantly improved (left leg, t=-3.11, p<.05; right leg, t=-4.56, p<.05). Seven of 11 items measuring fear of fall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p<.05), and dynamic balance tended to be improved (p=.117). Conclusion: This result suggests that evidence-based, fall-prevention exercise program can improve muscle strength, static and dynamic balance, and fear of falling in the community living elderly.

실시간 대중교통 경로안내를 위한 Space Time Point 모델의 설계와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pace Time Point for Real-time Public Transportation Route Guidance)

  • 김수호;주용진;박수홍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0권3호
    • /
    • pp.83-93
    • /
    • 2012
  • 최근 환경문제로 인해 보행, 자전거, 대중교통과 같은 친 환경 교통수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보행과 자전거는 경우에 따라 장거리 이동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용범위가 제한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반면에 대중교통은 교통체증이라는 사회적 문제점까지 해결할 수 있는 교통수단이다. 이러한 대중교통은 시간에 따라 운행여부가 달라진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하지만 현재 웹상에서 서비스중인 대중교통정보 안내 서비스는 이러한 특징을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 사용자에게 잘못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한계점을 해결하고 대중교통의 운행정보를 고려한 정보제공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STP(Space Time Point)데이터 모델을 제안하였다. STP데이터 모델은 객체의 최하위 개념을 포인트 단위로 인식하고 이들을 계층적으로 구성하여 객체를 표현할 수 있으며, 기존의 시공간 데이터 모델과는 달리 시간에 따라 객체정보가 변하는 다양한 동적 공간객체의 구현이 가능하다. 대전지역을 대상으로 대중교통 운행정보로 버스 및 지하철에 대한 STP모델을 설계 및 구축하고 이를 이용하여 동적 경로 안내 기능을 구현하였다. 구현한 경로안내 기능을 통해 대전국립현충원에서 한남대학교로 가는 경로를 시간대별로 탐색해 본 결과 대중교통의 운행에 제한이 발생하는 심야시간에는 운행이 제한되는 노선을 우회하는 경로를 안내함으로써 시간에 따라 서로 다른 경로를 나타내었다. 이는 기존 데이터 모델에서는 제공할 수 없는 결과로 실시간 운행정보를 고려한 경로안내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기능은 실시간 교통정보나 통행이력정보등과 같은 다양한 데이터 모델의 적용을 통해 추가적인 기능 확장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복합운동이 여성노인의 낙상관련 건강체력, 낙상위험도, 자세균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mbined Exercise Training on Physical Performance, Falling Risk and Balance in Elderly Women)

  • 박혁;김대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371-378
    • /
    • 2021
  • 본 연구는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낙상예방을 위한 12주간 복합운동프로그램이 여성노인의 낙상관련 건강체력, 낙상위험도, 자세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대상자는 운동그룹 16명 통제그룹 16명으로 총 32명이 참여하였다. 운동그룹은 복합운동프로그램을 주 3회 60분씩 12주 동안 실시하였고 통제그룹은 같은 기간 동안 일상적인 생활을 하였다. 여성노인들의 낙상관련 건강체력은 노인체력검사(SFT: senior fitness test)중 동적평형성, 2분 동안 제자리걷기, 30초 동안 일어섰다 앉기 검사를 측정하였다. 여성노인들의 낙상위험도는 Tetrax장비로 측정하고 자세균형능력은 Spine Balance 3D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ver. 21을 이용하여 이원반복측정 변량분석(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을 실시하였고, 유의수준은 α=.05로 하였다. 본 연구결과 복합운동을 적용한 운동그룹은 동적평형성(p=.001), 2분 제자리걷기(p=.001), 30초 동안 일어섰다 앉기(p=.001), 낙상위험도(p=.002), 자세균형(p=.034)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보였지만 통제그룹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보면 여성노인들의 12주간 복합운동프로그램 참여가 그들의 건강체력과 자세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낙상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군사 동작 인식을 위한 IMU 기반 발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개발 (Development of an IMU-based Wearable Ankle Device for Military Motion Recognition)

  • 장병준;조정훈;김도현;박경원
    • 지능정보연구
    • /
    • 제29권2호
    • /
    • pp.23-34
    • /
    • 2023
  • 군용 웨어러블 어플리케이션은 기존에는 상상할 수 없었던 개인 상태 점검 및 모니터링을 가능케 함으로써 큰 주목을 받고 있다. 그 중에서도 인간의 동작 상태를 인식하기 위한 기술은 개별 병력의 운용 현황 및 이동 상태를 즉각적으로 수집하여 능동적인 병력 관장을 허용한다는 점에서 그 필요성이 매우 높다. 본 논문에서는 군용 웨어러블 어플리케이션 연구의 일환으로 전투 상황 중의 군인이 어떤 환경에서 어떤 동작을 수행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는 발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안한다. 실제상황을 가정했을 때, 군인의 상지는 상황에 대한 변동성에 쉽게 노출되므로 지면과 상시 상호작용하고 있는 발목 부근에 측정 모듈을 부착한다. 측정 데이터는 각 동작 중의 3축 가속도 및 3축 각속도로 이들은 인간이 설정한 알고리즘으로는 해석이 불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동적 데이터를 활용해 인간의 행동양식을 파악하기 위해 데이터의 이동 양상을 모델링하는 과정을 소개한다. 데이터로부터 추출되는 특징은 총 네 가지로 (최댓값, 최솟값, 평균, 표준편차) 딥러닝 모델의 인풋으로 활용돼 총 여덟 종류의 주요 군사 동작(Sitting, Standing, Walking, Running, Ascending, Descending, Low Crawl, High Crawl)을 분류하는데 활용된다. 그 결과, 임의의 시험 상황에 대해 95.16%의 정확도로 군인의 이동 현황을 파악해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웨어러블 기술 및 인공지능을 융합하여 군용 어플리케이션으로 확장될 동작 인식의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실시간 헬스케어 모니터링의 독립 구동을 위한 접촉대전 발전과 전자기 발전 원리의 융합 (Stand-alone Real-time Healthcare Monitoring Driven by Integration of Both Triboelectric and Electro-magnetic Effects)

  • 조수민;정윤수;김현수;박민석;이동한;감동익;장순민;라윤상;차경제;김형우;서경덕;최동휘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60권1호
    • /
    • pp.86-92
    • /
    • 2022
  • 최근 COVID-19 팬데믹 등 다양한 이유로 인해 바이오 헬스케어 시장이 전세계적으로 활성화되고 있다. 그 중, 생체정보 측정 및 분석 기술은 앞으로의 기술적 혁신성과 사회경제적 파급효과를 불러일으킬 것으로 예측된다. 기존의 시스템은 생체 신호를 받아 신호 처리를 하는 과정에서 신호 송×수신부, 운영체제, 센서, 그리고 인터페이스를 구동하기 위한 대용량 배터리를 필수적으로 요구한다. 하지만, 배터리 용량의 한계가 인해 시×공간적인 기기 사용의 제한을 야기하며, 이는 사용자의 헬스케어 모니터링에 필요한 데이터의 단절에 대한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헬스케어 디바이스의 큰 걸림돌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생체정보 측정 장치에 접촉대전 효과(Triboelectric effects)와 전자기유도 효과(Electro-magnetic effects)를 융합하여, 외부 전원을 요구하지 않는 독립 구동이 가능한 시스템을 구성하여 시×공간적으로 사용 제한이 없는 소형 생체정보 측정 모듈을 설계 및 검증했다. 특히, 다양한 헬스케어 모니터링 중 족압 계측을 통해 사용자의 보행 습관 등을 파악할 수 있는 무선 족압 계측 모니터링 시스템을 검증했다. 보행 시 발생하는 접촉×분리 움직임에서 접촉대전 효과를 이용한 효과적인 압력 센서와 압력에 따른 전기적 출력신호를 통해 족압 센서를 만들고, 축전기를 이용한 신호처리 회로를 통해 이의 동적 거동을 계측할 수 있다. 또한, 출력된 전기신호의 무선 송×수신용 전원으로 사용하기 위해 전자기 유도 효과를 이용하여 보행 시 생기는 생체역학적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수확했다. 따라서, 이번 연구는 사용자가 제한적인 배터리 용량 때문에 생기는 충전에 대한 불편함을 줄일 수 있고, 뿐만 아니라 데이터 단절에 대한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큰 잠재력을 보여줌을 시사한다.

채석장의 채석작업 후 부지 활용에 대한 의식 분석 (Analysis of Consciousness on Land for the Another Use After Quarrying)

  • 박재현;이준우;박종민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43-151
    • /
    • 201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use efficiently forest resources through the survey of analysis of consciousness for the application of other use following quarrying. The application types of other use following quarrying were 366 people (49.5%) for forest recreation, 164 people (22.2%) for facility application, 117 people (15.8%) for vacation facility, and 93 people (12.6%) for tree planting types. According to the test of independence between facility utility types and gender, male preferred the leisure facility type, but female preferred the forest recreation type. The tree planting type was not related to the gender, but male preferred facility application types. Also, female preferred a static use type such as recreation and walking, while male preferred a dynamic use type such as the leisure and facility application types. According to the test of independence between facility application and occupation types students and company employees preferred the leisure facility type, while school faculty and staff, self employees, and housewives preferred the forest recreation type. Public servants preferred tree planting and facility application types. The sojourn time was the overnight and 6-8 hours in the leisure facility type, within 4 hours in the forest recreation and tree planting types, and 6-8 hours in the facility application types. Other use plans of the quarry site following quarrying will be needed to establish quarry facility application models with consideration for visitor's preferences.

만성 뇌졸중 환자들의 Sit to Stand Test의 임상적 유용성 (The Usability of Sit to Stand Test Performance in Chronic Stroke)

  • 조휘영;안승헌;이윤복;홍현화;이규창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549-558
    • /
    • 2013
  • PURPOSE: This study is designed as a retrospective study, and identified the clinical usability of Sit to Stand (STS) test for predicting of fall incidence in stroke patients who experienced a fall within 1 year. METHODS: Between July 2011 and November 2012, 69 inpatients with stroke in K rehabilitation hospital were participated under voluntarily signing the informed consent form. STS test and 10m walk test (10MWT) were used to assess the muscle strength of lower-extremity and walking velocity, respectively. Also, we tested dynamic balance and motor function of lower-extremity in affected-side using with the Berg balance scale (BBS) and the Fugl-Meyer assessment of lower extremity (FM-L/E). METHOD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ubjects with fall-experienced group and without subjects without fall-experienced group in STS test, 10MWT, BBS scores and FM-L/E. STS test significantly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10MWT (r=-.657), BBS (r=-.512), and FM-L/E (r=-.563). And, 10MWT have a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of STS test (the capacity of explanation = 20%). The cut-off value of STS performance predicting falls experience is ${\geq}14.36$ seconds (sensitivity=76%; specificity=79%, area under curve=.785). According to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f falls experience, subjects ${\geq}14.36$ s showed that 4.164 times (odd ratio) increased in falls than subjects < 14.36 s in STS test.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STS test may be a useful tool predicting and measuring falls in patients with stroke. Further study will be needed to elucidate the kinematic analysis of STS tes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level and falls in stroke pati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