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pace Time Point for Real-time Public Transportation Route Guidance

실시간 대중교통 경로안내를 위한 Space Time Point 모델의 설계와 구현

  • 김수호 (주식회사 에에엠아이 컨텐츠사업부) ;
  • 주용진 (인하공업전문대학 항공지리정보과) ;
  • 박수홍 (인하대학교 지리정보공학과)
  • Received : 2011.09.23
  • Accepted : 2012.06.25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Recent environmental concerns have made interest in environment-friendly transportation means such as walking, biking, and public transportation. However, since it is difficult to move long distance by walking or biking, their scope of application is rather limited. On the other hand, public transportation can solve traffic congestion, a recent social issue, though its usability may depend on its time schedule. Currently available information services on public transportation in the Web do not reflect well such traits of the public transportation; thus, in some cases, they may provide wrong information to end users. To solve such problems and provide information based on timetable of public transportations, this paper proposes a STP(Space Time Point) data model. Unlike existing space-time data models, this model recognizes the bottommost element of an object as a point and structures these points in hierarchical way to define an object. In particular, It can make it possible to implement a variety of dynamic spatial objects changing object information according to time. A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STP model for bus and subway based on timetables of public transportation in Daejeon area and builds a system to provide path navigation. With the designed navigation function, a path from the Daejeon National Cemetery to Hannam University was searched by time slot. The result showed that the system provided different paths by time, as the system guided different paths when bus operation was limited in midnight. As existing data model could not provide such results, it is confirmed that the system can provide path navigation based on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It is expected that based on such functionality, it is possible to provide additional functionalities by applying diverse data models such as real-time transport information or traffic history information.

최근 환경문제로 인해 보행, 자전거, 대중교통과 같은 친 환경 교통수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보행과 자전거는 경우에 따라 장거리 이동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용범위가 제한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반면에 대중교통은 교통체증이라는 사회적 문제점까지 해결할 수 있는 교통수단이다. 이러한 대중교통은 시간에 따라 운행여부가 달라진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하지만 현재 웹상에서 서비스중인 대중교통정보 안내 서비스는 이러한 특징을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 사용자에게 잘못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한계점을 해결하고 대중교통의 운행정보를 고려한 정보제공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STP(Space Time Point)데이터 모델을 제안하였다. STP데이터 모델은 객체의 최하위 개념을 포인트 단위로 인식하고 이들을 계층적으로 구성하여 객체를 표현할 수 있으며, 기존의 시공간 데이터 모델과는 달리 시간에 따라 객체정보가 변하는 다양한 동적 공간객체의 구현이 가능하다. 대전지역을 대상으로 대중교통 운행정보로 버스 및 지하철에 대한 STP모델을 설계 및 구축하고 이를 이용하여 동적 경로 안내 기능을 구현하였다. 구현한 경로안내 기능을 통해 대전국립현충원에서 한남대학교로 가는 경로를 시간대별로 탐색해 본 결과 대중교통의 운행에 제한이 발생하는 심야시간에는 운행이 제한되는 노선을 우회하는 경로를 안내함으로써 시간에 따라 서로 다른 경로를 나타내었다. 이는 기존 데이터 모델에서는 제공할 수 없는 결과로 실시간 운행정보를 고려한 경로안내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기능은 실시간 교통정보나 통행이력정보등과 같은 다양한 데이터 모델의 적용을 통해 추가적인 기능 확장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Camara, G., Monteiro, A. M. V., Paiva, J. A., Gomez, J., Velho, L., 2000, "Towards A Unified Framework For Geographical Data Models", Geoinfo 2000-II Workshop Brasileiro de Geoinformatica, pp. 37-44.
  2. Cova, T. J., Goodchild, M. F., 2002, "Extending geographical representation to include . elds of spatial objects", 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cience, vol. 16, no. 6, pp. 509-532. https://doi.org/10.1080/13658810210137040
  3. Goodchild, M. F., 1993, "The State of GIS for Environmental Problem-Solving", In Environmental Modeling with GIS, pp. 8-15.
  4. Kjenstad, 2006, "On the integration of object- based models and field-based models in GIS", 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cience, vol. 20, no. 5, pp. 491-509. https://doi.org/10.1080/13658810600607329
  5. Langran, G., Chrisman, N. G., 1988, "A framework for temporal geographic information", Cartographica, vol. 25, no. 3, pp. 1-14. https://doi.org/10.3138/K877-7273-2238-5Q6V
  6. Litman, T., 2007, "Developing Indicators for Comprehensive and Sustainable Transport Planning", Victoria Transport Policy Institute Paper, 07-2706.
  7. Pultar, E., Cova, T. J., Yuan, M., Goodchild, M. F., 2010, "EDGIS: a dynamic GIS based on space time points", 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cience, vol. 24, no. 3, pp. 329-346. https://doi.org/10.1080/13658810802644567
  8. Pultar, E., Raubal, M., Cova, T. J., Goodchild, M. F., 2009, "Dynamic GIS Case Studies: Wildfire Evacuation and Volunteered Geographic Information", Transactions in GIS, vol. 13, no. 1, pp. 85-104. https://doi.org/10.1111/j.1467-9671.2009.01157.x
  9. Worboys, M., 1994, "A Unified Model for Spatial and Temporal Information", The Computer Journal, vol. 37, no. 1, pp. 26-34. https://doi.org/10.1093/comjnl/37.1.26
  10. Yuan, M., 1996, "Temporal GIS and Spatio-Temporal Modeling", Third International Conference/Workshop on Integrating GIS and Environmental Modeling.
  11. 김수철, 2001, "광역대중교통수단간 연계시설 확충방안", 국토연구원, 국토, 제239권, pp. 46-56.
  12. 박세진, 2007, "연령에 따른 보행속도 및 보폭에 대한 고찰" 대한인간공학회 2007추계학술대회, pp. 430-434.
  13. 문대진, 2008, "최저 속력 동적 휴리스틱을 이용한 경로탐색",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제10권, 제2호, pp. 35-48.
  14. 박동선, 2001, "효율적인 시공간 저장구조를 갖는 시공간 데이터모델", 인하대학교공학박사논문.
  15. 박진경, 2008, "지속가능한 고속철도망 계획을 위한 투자우선순위 선정에 관한 연구", 한국철도학회, 제11권, 제1호, pp. 45-53.
  16. 배수강, 1999, "웹기반 대중교통 안내시스템 설계 및 구현", 정보과학회, 제5권, 제4호, pp. 426-439.
  17. 윤혜정, 2002, "미국의 스마트성장과 도시개발정책의 시사점",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37권, 제7호, pp. 7-16.
  18. 이홍로, 2001, "속성 버전화에 기반한 시공간 지리-객체의 객체 지향 데이터 모델", 전자공학회, 제38권, 제6호, pp. 1-17.
  19. 정우진, 2003, "퍼지논리 및 GPS정보를 이용한 링크통행속도의 예측", 퍼지 및 지능시스템학회, 제13권, 제3호, pp. 342-347.
  20. 정원일, 2003, "위치 기반 서비스를 위한 시공간 데이터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제5권, 제2호, pp. 5-21.
  21. 정일호, 2003, "지속가능한 교통정책의 추진방향", 국토연구원, 국토, 제264호, pp. 6-16.
  22. 최병두, 2004, "지속가능한 발전과 새로운 도시화-개념적 고찰", 대한지리학회, 제39권, 제1호, pp.70-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