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iving energy

검색결과 972건 처리시간 0.04초

주행모드에 따른 전기이륜차의 1회충전주행거리 시험방법에 관한 연구 (Per-Charge Range-Testing Method for Two-Wheeled Electric Vehicles)

  • 길범수;김강출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8권1호
    • /
    • pp.37-44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전기이륜차의 1회충전주행거리를 알아보기 위해 도로 주행시험과 차대동력계(Chassis Dynamometer) 주행시험을 하였다. 도로주행시험은 대전시(Daejeon Metropolitan City)의 도로 중 대표적인 3가지 루트에서 주행시험을 하였다. 차대동력계를 이용한 CVS-40모드 주행시험의 경우 도로 부하조건을 다양하게 설정하여 CVS-40 모드주행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로에서의 전기이륜차의 1회 충전주행거리(Per-Charge Range Testing)를 확인하고, 차대동력계 도로부하 설정방법에 따른 주행거리 및 에너지소비효율을 측정하였다. 이를 통해 실도로 주행시험과 차대동력계 주행시험을 비교하여, 차대동력계 실험에서도 전기이륜차 1회충전주행거리시험이 실도로에서의 주행조건과 근접한 결과를 갖는 도로부하 설정에 대해 연구하였다.

제한 주행시간을 만족하는 에너지 효율적인 전기자동차 주행 최적화 기법 (Energy Efficient Electric Vehicle Driving Optimization Method Satisfying Driving Time Constraint)

  • 백돈규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39-47
    • /
    • 2020
  • 본 논문은 추가 비용 없이 전기자동차(EV) 주행 범위를 확장하기 위해 에너지 효율적인 전기자동차 주행 프로파일을 도출하는 새로운 시스템 수준의 프레임 워크를 소개한다. 이 논문은 먼저 운전 차량에 작용하는 힘과 모터 효율을 고려한 전기차 파워 트레인 모델을 구현한 후, 경로에 의해 정의된 주행 임무에 대한 최소 에너지 주행 프로파일을 도출한다. 이를 위해서 본 프레임워크는 먼저 최적화 문제를 공식화하고, 가중치 계수를 이용한 동적 프로그래밍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에너지 소비와 운전 시간을 모두 최소화하는 주행 프로파일을 도출한다. 본 논문은 주행 시간 제약을 만족시키기 위한 다양한 가중치 계수 도출 방법을 소개한다. 시뮬레이션 결과, 제안 된 스케일링 알고리즘의 연산시간이 이진 검색 알고리즘 및 탐욕 알고리즘보다 각각 34 % 및 50 % 더 작음을 보여준다.

철도차량의 주행에너지 절약을 위한 열차 주행 패턴 모델링 (Modeling of the driving pattern for energy saving of the railway vehicles)

  • 김정현;김상훈;신한철;이세훈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1년도 제43차 동계학술발표논문집 19권1호
    • /
    • pp.107-108
    • /
    • 2011
  • 철도기술의 발전 이후 현재 도시철도에서는 국내 처음으로 열차의 안전한 운행 제어를 위한 자동/무인 운전이 가능한 자동 열차 운행 장치(ATO)를 도입해 안정적으로 정시 운행을 하고 있다. ATO 자동운전은 제어기준 값(목표속도)과 피드백 값(실제속도)간의 오차에 의한 전동차의 역행과 제동을 반복함으로 에너지 효율 낮다. 본 논문에서는 고정된 역간 거리를 정해진 운전 시분 내에 주행에너지를 최소화하며 주행하는 열차의 특성을 파악하고 모델링한다. 따라서 5호선 실 노선 구간별 운전시분 내에서 실측 데이터 분석을 위해 직선구간/구배구간/곡선구간 등 구간을 선정하고 그 구간에서 열차의 주행패턴에 따라 변화하는 주행에너지를 최소화하는 최적의 주행 패턴을 제시하였다.

  • PDF

ATO 시스템 전동차의 ECO 운행패턴 적용에 관한 연구 (시뮬레이션 결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Application of ECO Driving Pattern of Electric Multiple Unit in ATO System (Focus on Simulation Results))

  • 김규중;이근오;김주용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6-13
    • /
    • 2013
  • This study focuses on finding ECO driving patterns which consider driving safety of the ATO system train and reliability and which optimize efficiency of the driving energy consumption. Research results derived by performing simulation of those 5 models show that the emergency braking which affects safety of passenger and the machinery is minimized, and safe driving speed is maintained by the prohibition of drastic acceleration/deceleration, coasting and constant-speed driving. Therefore if this result is applied to the urban railway train by amending or making ATO program to save energy usage that improve environmental quality, its effects as ECO driving pattern is huge.

주행 상황에 따른 전기차와 내연기관차의 에너지 소비 비교 (Energy Consumption of the Electric Vehicle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 Vehicle for Different Driving Cases)

  • 김정민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8-13
    • /
    • 2020
  • In this paper, the electric vehicle (EV)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 vehicle (ICEV) are compared for different driving cases. The EV exhibits a lower powertrain efficiency when driven on the aggressive driving cycle than when driven on the moderate cycle. In particular, EV powertrain efficiency is low when the battery state of charge (SOC) is low, but ICEV efficiency increases when the driving cycle changes from the moderate cycle to the aggressive cycle. Based on these results, attempts can be made to increase EV powertrain efficiency. EV charging before the battery power drops to a low charging state can reduce energy consumption by 2.7% for an urban area. Furthermore, ECO driving has a more significant effect on EVs than on ICEVs.

경제적 주행을 위한 친환경 주행 시뮬레이터 모듈 개발 (Development of Eco driving Simulator Module for Economical Driving)

  • 정성학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151-160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경제적인 주행속도 지표를 제공하는 도로 주행 시뮬레이터의 모듈을 개발하는데 있다. 주행경제를 위한 친환경 주행 시뮬레이터 모듈은 에너지의 효율화, 도로안전향상, 지속가능한 저탄소 녹색성장의 도로운영기술, 비용절감 정보를 제공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현장에 구현되어 있는 도로선형과 도로기하구조정보에 따라 도로주행 정보와 모의주행 시나리오를 검토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기술사양을 구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친환경 주행 시뮬레이터 모듈은 주행모드 행위분석의 네비게이션 정보표출이나 이용편의성을 증진시키는 다양한 연계교통과 국도설계체계를 구축히는데 기여할 것이다.

AC Plasma Display Panel용 에너지 회수 회로의 동작과 구동 특성비교 (Comparison of Operation and Driving Characteristics of Energy Recovery Circuit for an AC Plasma Disaplay Panel)

  • 최병조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00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 /
    • pp.674-677
    • /
    • 2000
  • Operational principles and driving characteristics of two well-known energy recovery circuits for ac plasma display panels Weber and Sakai circuits are investigated Efficiency of two circuits is analyzed by comparing the in put current of the circuits with different operating conditions. Driving characteristics of the Weber circuit are studied when the magnitude and pulse width of the driving boltage very.

  • PDF

동기화 운전을 통한 에너지 절약형 열차군 관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trol a Group of Trains for Energy Saving by Synchronized Driving)

  • 김경민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59-1165
    • /
    • 2010
  • This paper describes an energy efficient train control. In these days, the researchers develop the energy efficient railway technologies, such as energy storage system, energy efficient driving. Mass rapid transit (MRT) railways, which are an important means of public transportation in urban areas, have operational characteristics that include short headways, frequent departures and arrivals. Therefore, when multiple trains are operating in the same power supply system, it is important to synchronize the energy tractions and regenerations. This paper define the group of trains for energy saving according to a power supply. We analyze the current synchronized driving situations and estimate the effect.

  • PDF

해머 쿠션 재질에 따른 모형말뚝의 소음, 에너지 전달효율 및 지지력 분석 (Model Tests on a Plastic Pipe Pile for the Analysis of Noise, Energy Transfer Effect and Bearing Capacity due to Hammer Cushion Materials)

  • 임유진;황광호;박영호;이진걸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12호
    • /
    • pp.33-43
    • /
    • 2006
  • 직항타공법에서 사용되는 해머 쿠션의 재질 차이가 항타시 주변 지반의 진동과 발생 소음 및 에너지 전달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실내 모형시험을 통해 평가하였다. 항타 과정을 모사할 수 있는 모델 말뚝과 항타시스템 및 스트레인 게이지와 홉킨슨 바(Hopkinson bar)를 이용한 에너지 전달효율 측정장치를 제작, 구성하였다. 해머 쿠션 재질로는 상용의 해머 쿠션재인 Micarta 이외, 현장에서 다수 사용하는 Plywood, Polyurethane, Rubber(SBR), Silicone rubber 등의 5가지 재료를 선정하여 항타시험을 실시하였다 항타시험결과 쿠션 재료별 에너지 전달효율은 (1)Micarta, (2)Polyurethane, (3)Plywood, (4)Rubber(SBR), (5)Silicone rubber의 순이었다. 또한 에너지 전달효율이 높은 쿠션재료가 음압레벨의 평균치 또한 높은 비례관계를 보였다. 항타 종료후 말뚝 정재하시험을 실시하여 말뚝의 지지력과 축하중전이 특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 Micarta와 Polyurethane이 다른 쿠션재료에 비해 높은 지지력 값을 보였다.

LEAP 모형을 이용한 도로교통부문의 온실가스 감축잠재량 분석 - 저탄소차협력금제도, 연비강화, 운전행태개선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GHG Reduction Potential on Road Transportation Sector using the LEAP Model - Low Carbon Car Collaboration Fund, Fuel Efficiency, Improving Driving Behavior -)

  • 김민욱;윤영중;한준;이화수;전의찬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85-93
    • /
    • 2016
  • This study the efficiency of greenhouse gas reduction of 'low carbon car collaboration fund' and its alternative 'control of average fuel efficiency and greenhouse gas', and 'improving driving behavior' were analyzed by using LEAP, long term energy analysis model. Total 4 scenarios were set, baseline scenario, without energy-saving activity, 'low carbon car collaboration fund' scenario, 'fuel efficiency improving scenario', and 'improving driving behavior' scenario. The contents of analysis were forecast of energy demand by scenario and application as well as reduc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 volume, and the period taken for analysis was every 1 year during 2015~2030. Baseline scenario, greenhouse gas emission volume in 2015 would be 7,935,697 M/T and 13,081,986 M/T in 2030, increased 64.8%. The analysis result was average annual increase rate of 3.4%. The expected average annual increase rate of other scenarios was, 'low carbon car collaboration fund' scenario 1.7%, 'fuel efficiency improving' scenario 3.0%. and 'improving driving behavior' scenario 3.4%. and these were each 1.7%, 0.3%. 0.3% reduce from baseline scenario. The largest reduction was 'low carbon car collaboration fund' scenario, and there after were 'fuel efficiency improving scenario', and 'improving driving behavior' scenar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