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ama Program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5초

지적장애아동의 사회적 능력의 발달을 위한 연극놀이 집단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성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the Creative Drama Group Program for the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 신동인;조연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482-497
    • /
    • 2013
  • 본 연구는 지적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극놀이 집단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러한 프로그램을 직접 적용하여 이들의 사회적 능력에 미친 효과성을 입증하며, 궁극적으로는 지적장애아동을 위한 연극놀이 집단프로그램을 제언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연극놀이 집단프로그램은 구성주의의 이론과 원리와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해서 개발되었으며, 약 6개월간 24회의 연극놀이 집단프로그램을 시행한 후에 양적방법의 유사실험설계와 질적 방법의 제 3자 관찰 분석의 방법을 활용하여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본 연극놀이 집단프로그램을 실행한 실험집단(지적장애아동=4명)의 사회적 능력을 사전, 사후에 비교해 본 결과는 p=.015로써 p<.0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반면, 비교집단(지적장애아동=4명)의 사회적 능력을 비교해본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효과성은 사회적 능력의 하위영역인 교사가 선호하는 행동, 또래가 선호하는 행동에서도 나타났으나 학교적응력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질적 방법으로 사회성기술평가척도를 활용하여 첫 번째 회기와 마지막 회기에 관찰한 결과를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의 아동들 4명은 자기주장, 협력, 자아통제의 영역인 사회적 기술영역에서 긍정적 변화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지적장애아동을 위한 연극놀이 집단프로그램의 유용성과 실행방안을 제언하였다.

An Educational Program against Digital Drama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 Choi, Eunsun;Park, Namj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0권1호
    • /
    • pp.36-41
    • /
    • 2022
  • Cyberbullying and digital drama are on the rise among students.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n educational program that can enhance students' ability to use artificial intelligence(AI) technology and develop the power to respond to digital drama.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 of the proposed education program, this education was applied on a trial basis to 205 middle school students residing in South Korea. Moreover, the change of coping ability to the digital drama was observed before and after education. After applying for the educational program, the students' empathy(t=-5.506, p<0.001), peer conflict resolution(t=-3.842, p<0.01), and peer mediation(t=-4.213, p<0.001) improved, and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ir anger control ability(t=-0.272, p>0.05). The educational program proposed in this paper uses AI to make it more attractive for students familiar with digital devices to participate in education and increase their educational concentration. This paper has its limitations as it is a study only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However, it is significant that the educational program proposed in this paper prevented the recently increased digital drama and led to a crucial change in coping ability.

발달장애인을 위한 연극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메타분석연구 (A Meta- Analysis on the Effectiveness Research of Drama Program for th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Korea)

  • 신동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7호
    • /
    • pp.361-369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시행되고 있는 발달장애인을 위한 연극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통합적으로 검토하기 위하여, 발달장애인을 위해 시행된 연극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들을 메타 분석하였다. 2022년 1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발달장애인을 위한 연극프로그램들을 검색하였고, 최종 13편의 논문을 선정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메타분석을 위해서는 통계프로그램인 CMA(Comprehensive Meta-Analysis) software 2.0을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인을 위한 연극프로그램의 평균효과크기는 사회성의 평균효과크기가 0.8335로 큰 효과크기를 나타냈고, 자기표현은 0.6512로 중간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 둘째, 발달장애인의 사회성 향상을 위한 연극프로그램의 효과성이 조절변수에 따라 차이가 나는지 검토해 본 결과, '참여자의 연령(발달장애아동>발달장애청소년>발달장애성인)', '총회기수(20~29회>10회~19회>30회 이상)', '연극프로그램유형(연극놀이>교육연극>연극치료)', '진행자 전공(연극놀이>교육연극>연극치료)'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국내에서 발달장애인을 위한 연극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실행방안을 제안하였다.

CVM 을 활용한 TV 프로그램 관광경제가치추정 - 드라마 및 여행예능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Estimating the Tourism Economic Value of TV Program using CVM - Focusing on Drama and Travel Entertainment Program -)

  • 이종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171-180
    • /
    • 2021
  • 대중매체에 노출된 장소는 잠재여행객에게 호기심과 기대를 형성하여 행동을 유도하며 대중매체를 통해 반복적으로 노출된 장소는 시청자에게 영향을 미친다. TV 프로그램 중에서 가장 큰 파급력을 지닌 장르는 드라마이고, 드라마와는 다른 특성의 몰입을 제공하는 리얼리티프로그램은 시청자의 여행지 선정에 영향을 준다. 관광지처럼 시장에서 평가되지 못하는 대상의 가치추정에 주로 이용되는 것이 가상가치평가법(CVM)이다. 본 연구는 CVM을 활용하여 드라마와 여행예능프로그램을 대상으로 촬영지의 경제적 가치평가를 실시 한 후 두 프로그램 촬영지의 연구결과를 비교분석 하였다. 드라마와 여행예능 프로그램 촬영지 지불의사측정을 위해 선형로짓과 로그로짓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지불가능금액을 도츨하였다. 연구결론은 드라마와 여행예능 프로그램 촬영지를 방문하는데 필요한 여행비용이 증가할수록 방문의사는 감소하였다. 드라마와 여행예능 프로그램 촬영지 방문시에 지불가능한 금액이 일반 당일여행 평균소비금액보다 높았으며 드라마가 여행예능프로그램 촬영지 방문보다 지불가능한 금액이 모두 높았다.

중국 유학생의 한국 드라마 및 오락 프로그램 몰입 결정 요인 (Determinants of User Immersion for Korean Drama and Entertainment Genre Programs among Chinese Students in Korea)

  • 마사;전범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111-119
    • /
    • 2012
  • 본 연구는 한국 TV 드라마에 따른 한국 내 중국 유학생들의 프로그램 몰입을 결정하는 요인이 무엇인가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드라마와 오락 프로그램에 대한 중국 유학생들의 몰입도를 살펴보면, 드라마보다 오락 프로그램 몰입도가 보다 높게 나타났다. 드라마가 이야기 구조와 스타 등장에 의존하는 콘텐츠라면 오락 프로그램은 보다 역동적이며 즐거움의 정도가 높기 때문에 중국 유학생들의 몰입도를 높이는 요인으로 판단된다. 둘째, 드라마와 오락 프로그램 몰입도를 성별, 한국어 능력 수준별, 한국 체류 기간별로 구분해서 평균값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별로는 드라마와 오락 프로그램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반면, 한국어 능력 수준이나 오락 프로그램에 대해 한국 체류 기간별 차이는 의미 있는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드라마 몰입도는 한국 체류 기간이 오래될수록 몰입도가 증가하는 결과를 살펴볼 수 있다. 셋째, 드라마와 오락 프로그램 몰입도 결정 요인을 살펴본 결과, 드라마 몰입도의 경우에는 프로그램 독특성, 한국 체류 기간, 드라마 장르 선호도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오락 프로그램 몰입도의 경우에는 프로그램 독특성, 스타 출연, 오락 장르 선호도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A Case Study of Drama Education for Kindergarten Children in the United States: Drama Specialists' Beliefs and Practices

  • Wee, Su-Jeong
    • Child Studies in Asia-Pacific Contexts
    • /
    • 제1권1호
    • /
    • pp.59-75
    • /
    • 2011
  • This case study examines two drama specialists' perspectives on the purpose of drama education and how their visions and beliefs are reflected in their drama practices during a sixweek kindergarten drama program. Two experienced drama specialists who have worked at public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the Midwestern United States were the main participants of this case study. Using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in-depth observations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arried out. Findings show that the drama specialists believed the purpose of drama education to be the building of self-confidence, creativity, awareness of the arts and respect for others. Both congruent and inconsistent relations between their beliefs and their teaching practices were observed. Based on these findings, an understanding of how specialists' beliefs and practices contribute to a broader understanding of drama education is further discussed.

유아 공동체의식 증진을 위한 교육연극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The Effects of an Educational Drama Program for Promoting Young Children's Sense of Community)

  • 정계숙;박희경;김지윤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35-155
    • /
    • 2019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xamine the effects an of educational drama program for promoting a sense of community on young children's community life skills. Methods: The program organized activities to achieve a sense of community. Community life skill, a behavioral skill that is the basis for developing a sense of community, was naturally reflected in the activities. The program was designed to run a total of 15 sessions twice a week for 60 minutes each time. The participants were five-year-olds, 27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6 in the control group.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a sense of community and community life skills were measur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 Result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on emotional consciousness and mutual public consciousness of sense of community; second, community life skills were improved through this program. Conclusion/Implications: Based on these results, the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al drama program for promoting young children's sense of community and the ways to promote children's sense of commun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were discussed.

드라마 시청률 예측모델에 대한 실증적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Forecasting Model of Popularity Rating for Drama Programs)

  • 이원재;이남용;김종배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325-334
    • /
    • 2012
  • 드라마 프로그램 제작은 창작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 왔다. 따라서 드라마 프로그램의 품질 향상에 대한 시스템적 접근은 별로 시도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KBS에서 제작되는 드라마 프로그램의 시청률을 방영 이전에 예측할 수 있는 통계적 계산모델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시청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찾아내고 이들의 상호관계를 회귀분석 기법으로 밝혀내어 시청률 예측모델을 도출했다. 본 연구결과는 드라마 프로그램의 제작에 필요한 각 투입 요소들의 적정 규모를 산정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생태 예술을 활용한 환경교육이 초등학생의 환경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 음악극을 중심으로 - (Effec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Ecological Art Education on Environmental Sensi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Focused on Music Drama -)

  • 이현민;이상원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3권3호
    • /
    • pp.35-49
    • /
    • 2010
  •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ecological art education focused on music drama, on the environmental sensitivity of 5th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in Seoul. A reconstructed questionnaire through Kim(2008)'s test tool was used to the effects of applying an ecological art educational program. The SPSS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result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er was able to develop and apply a professor-learning model for the environmental education using the ecological art education focused on music drama by extracting and recreating environment related contents from the 5th grader curriculum. Second, this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elementary students' environmental sensitivity. Third, according to qualitative results, students appear to be more concerned and interested in the environment and environmental problems in their daily lives. In conclusion, the ecological art program focused on music drama has a positive effect on increasing the environmental sensitivity of 5th graders. Therefore, more intensiv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link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s a follow-up activity.

  • PDF

교육연극을 적용한 사회적 유능성 중재 프로그램의 집단따돌림/위험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 증진 효과 연구 (Effectiveness of Creative Drama in Promoting Social Competence in Peer Abused/At-Risk Children)

  • 정계숙
    • 아동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171-183
    • /
    • 2002
  • This study examined the applicability of creative drama to a social competence program for poorly accepted(socially at-risk)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subjects were 40 $2^{nd}$(n=20) and $5^{th}$(n=20) grade children. The experimental group(n=20) participated in a social competence program that included 18 sessions of the creative drama activities during winter vacation. The Peer Rating Scale, the Peer Competence Scale, and the Quality of Friendship Scale were administered as pre- and post-test. Covariance analyses showed no differences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on peer competence and quality of friendship, but the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showed some differences in total scores and sub-areas on quality of friendship by grade and level of peer pre-acceptan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