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oherty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34초

질화갈륨 소자를 이용한 DPD용 Amplifier Pallet 개발 (Design of Amplifier Pallet for DPD Using Gallium Nitride Device)

  • 오성민;박정훈;조삼열;이재훈;임종식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1부
    • /
    • pp.76-79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고 효율 및 고 출력 특성을 가지는 질화갈륨(GaN) 소자를 이용하여 WiMAX 및 LTE System에 사용될 수 있는 DPD용 Pallet Amplifier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Pallet Amplifier는 Pre-drive로써 저 전류의 MMIC를 채택하고, Drive 단과 Main 단에 15W 급과 30W 급의 질화갈륨 소자를 사용 하였으며, 추가적인 효율 개선을 위해 PCB상에 Doherty Structure를 적용함으로써 보다 높은 효율을 구현하였다. 제작된 Pallet Amplifier는 음 전원 Bias 제어 회로, 온도에 따른 Gain 보상회로, Sequence 회로 및 Main 전원 Drop에 따른 보호 회로를 구현하였다. WiMAX Signal을 이용한 Modulation Power 10Watt Test에서 약 36.8~38.3%의 Pallet 효율과 DPD Solution인 TI GC5325SEK DPD Board 사용 시 ACLR은 약 46dBc 이상을 가지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본 논문에서 제작된 Pallet Amplifier는 Upper Band와 Lower Band로 나누어 제작되었던 기존 Pallet Amplifier와 달리 하나의 Pallet Amplifier로 2496~2690MHz에서 모두 사용하면서 종전에 사용되고 있는 Pallet Amplifier에 비해 Size가 최소 10% 이상 축소되어 효율 및 크기 면에서 종전 Pallet Amplifier보다 큰 이점을 갖는다.

  • PDF

SATELLITE SAR OBSERVATION OF SOLITARY INTERNAL WAVE OCCURRENCE IN THE NORTHERN SOUTH CHINA SEA

  • Zheng, Quanan;Susanto, R. Dwi;Ho, Chung-Ru;Song, Y. Tony;Xu, Qing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6 PORSEC Volume II
    • /
    • pp.938-941
    • /
    • 2006
  • Satellite synthetic aperture radar (SAR) images from 1995 to 2001 and field measurements of sea surface wind, sea state, and vertical stratification a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es of internal wave (IW) occurrence and SAR imaging conditions in the northern South China Sea (NSCS). Latitudinal distribution of IW packets shows that 22% of IW packets distributed in the east of $118^{\circ}E$ and 78% of IW packets in the west of $118^{\circ}E$. The yearly distribution of IW occurrence frequencies reveals an interannual variability. The monthly SAR-observed IW occurrence frequencies show that the high frequencies are distributed from April to July and reach a peak in June. The low occurrence frequencies are distributed in winter from December to February of next year. These statistical features are explained by solitary wave dynamics.

  • PDF

An investigation into energy harvesting and storage to power a more electric regional aircraft

  • Saleh, Ahmed;Lekakou, Constantina;Doherty, John
    • Advances in aircraft and spacecraft science
    • /
    • 제8권1호
    • /
    • pp.17-30
    • /
    • 2021
  • This is an investigation for a more electric regional aircraft, considering the ATR 72 aircraft as an example and the electrification of its four double slotted flaps, which were estimated to require an energy of 540 Wh for takeoff and 1780 Wh for landing, with a maximum power requirement of 35.6 kW during landing. An analysis and evaluation of three energy harvesting systems has been carried out, which led to the recommendation of a combination of a piezoelectric and a thermoelectric harvesting system providing 65% and 17%, respectively, of the required energy for the actuators of the four flaps. The remaining energy may be provided by a solar energy harvesting photovoltaic system, which was calculated to have a maximum capacity of 12.8 kWh at maximum solar irradiance. It was estimated that a supercapacitor of 232 kg could provide the energy storage and power required for the four flaps, which proved to be 59% of the required weight of a lithium iron phosphate (LFP) battery while the supercapacitor also constitutes a safer option.

LDMOS를 이용한 광대역, 고효율 전력증폭기의 설계 (A Design of Wideband, High Efficiency Power Amplifier using LDMOS)

  • 최상일;이상록;이영철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13-20
    • /
    • 2015
  • 종래의 LDMOS를 사용한 전력증폭기는 AB-급 및 도허티 방식으로 60MHz 대역폭의 협대역에서 55%의 효율을 보여주고 있으나, 기지국의 전력증폭 모듈의 RRH의 적용에 따라 100MHz이상의 대역확장과 60%이상의 고효율 전력증폭기를 요구하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LDMOS FET를 이용한 J-급 전력증폭기를 설계하여 200MHz대역에서 60%이상의 고효율 특성을 나타내었다. 설계한 J-급 전력증폭기는 2차 고조파 부하가 순수한 리액턴스 성분만을 포함하고 작은 양호도 Q 값을 갖도록 출력단 정합회로를 최적화 시켰다. 측정결과 WCDMA 주파수 대역을 포함한 2.06~2.2GHz에서 연속파 신호를 입력하였을 때 62~70%의 전력 부가효율(PAE)의 특성을 갖는 10W급 J-급 전력증폭기를 구현하였다.

다중대역 RRH를 위한 Class-J 전력증폭기의 광대역과 고효율 특성분석 (An Analysis of Wideband and High Efficiency Class-J Power Amplifier for Multiband RRH)

  • 최상일;이상록;이영철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6권3호
    • /
    • pp.276-282
    • /
    • 2015
  • 지금까지 LDMOS를 사용한 전력증폭기는 AB-급 및 도허티 방식으로 60 MHz 대역폭의 협대역에서 55 %의 효율을 보여주고 있으나, 기지국의 전력증폭 모듈의 RRH의 적용에 따라 100 MHz 이상의 대역폭 확장과 60 % 이상의 고효율 전력증폭기를 요구하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GaN 소자를 이용하여 2차 고조파 부하가 순수한 리액턴스 성분만을 포함하고, 광대역 특성을 갖도록 출력단 정합회로를 최적화하여 J-급 전력증폭기를 설계하였다. 측정 결과, W-CDMA 주파수 대역을 포함한 1.6~2.3 GHz에서 연속파 신호를 입력하였을 때 60~75 %의 전력 부가 효율 특성을 갖는 45 W급 J-급 전력증폭기를 구현하였다.

암 치료에서의 침술의 가치 (The Value of Acupuncture in Cancer Care)

  • 최정은;조종관;이연월;유화승
    • 대한암한의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17
    • /
    • 2010
  • 암 환자에의 침술 임상 연구는 종양학에서 새롭고 도전적인 분야이다. 임상 연구 결과는 환자와 종양학자들을 위한 임상적으로 타당한 답변을 우리에게 지속적으로 제공할 것이다. 침은 환자들에게 그들의 치료 계획에 활동적으로 참가할 수 있는 능력을 주면서 암과 암 치료관련 증상을 다루는데 안전하고 유효한 치료법이라는 일반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증거가 제시되었다. 미래의 연구는 임상 연구가, 임상의사, 그리고 환자의 연루를 요구한다. 혁신적 연구 방법의 발전 역시 중요하다. 더 많은 증거가 지속적으로 나오면서 종양 침술이 결국에는 종양학적 치료행위의 표준에 통합될 것이 기대된다. DFCI와 기타 주요 암 센터와 같은 주요 대학병원과 연구기관 에서의 침술의 성공적인 통합은 암 치료에 있어 침의 가치와 소용을 강조한다.

  • PDF

5G 시스템에 적용되는 고효율 전력증폭기 (High Efficiency Power Amplifier applied to 5G Systems)

  • 김영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7권2호
    • /
    • pp.197-202
    • /
    • 2023
  • 본 논문은 5G 시스템에 적용되어 인 빌딩, 지하철과 터널등에 사용되는 50 Watts급 중계기용 고효율 전력증폭기 설계 방법과 전기적 특성을 나타내었다. 여기서 설계된 전력증폭기의 종단 트랜지스터는 GaN(gallium nitride)을 사용하여 도허티방식으로 구성하였으며, 선형성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DPD(digital predistortion)를 이용하여 혼변조 신호를 제거하였다. 또한, 5G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증폭기의 이득 제어와 경보 처리등 다양한 요구사항을 처리하기 위해서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전력증폭기 내부에 존재하게 설계하였다. 통신사업자가 요구하는 규격의 전력증폭기는 46.5 dBm 출력전력과 증폭기 전체의 효율이 37%가 측정되었고, EVM(error vector magnitude)은 2.3% 그리고 ACLR(adjacent channel leakage ratio)은 52.8 dBc로 측정되어 요구되는 전기적 특성과 다양한 경보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Juan do Fuca 해저산맥의 동쪽 측면으로부터 얻은 해양성 현무암의 속도와 공극률의 관계: 균열닫힘이 탄성파 속도에 미치는 영향 (Velocity-porosity relationships in oceanic basalt from eastern flank of the Juan de Fuca Ridge: The effect of crack closure on seismic velocity)

  • 십건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1권1호
    • /
    • pp.41-51
    • /
    • 2008
  • 해양성 현무암층에 대해 현장에서의 속도와 공극률의 관계를 알기 위해서 Juan do Fuca 해저산맥의 동쪽 측면으로부터 채취한 현무암 시료들에 대해 최고 40MPa 구속압력(confining pressure)하에서 균열 특성을 고려하며 P파와 S파 속도를 측정하였다. 구속압력에 따른 속도의 변화는 미세균열의 닫힘(microcrack closure)에 기인한다고 가정하고, Kuster-$Toks{\ddot{o}}z$ 이론을 이용하여 미세균열의 개구비 스펙트라(micro-crack aspect ratio spectra)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서로 다른 시료들의 정규화된 개구비 스펙트라들이 유사한 특성을 갖는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나서 정규화된 개구비 스펙트럼(spectrum)으로부터, 각 공극률에 대한 개구비 스펙트럼을 계산함으로써 이론적인 속도와 공극률의 관계를 만들었다. 또한 구속압력에 따른 미세균열 닫힘을 고려하여 구속압력의 함수로서의 속도-공극률 관계를 얻을 수 있었다. 개구비 스펙트라를 고려한 이론적인 관계는 대기압하에서 측정된 100개가 넘는 시료들에 대해 관찰된 관계와 잘 일치하고, 넓은 범의의 공극률에 대해 일반적으로 관찰되는 압력 의존적인 관계와도 잘 일치된다. 실험에서 유도된 자료들과 이론적으로 계산된 값들의 일치를 통해 Juan de Fuca 해저산맥의 동쪽 측면으로부터 얻어진 현무암 시료의 속도와 공극률의 관계는 균열의 특성(즉, 정규화된 개구비 스펙트라)과 균열 담힘에 의해 설명되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