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position Effect

검색결과 260건 처리시간 0.034초

예비유아교사의 감사성향이 교사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창의적 인성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Gratitude Disposition and Creative Personality on Teacher Professionalism)

  • 이해정;좌승화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31-38
    • /
    • 2023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감사성향과 창의적 인성이 교사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으로는 예비유아교사 42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뒤, 384명을 연구대상으로 Window용 PASW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예비유아교사의 감사성향과 창의적 인성이 교사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기술통계 및 Pearson 적률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Sobel Test를 이용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감사성향, 창의적 인성, 교사전문성의 인식 수준은 보통 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감사성향, 창의적 인성, 교사전문성 간에는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감사성향이 창의적 인성을 매개로 교사전문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을 살펴본 결과, 창의적 인성 중 집요성이 가장 강력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교사전문성 향상을 위한 다양한 접근방법에서 감사성향과 창의적 인성이 효과적임을 규명하였고, 예비유아교사가 지녀야 할 교사전문성 함양을 위한 교육적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대학생의 협동학습역량이 인성에 미치는 영향: 창의성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Cooperative Learning Competency and Personality in University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s of Creativity)

  • 김세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746-754
    • /
    • 2021
  • 본 연구는 대학생의 협동학습역량이 인성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의 관계에서 창의성의 인지적인 측면인 창의적 능력과 정의적인 측면인 창의적 성향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에 소재하는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123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PROCESS Macro의 Model 6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한 연구결과는 첫째, 협동학습역량과 창의적 능력, 창의적 성향, 인성은 유의한 정적 상관이 확인되었다. 둘째, 협동학습역량은 인성에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협동학습역량과 인성의 관계에서 창의적 능력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협동학습역량과 인성의 관계에서 창의적 성향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협동학습역량과 인성의 관계에서 창의적 능력과 창의적 성향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학생의 인성을 함양하는데 있어서 중요하게 보고된 창의성 변인을 인지적 능력인 창의적 능력과 정의적 특성인 창의적 성향으로 세분화하여 인성이 함양되는 순차적인 매개 경로를 확인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논의와 시사점,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플립러닝을 적용한 기본간호학실습 수업이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비판적 사고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class with Flipped Learning on Self-efficacy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Nursing students)

  • 김혜숙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3호
    • /
    • pp.277-284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기본간호학 실습교육에 플립러닝 수업을 적용하여 자기효능감과 비판적 사고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연구 참여를 허락한 실험군 42명과 대조군 4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WIN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 결과 플립러닝을 적용한 수업을 받은 실험군의 자기효능감 점수는 수업 전에 비해 수업 직후(t=3.49, p=.001)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수업 후 10주(t=-0.75, p=.456)에 효과가 지속되었다. 실험군의 비판적 사고능력 점수는 수업 전에 비해 수업 직후(t=3.49, p=.001)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수업 후 10주(t=0.11, p=.913)에 효과가 지속되었으나, 강의식 수업을 받은 대조군의 자기효능감과 비판적 사고능력 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즉, 플립러닝을 적용한 기본간호학실습 수업은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비판적 사고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다는 것이 본 연구결과에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토대로 간호학 전공교과목에서 플립러닝 교수법 적용을 확대해야 함을 제언한다.

Effect of Gratitude Training Program on Dental Hygiene Students' Gratitude Disposition, Self-Esteem, and Happiness

  • Lee, So-Young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405-412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a gratitude training program for preservice dental hygienists affects their gratitude disposition, self-esteem, and happiness. Dental hygiene students were recruited from a college in D and administered a pretest. The 76 selected participants were primarily those who had never written a gratitude journal. Participants were then randomly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Three participants failed to complete the program, leaving 73 subjects in the final analysis.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chi}^2$ test,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analysis of covariance. The mean gratitude disposition score improved from $31.11{\pm}5.55$ in the pretest to $34.41{\pm}4.38$ in the posttest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from $31.44{\pm}4.41$ to $32.06{\pm}4.63$ in the control group. The mean self-esteem score improved from $31.22{\pm}4.03$ to $33.16{\pm}3.44$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from $30.53{\pm}4.42$ to $30.97{\pm}3.80$ in the control group. The mean happiness score improved from $19.54{\pm}2.64$ to $21.78{\pm}2.43$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from $19.64{\pm}3.32$ to $20.08{\pm}2.91$ in the control group. All of the participants improved their gratitude disposition, self-esteem, and happiness scores while participating in the gratitude training program, and it is expected that if such positive emotions can be sustained, they will naturally acquire the basic requirements of dental hygienists and build a better vocational consciousness and a higher sense of duty, as well as have a further posi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dental medical service. Further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propose a concrete plan to expand and operate this gratitude training program more effectively.

STAD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수업이 수학적 성향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athematical disposition and learning attitude in instruction utilizing STAD cooperative learning model)

  • 안종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2권2호
    • /
    • pp.147-174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STAD 협동학습 모형을 수학교과에 적용하여 학생들의 자신감 함양 및 학습동기를 유발하여 수학적 성향 및 학습태도의 향상을 도모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의 구체적인 목적은 아래와 같다. 첫째, 학생들의 자신감 함양 및 학습동기 유발을 위하여 STAD 협동학습 모형을 구안하고 적용한다. 둘째, STAD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하여 자신감 함양 및 학습동기를 유발한 수업이 수학적 성향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 달성을 위한 연구문제는 아래와 같다. 첫째, 학생들의 자신감 함양 및 학습동기 유발을 위한 수학과 STAD 협동학습 모형을 설계한다. 둘째, STAD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하여 자신감 함양 및 학습동기를 유발한 수업이 수학적 성향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본 연구에서 조사한다. 결론을 다음과 같이 제시 할 수 있다. STAD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하여 자신감 함양 및 학습동기를 유발한 수업을 한 집단과 전통적인 교과서 위주의 설명식 수업을 한 집단을 서로 비교 분석하여 본 결과 STAD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하여 자신감 함양 및 학습동기를 유발한 수업을 한 집단에서 수학적 성향과 학습태도에 유의미한 변화가 있음을 밝혔다.

전문여대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감사성향, 학업적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The Mediated Effects of Gratitude Disposi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between Academic Stress and Adjustment to College of Female College Students)

  • 이예원;이은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35-47
    • /
    • 2019
  • 본 연구는 전문여자대학 신입생의 학업스트레스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그 과정에서 감사성향과 학업적자기효능감의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연구모형을 수립하고 상관관계분석과 구조방정식 분석을 통하여 변인들 간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인천지역의 전문여대 신입생들 1785명을 대상으로 학업스트레스, 학업적자기효능감, 감사성향, 대학생활적응 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학업스트레스는 대학생활적응, 감사성향, 학업적자기효능감과 모두 부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연구 모형을 검증한 결과 감사성향과 학업적자기효능감이 학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을 순차적으로 부분 매개하는 이중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적응 및 학업 지도에 대한 시사점과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PBL기반 시뮬레이션 융합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비판적 사고성향, 목표몰입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imulation Integrated with Problem Based Learning(S-PBL) on Self-leadership,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Goal Commitment)

  • 권순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373-381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PBL기반 시뮬레이션 융합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비판적 사고성향, 목표몰입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설계는 단일군 사전사후설계이다. 연구대상자는 K대학 4학년 재학생에 재학중인 90명이며, 연구기간은 2019년 3월~6월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2.0을 이용하여 paired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PBL기반 시뮬레이션 융합교육 후 셀프리더십(t=-16.22, p<.001), 비판적 사고성향(t=-11.36, p<.001), 목표몰입(t=-7.06, p<.001)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상관분석에서 셀프리더십과 비판적 사고성향(r=.438, p<.001), 셀프리더십과 목표몰입(r=.285, p<.001)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PBL기반 시뮬레이션 융합교육은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비판적 사고성향, 목표몰입의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되었다. 추후 다양한 간호 상황을 적용한 PBL기반 시뮬레이션 융합교육에 대한 효과를 확인할 것을 제언한다.

온라인 건강사정실습 수업에서 능동학습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사고성향, 문제해결능력,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Active Learning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elf-leadership of Nursing Students in Online Nursing Health Assessment Practice Class)

  • 마현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5호
    • /
    • pp.39-50
    • /
    • 2022
  • 본 연구 목적은 코로나 19 펜데믹 상황에서 이루어진 온라인 건강사정실습 교과목에서 능동학습 적용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사고성향, 문제해결능력 및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자료수집은 21년 9월 1일부터 12월 17일까지 D대학교 간호학과 2학년 78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온라인 건강사정실습 수업에서 능동학습 적용 후 비판적사고성향(t=-2.11 p=.038), 셀프리더십(t=-2.07 p=.042)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능동학습으로 적용된 SOAP, 임상추론학습지(Outcome-Present-Test) 및 임상추론 웹 작성(Clinical reasoning web), 마인드맵 작성은 간호대학생들의 비판적사고성향과 셀프리더십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어 대면수업에서의 효과를 확인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과 비판적 사고성향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n Communication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 김지영;류현숙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83-91
    • /
    • 2022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과 비판적 사고성향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2021년 9월부터 11월까지 G도와 C도 2개 대학 간호학과 289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의사소통능력의 영향요인 분석은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은 문제해결능력(r=.61, p<.001), 비판적 사고성향(r=.65, p<.001)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문제해결능력과 비판적 사고성향(r=.81, p<.001)도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영향요인은 비판적 사고성향(β=.46, p<.001), 문제해결능력(β=.23, p<.001), 성별(β=.13, p=.003)로 46.0%를 설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해 문제해결능력과 비판적 사고성향의 향상을 고려한 교수학습 전략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군장교의 윤리적 성향과 업무환경 지각이 조직의 보안정책준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ilitary Officer's Ethical Disposition and Perceived Work Environment on Organizational Security Policy Compliance)

  • 김보라;성기수;김범수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2권3호
    • /
    • pp.31-58
    • /
    • 2020
  • 본 연구는 사회통제이론적 틀을 적용하여 조직구성원의 정보보안정책 준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도출하고, 군 조직구성원의 정보보안 관련 태도와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한 것이다. 육군장교 19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윤리성향(도덕성, 책임감, 윤리교육의 가치)과 업무환경(상사와의 관계, 업무과다, 임금만족)이 보안정책준수태도 및 의도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PLS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윤리성향 요인은 보안정책준수태도에, 업무환경요인(임금만족 제외)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보안정책준수태도는 윤리성향과 보안정책준수의도를, 상사와의 관계와 보안정책준수의도를, 이직의도와 보안정책준수의도를 유의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윤리성향이 개인의 보안의식수준을 예측할 수 있는 변인이고, 보안정책준수태도가 조직 보안 맥락에서 주요한 변인임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