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position Effect

검색결과 260건 처리시간 0.032초

개방형 학습활동이 수학적 창의력 및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n the Mathematical Creativity and Disposition by the Open-ended Learning Activity Approach)

  • 백종숙;류성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7권2호
    • /
    • pp.135-154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to improve the method of math teaching by analysing how learner-centered teaching method offsets mathematical creativity and mathematical disposition. For this purpose, research questions are established as follows; (1) Mathematical creativity between open-ended learning activity approach(OLAA) and general classroom-based instruction(GCI) shows any difference? (2) Mathematical disposition between OLAA and GCI shows any difference?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OLAA group and CCI group in mathematical creativity. This means that open-ended learning activity approach was generally more effective in improving mathematical creativity than general classroom-based instruction.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OLAA group and GCI group in mathematical disposition. But the average scores of mathematical disposition except mathematical confidence improved a little. So we can say that open-ended learning activity approach brought an positive influence on students' mathematical disposition.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suggest that the OLAA can be used to cultivate the children's mathematical creativity and disposition. Therefore, I suggest that teachers should use the OLAA to improve the children's mathematical creativity and disposition.

  • PDF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및 귀인성향이 스피치 불안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lf-Esteem, Self-Efficacy, and Attributional Disposition on Speech Apprehension in College Students)

  • 장해순;이만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382-392
    • /
    • 2021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귀인성향이 스피치 불안감에 미치는 영향력이 어떠한가를 밝혀내기 위한 목적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목적하에 서울, 경상, 전북지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239부를 상관관계분석, 다변인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분석한 결과들을 일목요연하게 제시해 보면 첫째,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이 높은 대학생일수록 스피치 불안감을 적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아효능감의 요인 중 자신감이 스피치 불안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내적 귀인성향이 높은 대학생일수록 스피치 불안감을 적게 느끼는 반면 타인 귀인성향, 우연 귀인성향이 높은 대학생일수록 스피치 불안감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귀인성향이 스피치 불안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자기효능감의 자신감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Consumer Preference for Credit Card Benefits: The Effect of Pro-Environmental Disposition

  • Kim, Moon-Y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1권1호
    • /
    • pp.64-69
    • /
    • 2022
  • The current research examines whether consumers' preference for credit card benefits (i.e., general credit card benefits vs. credit card benefits related to green life) differs according to their pro-environmental disposition. Specifically, we predict that for consumers with high (vs. low) pro-environmental disposition, their preference for credit card benefits related to green life will be higher, while preference for general credit card benefits will not be different between low and high pro-environmental disposition groups. An online survey (N = 487) was conducted to test the hypotheses. Consistent with the hypotheses, the results indicate that (1) respondents with high pro-environmental donation intention, as compared to those with low pro-environmental donation intention, had higher preference for credit card benefits related to green life; and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ference for general credit card benefits between high and low pro-environmental donation intention groups. We suggest an important insight into how credit card companies approaching ESG issues can increase their consumers' preference for credit card benefits relevant to green life, considering consumers' individual differences such as pro-environmental disposition.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Self-Leadership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the Relation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Nursing Students)

  • 문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462-473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광주의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63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판적 사고성향은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비판적 사고성향이 높은 간호대학생은 진로준비행동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비판적 사고성향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은 완전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비판적 사고성향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효능감은 완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간호대학생의 긍정적인 진로준비행동을 촉진하기 위해 비판적 사고성향을 향상시키고, 셀프리더십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프로그램들이 간호교육현장에서 필요함을 시사한다.

고등학생의 스트레스와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주관적 웰빙과 감사성향의 이중 매개효과 (Double Mediating Effect of Subjective Well-being and Gratitude Disposition on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Feeling of Happiness among High School Students)

  • 안재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762-77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의 스트레스와 행복감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그 관계를 주관적 웰빙과 감사성향이 이중으로 매개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남녀 고등학생 245명이었다. 이 연구를 위해서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 삶의 만족 검사, 정서빈도검사, 감사성향 척도 및 주관적 행복 척도를 사용하였다. 직렬적 이중 매개효과는 PROCESS Macro 3.5 모형 6으로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고등학생의 스트레스는 주관적 웰빙, 감사성향 및 행복감과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었다. 고등학생의 주관적 웰빙은 감사성향이나 행복감과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감사성향도 행복감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의 스트레스와 행복감 간의 관계를 주관적 웰빙과 감사성향이 직렬로 이중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청소년들의 행복에 주관적 웰빙과 감사성향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발견되었기 때문에, 그들의 주관적 웰빙 수준과 감사성향을 증진시킬 필요가 있다.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메타인지에 대한 상황모듈학습 프로그램 적용 효과 (Effect of a Situational Module Learning Course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Metacognition in Nursing Students: A Quasi-experimental Study)

  • 박광옥;유미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51-262
    • /
    • 2019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 of a situational module learning course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metacognition in sophomore nursing students. Methods: This study was a non-equivalent control-group pretest-posttest quasi-experimental design; the participants included 64 nursing students (32 in the experimental and 32 in the control group) from two Korean universitie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metacognition between the control and intervention group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program participation.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between September 1 and December 15, 2016. An independent t-test was used to determine differences i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metacognition between the groups and Pearson's correlations were measured for correlation with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metacognition. Results: The intervention group showed higher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t=3.16, p=.002); intellectual integrity (t=2.85, p=.006); and open-mindedness (t=3.30, p=.002) relative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in metacognition between the two groups (t=-0.14, p=.888).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etacognition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was found. (r=.62, p<.001). Conclusion: The situational module learning course developed in this study could be used to promot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 nursing students.

청소년의 배경변인, 가정적 자아존중감, 대인관계성향이 예절수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dolescent's Background, Family Self-Esteem,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on Etiquette Implementation)

  • 장혜숙;최배영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3권2호
    • /
    • pp.23-41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dolescent's background, family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on etiquette implementation. The subjects were chosen to include 1,119 adolescents attending middle or high school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positive family self-esteem, a harmonious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and smooth etiquette implementation was high among those who were satisfied with school life, had talks with their parents often, and felt a need for etiquette education during teen years. Second, the variables affecting the adolescents' etiquette implementation were family self-esteem, understanding, communication, intimacy, trust in interpersonal relations and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for etiquette education.

  • PDF

노인요양병원 근무자의 감사성향이 직무만족 및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감사일기 경험의 조절효과 (The gratitude disposition of geriatric hospital employees Impact on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gratitude diary experience)

  • 박순명;김자옥;김자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351-358
    • /
    • 2020
  • 본 연구는 노인요양병원 근무자의 감사성향이 직무만족 및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감사일기 경험의 조절효과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설문지는 감사일기와 관련된 캠페인을 추진하고 있는 4개의 노인요양병원 근무자를 대상으로 총 485부를 선정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6.0을 이용하여 단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노인요양병원 근무자들의 감사성향은 감사일기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감사성향은 직무만족과 삶의 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다(p<.01). 그러나 감사성향이 직무만족과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감사일기 경험의 조절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의의는 노인요양병원 근무자의 감사성향이 직무만족과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감사일기 경험의 조절효과를 규명하여 근무자의 직무만족과 삶의 만족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노인요양병원 인력관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개인의 가치성향이 광고 소구유형에 따라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ersonal Value Disposition on the Consumer Attitude of Advertising Appeal Type)

  • 성기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154-163
    • /
    • 2009
  •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따라 최근의 광고들은 과거의 방식과 상당히 다른 특성을 지닌다. 본 논문은 개인의 가치성향이 광고 크리에이티브 소구 유형에 따라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개인의 가치성향이라는 변인은 크리에이티브의 방향을 제시하고 나아가 광고효과를 결정한다. 이러한 개인의 가치성향은 인쇄매체 뿐만 아니라 전파매체와 인터넷 매체에도 고려할 요소임이 분명하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가치성향에 따라 광고 소구유형별 소비자 태도를 알아보기 위해 338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제품에 대한 관여도가 비교적 중간에 위치하는 MP3의 실험 광고물에 대한 소비자 태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개인주의 성향의 이성소구가 소비자 태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그 다음으로는 집단주의 이성소구로 나타났다. 집단주의 감성소구는 부분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개인주의 감성소구의 효과는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개인의 가치성향에 주안점을 둔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성격을 지닌다.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감사성향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Gratitude Disposi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Happiness in Nursing Students)

  • 권영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105-112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감사성향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G군에 소재한 대학교의 간호학과 학생으로 자료수집기간은 2018년 10월 4일부터 10월 10일까지였으며, 최종 275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최종 모델(모델 3)은 행복감의 26.2%를 설명하였다. 스트레스는 행복감에 영향하는 중요한 요인이었으며, 스트레스와 감사성향의 상호작용항은 통제변수를 고려한 후에도 행복감에 유의한 관련을 나타내었다. 즉, 감사성향은 간호대학생에 있어 스트레스와 행복감의 관계를 조절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간호대학생의 행복감 증진을 위해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감사성향을 높일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