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ediating Effect of Self-Leadership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the Relation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Nursing Students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Received : 2019.09.06
  • Accepted : 2019.10.16
  • Published : 2019.11.28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vidence on how self-leadership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 can produce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nursing students. The subjects wer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nursing in Gwangju. The data collected was for 263 such students. It was analyzed with SPSS 23.0 for window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the study used Sobel.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ositively influence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nursing students. Secondly, self-leadership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how a complet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nursing studen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 order to promot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nursing students, educational programs should improve subjects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t also suggests self-leadership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should be provided in nursing education field.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광주의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63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판적 사고성향은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비판적 사고성향이 높은 간호대학생은 진로준비행동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비판적 사고성향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은 완전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비판적 사고성향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효능감은 완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간호대학생의 긍정적인 진로준비행동을 촉진하기 위해 비판적 사고성향을 향상시키고, 셀프리더십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프로그램들이 간호교육현장에서 필요함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광현, 강성배, "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교양교육연구, 제10권, 제3호, pp.253-293, 2016.
  2. 박순주, "진로교육이 간호 대학생의 진로발달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8권, 제2호, pp.259-267, 2012. https://doi.org/10.5977/jkasne.2012.18.2.259
  3. 박수경, 조경미, "간호대학생의 임상분야 진로선택의 유형과 관련요인,"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제22권, 제1호, pp.107-122, 2016.
  4. 김명아, 임지영, 김숙영, 김은정, 이종은, 고유경, "간호대학생의 진로태도성숙과 영향요인," 정신간호학회지, 제13권, 제4호, pp.383-391, 2004.
  5. 임보미, 박종민, 김미진, 김수연, 맹정호, 이루리, 강경아, "종합병원근무 신규 간호사의 이직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제24권, 제4호, pp.313-322, 2015. https://doi.org/10.5807/kjohn.2015.24.4.313
  6. 이종선, 고형면, 정헌주, 김호진, "전국보건의료노동자 노동실태 분석," 노동연구, 제33권, pp.169-197, 2016.
  7. 병원간호사회, "병원간호인력 배치현황 실태조사- 2018," 2019, https://khna.or.kr/home/pds/utilities.php.
  8. 정윤경, 김동심, "취업스트레스에 대한 진로준비행동과 진로고정신념의 상승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8권, 제15호, pp.493-511, 2018.
  9. 김봉환, 김계현,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의 발달 및 이차원적 유형화,"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상담치료, 제9권, 제1호, pp.311-333, 1997.
  10. 김명숙, 박정, 김광수, "비판적 사고력 검사 예비 문항 개발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1.
  11. 김태형, "칼 포퍼의 비판적 합리주의에서 본 비판적 사고성향의 중요성," 인문과학연구, 제39권, pp.395-415, 2013.
  12. 윤진,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에 관한 연구," 간호행정학회지, 제14권, 제2호, pp.159-166, 2008.
  13. 제남주, 방설영,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임상수행능력, 간호전문직 자아개념이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9권, 제12호, pp.825-835, 2018. https://doi.org/10.5762/kais.2018.19.12.825
  14. 김지현, 강현임,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및 문제해결능력, 셀프리더십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7권, 제18호, pp.435-450, 2017.
  15. 김미연,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비판적 사고성향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7권, 제14호, pp.299-316, 2017.
  16. 정승교,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능력 및 임상수행능력 조사연구," 기본간호학회지, 제18권, 제1호, pp.71-78, 2011.
  17. 김유신, 한태용, 최성범, "체육전공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문제해결력, 진로행동의도와 진로준비행동의 인과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제24권, 제4호, pp.35-47, 2015.
  18. C. P. Neck and J. D. Houghton, "Two decades of self-leadership theory and research," J. of Managerial Psychology, Vol.21, No.4, pp.271-295, 2006.
  19. C. C. Manz, "Self-leadership: toward an expanded theory of self-Influence processes in organization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1, No.3, pp.585-600, 1986. https://doi.org/10.5465/AMR.1986.4306232
  20. 황완희, 윤천성,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의사결정유형의 조절효과 연구," 경영교육연구, 제29권, 제5호, pp.74-98, 2014.
  21. 배경의, "성격발달수준, 셀프리더십, 진로준비행동 간의 상관관계: 간호대학생을 중심으로," 예술인문사회융합 멀티미디어논문지, 제9권, 제7호, pp.515-525, 2019.
  22. 장태정, 문미경, "간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간호행정학회지, 제22권, 제4호, pp.344-352, 2016. https://doi.org/10.11111/jkana.2016.22.4.344
  23. V. S. Solberg, G. E. Good, A. R. Fischer, S. D. Brown and D. Nord, "Career decision-making and career search activities: Relative effects of career search self-efficacy and human agency," J. of Counseling Psychology, Vol.42, No.4, pp.448-455, 1995. https://doi.org/10.1037/0022-0167.42.4.448
  24. 김수영, 배성아, "대학생의 진로적응성과 진로미결정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4권, 제12호, pp.429-448, 2014.
  25. 김경하, "간호대학생의 성격특성, 사회적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3호, pp.399-408,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3.399
  26. 안민권, "남자 간호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병역의무계획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학회지, 제25권, 제1호, pp.93-102, 2019.
  27. 이선영, 전선영, 임윤영,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자아존중감이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보건의료산업학회지, 제10권, 제1호, pp.155-165, 2016. https://doi.org/10.12811/kshsm.2016.10.1.155
  28. 이도영, 조진희,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비판적 사고성향,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9권, 제10호, pp.561-569, 2018. https://doi.org/10.15207/JKCS.2018.9.10.561
  29. 강혜승, 김윤영,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비판적 사고성향이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8권, 제5호, pp.617-625, 2017. https://doi.org/10.5762/KAIS.2017.18.5.617
  30. 김건희, 황은희,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비판적 사고성향, 셀프리더십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7권, 제2호, pp.436-445, 2016. https://doi.org/10.5762/KAIS.2016.17.2.436
  31. 배성아, 성소연,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6권, 제9호, pp.271-292, 2016.
  32. 이종찬, 홍아정,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고용가능성의 매개효과," 진로교육연구, 제26권, 제1호, pp.69-92, 2013.
  33. K. M. Taylor and N. E. Betz, "Applications of self-efficacy theory to the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career indecision," J. of Vocational Behavior, Vol.22, No.1, pp.63-81, 1983. https://doi.org/10.1016/0001-8791(83)90006-4
  34. N. E. Betz and D. A. Luzzo, "Career assessment and the car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scale," J. of Career Assessment, Vol.4, pp.313-328, 1996.
  35. A. M. Paulsen and N. E. Betz, "Basic confidence predictor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e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Vol.52, No.4 pp.354-362, 2004. https://doi.org/10.1002/j.2161-0045.2004.tb00951.x
  36. 주영주, 고경이, 정유진, "대학생의 긍정적 정서, 사회적지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결과기대가 진로준비행동 및 진로만족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제28권, 제3호, pp.65-83, 2015.
  37. 곽미선,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진로불확실성, 자기개념명확성,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통찰력 간의 구조적 관계,"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제50권, 제1호, pp.151-177, 2018.
  38. 윤진, 비판적 사고 성향 측정도구 개발: 간호학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울, 2004.
  39. J. D. Houghton and C. P. Neck, "The revised self-leadership questionnaire: Testing a hierarchical factor structure for self-leadership," J. of Managerial Psychology, Vol.17, No.8, pp.672-691, 2002. https://doi.org/10.1108/02683940210450484
  40. 신용국, 김명석, 한영석, "셀프리더십척도(Revised Self-Leadership Questionnaire)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제6권, 제3호, pp.313-340, 2009.
  41. N. E. Betz, K. L. Klein, and K. M. Taylor, "Evaluation of a short from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 J. of Career Assessment, Vol.4, No.1, pp.47-57, 1996. https://doi.org/10.1177/106907279600400103
  42. 이기학, 이학주, "대학생의 진로태도성숙정도에 대한 예언 변인으로서의 자기효능감 효과 검증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2권, 제1호, pp.127-136, 2000.
  43. 이명숙, 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장애지각,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분석, 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전주, 2003.
  44.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ditions," J.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No.6, pp.1173-1182, 1986.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45. M. E. Sobel,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sociological methodology, American Sociological Association, 1982.
  46. 문미경, 김소연, "간호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보건정보통계학회지, 제42권, 제2호, pp.162-169, 2017.
  47. R. W. Lent, S. D. Brown, and G. Hackett, "Toward a unifying social cognitive theory of career and academic interest, choice, and performance," J. of Vocational Behavior, Vol.45, No.1, pp.79-122, 1994. https://doi.org/10.1006/jvbe.1994.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