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abled Workers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26초

성인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 관련 현황 및 종사자의 인식에 대한 연구: 서울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ssociated with Challenging Behaviors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 Perception of Workers: Focused on Cases at Lifelong Education Centers for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in Seoul)

  • 유수진;이은혜;한정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383-392
    • /
    • 2020
  •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 성인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 관련 현황 및 이와 관련한 종사자의 인식을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시 소재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 16개 기관과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4명의 센터장을 대상으로 초점집단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 종사자의 85.4%가 지난 1년 간 도전적 행동으로 인해 상해를 경험한 적이 있으며, 상해를 경험한 종사자는 소진, 심리적 트라우마, 이직을 고려한 적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도전적 행동에 대한 기관의 사전대응은 '개별공간 확보', '도전적 행동 유발요인 사전파악'이 각각 87.5%로 가장 많았으며, 후속대응으로는 81.3%의 기관에서 해당 상황에 대한 사례회의 및 슈퍼비전을 진행한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도전적 행동 대응과 관련한 제안사항으로, 기관차원의 시스템 구축, 유관기관과의 협력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임금근로 장애인의 장애수용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고용형태의 조절효과와 대인관계의 매개효과 - (Effects of Disability Acceptance of Wage Workers with Disability on Job Satisfaction - Moderated Effect of Employment Type and Mediated Effect of Inter Personal Skill)

  • 김석건;고정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796-808
    • /
    • 2021
  • 본 연구는 임금 근로 장애인의 장애수용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고용형태의 조절 효과와 대인관계의 매개 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장애인고용패널조사 2차 웨이브 1차~4차(2016-2019)의 자료를 사용하여 변인들 간의 영향력 분석은 AMOS 22.0을 활용하여 경로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임금 근로 장애인의 직무만족도는 학력, 연령대, 근무 기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성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임금 근로 장애인의 장애수용이 직무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임금 근로 장애인의 장애수용과 직무만족도 관계에서 대인관계는 정적인 매개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넷째, 임금 근로 장애인의 장애수용과 직무만족도 관계에서 고용형태는 부적인 조절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런 결과에 근거하여 임금 근로 장애인의 직무만족도를 증진을 위한 장애수용, 대인관계, 고용형태에 대한 실천방안을 제시하였다.

장애인 직업 유지 기간이 근로조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상용근로자와 일용근로자의 비교 (A study on the factors that affect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disabled for the duration of employment: Comparison between regular and temporary workers)

  • 현다경;임옥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525-536
    • /
    • 2020
  • 장애인이 일자리를 얻는데 있어서 큰 장벽에 직면하고 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에서 기능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원동력인 장애인 일자리의 중요성을 고려할 때, 개인의 자아성취감 획득뿐만 아니라 동시에 자립생활을 확립시키는데 있어 장애인에게 직업은 없어서는 안 될 핵심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취업한 장애인들이 지속적인 직업을 유지하기 위한 방안을 제공하기 위하여 장애인들이 직업을 유지하는데 있어 상용근로자와 일용근로자에 따라 업무 지속성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장애인 직업유지에 있어 상용근로자의 경우 근로계약기간 설정여부가 직업유지 기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 자료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2019)에서 실시한 2019년 장애인고용패널조사 2차 웨이브 1차 조사의 원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상용근로자는 계약기간이 정해져 있는 경우 12개월 이상 직업유지가 높게 나타나고, 일용근로자는 계약기간이 정해져 있지 않는 근로자가 12개월 이상 직업유지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장애 특성을 고려하지 못한 직종으로 장애인들에게 선택권 및 자기결정권에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어 국가는 다양한 직종 및 직무개발로 직업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야 하며, 일용근로자들이 근무한 소규모 기업의 장애인 취업 증가는 기업의 규모에 영향을 받고 있는 고용부담금의 다양화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장애인 직업 계약기간의 설정유무가 장애인들의 직업유지에 있어 유의미한 것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Disability and Occupational Labor Transitions: Evidence from South Korea

  • RHEE, SERENA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42권3호
    • /
    • pp.53-85
    • /
    • 2020
  • We examine how certain occupational physical requirements affect labor transitions of disabled workers by exploiting a unique feature of South Korean Disability Insurance (DI), where award rules are based solely on an applicant's medical condition, independent of his previous occupations. We estimate the labor market response to a health shock by constructing a physical intensity measure from ONET and applying it to longitudinal South Korean household panel data. Our results suggest that health shocks initially lead to a 14 to 20 percent drop in employment and that this effect is greater for workers who previously held physically demanding occupations. Those who remain part of the labor market exhibit higher occupational mobility toward less physically demanding jobs. These findings imply that the magnitudes of income risks associated with health shocks vary depending on occupational and skill characteristics.

장애인거주시설 생활재활교사의 장애인 인권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분석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n Human Rights of the Disabled of Living Rehabilitation Social Worker in Housing Facilities of the Disabled)

  • 김선주;권순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556-563
    • /
    • 2017
  • 본 연구는 장애인거주시설의 최일선에서 장애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생활재활교사들의 인권에 대한 인식정도와 실행도,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장애인거주시설의 생활재활교사들의 인권실천의 전략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지역 장애인거주시설 생활재활교사 34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중요도-실행도 분석(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첫째, 장애인 인권의 중요도가 실행도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세부영역별로 거주공간 공개시 동의, 선거권 보장은 실행도가 중요도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종교적 활동 보장, 체벌금지, 시설 감시체계 강화, 환경개선 및 프로그램 강화를 제외하고 나머지 모든 항목은 중요도가 실행도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셋째, IPA분석에 따라 분석 매트릭스별로 실천전략을 도출하였다. 특히, 실천전략과 관련하여 중요도는 높고 실행도도 높은 1사분면의 '지속유지영역'에 도출된 자유로운 연락을 포함한 10가지 항목과 중요도는 높고 실행도는 낮은 2사분면의 '집중노력영역'에 도출된 시설경영방침 개선과 중요도는 낮은데 실행도는 높은 4사분면의 '과잉투자영역'에 도출된 체벌 금지와 시설감시체계 강화에 대해 집중 논의하였다.

고령장애인의 노동시장 이중차별 실증적 분석 -임금노동자의 고용차별과 임금차별을 중심으로- (Empirical Study on Double Discrimination on the Elderly with Disability in Labor Market -Focusing on Employment Discrimination and Wage Discrimination of Wage Earners-)

  • 박재철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5권2호
    • /
    • pp.79-102
    • /
    • 2013
  • 본 연구는 고령장애인의 연령과 장애로 인한 노동시장 이중차별을 검증하기 위해 고령장애인(50-64세) 임금노동자의 고용확률과 임금수준을 청장년장애인(15-49세)과 비교하여 연령차별을, 또 일반고령자(50-64세)와 비교하여 장애차별을 각각 Oaxaca(1973)의 분해방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고령장애인의 연령에 따른 청장년장애인과의 실질적인 고용확률의 격차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상용직에서만 나타났고 차별(32.2%) 보다 특성(67.8%)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고령장애인과 청장년장애인의 실질적인 임금격차는 특성(7.95%) 보다 차별(92.05%)에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령장애인의 장애로 인한 고령일반인과의 실질적인 고용과 임금수준의 격차는 발생하지만 그 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고령장애인은 노동시장에서 연령과 장애로 인한 이중차별은 없었지만 청장년장애인과는 구분된 고용정책이 필요하며, 일반고령자와는 통합적인 고용정책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장애인부모 동료상담사의 현장상담 활동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Parents Peer Counselor's for the Disabled Experiences in Field Counseling)

  • 최하나;정종화;김은재
    • 재활복지
    • /
    • 제22권2호
    • /
    • pp.127-159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상담현장의 장애인부모동료상담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 및 시스템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하여 장애인부모 동료상담사들의 현장상담경험을 Yin (2009)의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장애인부모 동료상담사 10명을 대상으로 FGI와 개별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했다. 연구결과, 총 87개의 압축개념, 17개의 핵심범주를 도출하였는데 장애인부모동료상담 참여 동기 및 상담효과는 "동병상련의 마음으로 두드림", "조명 받지 못하던 존재에서 희망을 주는 존재로의 전환", "장애인부모들이 만드는 또 다른 사회보험이자 사회안전망" 등으로 나타났다. 장애인부모동료상담활성화 장애요인은 "상담현장의 입지확보 및 위상정립의 문제", "홍보부족으로 인지도가 낮아 내담자 발굴이 어려움" 등으로 나타났으며, 장애인부모동료상담 활성화를 위한 전략은 "현장의 입지확보와 전문가로써의 위상 재정립", "정부의 정책적인 보완과 지원이 필요함", "정규직 전환으로 일자리 창출을 기대함"이 제시되었다.

장애인 생활시설 영양사의 직무만족도와 이직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일반특성과 직무소진정도를 중심으로 - (Factors Influencing on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Turnover Intention of Dietitians Working in the Institutions for the Disabled in Korea -Focused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Job Burnout-)

  • 이혜상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82-189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certain factors-especially dietitian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job burnout-influence their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during the period from September 7th to October 15th of 2006. A total of 91 institutions(response rate 74.6%) was analyzed by using SPSS(windows ver. 14.0). A majority of the respondents were females(97.8%) and 30 years or older(66.0%). Among the job burnout dimensions, exhaustion($2.78{\pm}0.07$) was rated higher than cynicism($2.62{\pm}0.06$), while the professional efficacy level($3.55{\pm}0.05$) was relatively high. The dietitians were more satisfied with co-workers($3.73{\pm}0.07$) and work($3.41{\pm}0.06$) than with pay($2.66{\pm}0.07$) and promotion($2.32{\pm}0.07$). The work dimension of job satisfac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exhaustion and cynicism dimensions of job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p<0.001), but positively correlated with professional efficacy dimension(p<0.001). The supervision dimens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cynicism(p<0.05) and turnover intention(p<0.001), but positively correlated with professional efficacy dimension(p<0.01). The co-workers dimens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rofessional efficacy dimension(p<0.01). The pay dimens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exhaustion(p<0.001) and cynicism(p<0.01) dimensions and turnover intention(p<0.001). The promotion dimens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cynicism(p<0.01). The turnover inten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xhaustion and cynicism dimensions of job burnout(p<0.001).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i) professional efficacy was a factor to significantly increase job satisfaction, ii) cynicism to significantly decrease their job satisfaction, and iii) exhaustion to significantly increase turnover intention.

보청기 사용이 청각장애인 근로자의 직무만족도와 일상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the impact of using hearing aids on job satisfaction and daily life satisfaction of hearing-impaired workers)

  • 홍정아;이성대;염동문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67-72
    • /
    • 2013
  • 청각장애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보청기 사용유무에 따른 직무만족도와 일상생활만족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장애인고용패널조사(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4차년도 자료에서 근로자 187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보청기 사용 유무에 따라 직무만족도와 일상생활만족도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청기사용 청각장애인의 직무만족도는 일상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청각장애인에게 보청기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보조기구이지만, 본 연구에서 사용한 패널자료의 특성상 정보화기기 사용증가와 의사소통지원서비스 확대에 따른 영향요인을 반영하지 못한 결과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함의를 결론에서 제시하였다.

  • PDF

직무스트레스가 근로자들의 신체적 불편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Workers' Physiological Somatic Complaints)

  • 이종은;정혜선;이복임;김순례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89-297
    • /
    • 2004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factors affecting workers' physiological somatic complain using the Job Stress Model proposed by the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1st to the 30th of December 1999. The subjects were 2.123 workers employed at 155 work sites. Collected date were analyzed through SAS/PC program. Result: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younger and women group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hysiological somatic complaint than elder men groups. By work condition, groups with higher physiological somatic complaint included workers of irregular shift work. Dark lighting, improper temperature in winter, improper ventilation, inappropriate humidity, unpleasant work environment and crowded work place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physiological somatic complaint. By work-related factor, physiological somatic complaint was high in those with higher variance in work load, quantitative work load, role conflict, job burden, role ambiguity and future ambiguity. On the other hand, physiological somatic complaint was low in those with little underutilization of ability. As for the relationships between physiological somatic complaint and non-work related factors, physiological somatic complaint was high in workers who had a side job, were bringing up infants alone, cleaned the house alone, cared for the elderly and disabled persons, were studying, were volunteering at another organization, and were spending 5-10 hours in religious activities per week. Physiological somatic complain was in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s with overall social support, supervisory support and family support, but in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with co-worker support. Conclusion: The main predictors of physiological somatic complain were gender, shift work pattern, overtime work, ventilation, role ambiguity, role conflict, future ambiguity, job control, variance in work load, overall social support, worker with side job, worker who cleans the house alone, worker who is studying. These predictors explained 19.10% of the total variance of physiological somatic complai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