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1.21.03.796

Effects of Disability Acceptance of Wage Workers with Disability on Job Satisfaction - Moderated Effect of Employment Type and Mediated Effect of Inter Personal Skill  

Kim, Seok-Keun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학과)
Ko, Jeong-hoon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of disability acceptance, interpersonal skill with job satisfaction to improve the job satifaction of the disabled in wage work. The study also examines the moderated effect of employment type and the mediated effect of interpersonal skill. the research used data from the 2nd wave of the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PSED) in Years 1-4(2016-2019), AMOS 22 was to analyze the paths between variables. The result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job satisfaction of the disabled in wage work differed significantly in educational background, age group, and working period.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Second, disability acceptance has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ird, interpersonal skill have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mediated effect in the relation between disability acceptance and job satisfaction. Fourth, the relation between disability acceptance and job satisfaction revealed that employment type have a negative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Based on the result, Welfare practices for disability acceptance, interpersonal skill, and employment were proposed in order to promote job satisfaction for the disabled.
Keywords
Disability Wage Worker; Disability Acceptance; Interpersonal Skill; Job Satisfaction; PSED;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헌법, //www.lawnb.com/
2 번창용 외 6인, 2008년 장애인 실태조사 보건복지가족부, 2009.
3 보건복지부, 2020년도 고용인 경제활동 실태조사.
4 김자영, "근로 장애인의 장애 수용도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매개 효과검증," 보건사회연구, 제38권, 제3호, pp.363-391, 2018.   DOI
5 김재천, 지체 장애 근로자의 장애수용 정도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매개 효과와 고용형태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한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6 송진영, "임금근로 장애인에 대한 차별과 직무만족도 간 장애수용과 고용안정성의 매개효과 검증," 사회과학연구, 제28권, 제4호, pp.329-346, 2012.
7 황정은, 정무성, "사회적 기업 장애인 근로자의 직무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제121권, 제2호, pp.247-271, 2011.
8 하경해, "임금근로 장애인의 사회적 네트워크가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 차별 경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5호, pp.305-316, 2017.   DOI
9 정승원, "고용 관련 환경요인이 장애 당사자의 장애 수용에 미치는 영향," 장애와 고용, 제22권, 제4호, pp.323-350, 2012.
10 박수경, "지체장애인의 장애수용과 영향요인," 사회보장연구, 제22권, 제1호, pp.265-286, 2006.
11 권태웅, 근로 장애인의 자기효능감과 장애수용이 일자리 만족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대인관계 능력 및 직무몰입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12 김종일, "장애 근로자의 장애수용, 차별 경험, 사회경제적 지위가 직무만족도와 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 장애와 고용, 제23권, 제4호, pp.59-84, 2013.
13 이채식, 김명식, "취업장애인의 직업 유지에 영향을 주는 제 특성에 관한 연구," 장애와 고용, 제23권, 제1호, pp.327-356, 2013.
14 권성현, "장애 임금근로자의 장애수용이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 효과," 국가정책연구, 제33권, 제2호, pp.171-207, 2019.
15 정승원, "청각장애인의 장애수용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전망적 효과에 관한 연구," 장애와 고용, 제24권, 제1호, pp.167-197, 2014.
16 장애인복지법, //www.lawnb.com/
17 C. R. Kaiser and C. T. Miller, "Reacting to impending discrimination: Compensation for prejudice and attributions to discrimination,"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Vol.27, No.10, pp.1357-1367, 2001.   DOI
18 장수빈, 임금 근로 장애인의 대인관계 능력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자기효능감 및 장애수용의 매개역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19 방정수, 임금근로 지체장애인의 장애수용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대인관계 능력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20 박현숙.양희택. "임금근로 장애인의 일자리 차별경험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복지학, 제22권, pp.67-84, 2013.
21 박현숙, 양희택, "고령 장애인의 장애수용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장애와 고용, 제25권, 제3호, pp.229-250, 2015.
22 K. C. Keany and R. L. Glueckauf, "Disability and value change: An overview and reanalysis of acceptance of loss theory," Rehabilitation Psychology, Vol.38, No.3, p.199, 1993.   DOI
23 E. A. Locke, The Nature and Cause of Job Satisfaction, In M. D. Dunnette(ed.),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New York; McGraw Hill; pp.1297-1349, 1976.
24 M. D. Bell, P. H. Lysaker, and R. M. Milstein, "Clinical benefits of paid work activity in schizophrenia," Schizophrenia Bulletin, Vol.22, No.1, pp.51-67, 1996.   DOI
25 박석돈, 이정희, 조주현, "취업 정신장애인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직업 재활 연구, 제19권, 제1호, pp.97-119, 2009.
26 김문수,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대인관계 형성에 관한 실험연구 : 사회적 요망성과 맥락단서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27 김승완, "여성장애인 근로자의 직무 스트레스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의사소통 및 대인관계 매개 효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8호, pp.440-452, 2019.   DOI
28 정경진, 최한나, "비폭력 대화 모델에 기초한 집중형 의사소통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대인관계 능력 및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에 미치는 효과," 인간 이해, 제32권, 제1호, pp.1-16, 2011.
29 박미숙, 교육행정직의 직무특성, 목표 지향성, 학습조직준비도 및 직무만족도의 인과적 관계,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30 오동득, "국내 사회적 기업 장애인 근로자의 직무만족과 직무성과의 영향요인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11호, pp.314-324, 2019.   DOI
31 김봉균, 하연주, 최송식, "임금근로 장애인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환경적 요인에 관한 종단적 연구," 한국장애인복지학, pp.101-119, 2014.
32 신유근, 조직행위론, 서울: 다산 출판사, 1985.
33 성정현, 이영미, "사업체에 고용된 여성장애인의 지각된 직무특성과 직무 만족에 관한 연구," 상황과 복지, 제18권, pp.81-122, 2004.
34 김선화, 임금 근로 지체장애인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나사렛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35 L. W. Porter and R. M. Steers, "Organizational, work, and personal factors in employee turnover and absenteeism," Psychological bulletin, Vol.80, No.2, p.151, 1973.   DOI
36 A. Schlein and B. G. Guerney, Relationship enhancement, San Francisco, CA: Josey-Bass, 1971.
37 김민영, "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직무 만족 영향요인 분석 :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근무형태별 비교를 중심으로," 장애와 고용, 제27권, 제1호, pp.177-202, 2017.
38 이선우, 박소리, 이지민, "중도지체장애인 근로자의 장애수용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 자기효능감을 통한 개인-직무 적합성의 조절된 매개 효과검증," 한국 장애인 복지학, 제46권, pp.29-58, 2019.
39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장애인고용패널조사 2차 웨이브 1-4차연도 조사자료 User's Guide, 고용개발원, 2020.
40 전석균, 정신분열증 환자의 재활을 위한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대학원, 1994.
41 P. C. Smith, L. M. Kendall, and C. L. Hulin, The Measurement of Satisfaction and Retirement, Chicago: Rand McNally, 1969.
42 이형렬, "취업 장애 근로자의 개인적 특성, 기업체 특성, 직무 만족이 전반적 직장 만족에 미치는 영향," 장애와 고용, 제25권, 제1호, pp.137-170,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