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5초

융합적 장애인식 교육 설계를 위한 초·중·고등학생의 장애 인식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Disability Awareness among elementary and high school students for convergence education design)

  • 김성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1호
    • /
    • pp.539-547
    • /
    • 2015
  • 본 논문은 초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융합적 장애인식 교육 설계를 도출한 연구이다. 연구를 위해 J시 소재 초 중 고등학생 각 100명씩 편의표본을 추출하였다. 장애인식 교육은 장애체험, 이론교육 형태가 년 1회 빈도로 진행되고 있었다. 장애인식 집단 차이분석에서는 여학생, 학교 유형이 낮은 단계, 통합교육 경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장애인식 교육 참여 집단은 장애편견, 관심과 배려, 장애친구 수용에서 미참여 집단보다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장애인식 교육과 장애인식 간의 관계에서는 장애편견, 장애친구 수용에 영향을 미쳤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생애주기를 반영한 장애인식 교육의 연속성 확보와 융합적 교육 방법 적용, 교육 효과성 검증 매뉴얼 개발 필요성 등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게임화된 장애체험활동이 비장애아동의 장애인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amified Disability Awareness Program on the Peers' Disability)

  • 권정민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45-54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장애이해교육으로서의 게임화된 장애체험활동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게임화된 수업을 실시하고 장애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중재는 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이 함께 하는 통합체육 수업으로 내용은 장애인 스키와 관련한 영상시청, 스키장비 체험, 장애/비장애 아동간의 협력적 게임 등이 포함되었다. 비교집단이 있는 사전, 사후 준실험연구를 실시한 결과, 비교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의 장애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아 통합어린이집 일반교사의 장애인식 및 보육경험에 관한 연구 (Study on Childcare Teachers' Changes of Disability Awareness and Childcare Experience through the Training for Disability Awareness)

  • 원영미;전지혜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69-192
    • /
    • 2018
  • 본 연구는 변화하는 장애아동의 보육환경 속에서 장애통합 어린이집의 일반 보육교사가 장애인식개선교육을 전후로 어떻게 장애인식 및 장애아 보육실천의 변화를 경험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인천시의 국공립 장애통합 어린이집 일반 보육교사 9명이었고, 3인씩 3그룹의 포커스면담 및 개별 면담을 통해 경험을 듣고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일반보육교사들은 장애인식개선교육 전에 장애아동에 대한 무지함과 막막함, 두려움을 호소하였고, 오히려 비장애아동의 편견 없는 태도로부터 배우기도 하였다. 장애아동에 대한 이해의 필요와 지식에 대한 요구가 높았으며 장애인식개선교육에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교육에 참여한 이후 교사들은 장애아동에 대한 인식변화 및 보육실천의 방식변화를 나타냈다. 인식과 관련해서는 교사들은 장애아동을 더 이해하고 관심을 갖게 되었으며 비장애아동과 대등하게 대하고자 노력하게 되었다. 보육실천과 관련해서는 비장애아동과 장애아동 모두와 협력적 파트너쉽을 통해서 함께 통합프로그램을 실천하였고, 비장애아동에게 장애이해 교육을 제공하기도 하였고, 상황에 따라서 부분적 통합보육을 탄력적으로 실시하는 변화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보육현장에서 장애인식개선교육과 관련한 일반 보육교사의 경험에 대하여 해석하고 논의하였으며 장애인식개선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서도 논의 하였다.

장애 인식개선 교육을 위한 지방자치단체 조례 연구 (A Study on the Ordinance Analysis of the Local Government's Education for the Improvement of People with Disabilities)

  • 김경란;김지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515-525
    • /
    • 2022
  •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에서 제정한 장애 인식개선 교육 관련 조례 내용을 비교·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1년 12월, 전국 17개 지방자치단체의 장애 인식개선에 관한 조례를 대상으로 내용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조례의 규범적 체계에서 목적, 교육감의 책무, 기본계획수립 관련 사항은 어느 정도 타당성을 확보했다고 볼 수 있지만, 실효성 체계에서는 교육위원회 설치, 전문 인력 규정 정도, 지도감독 등에 관한 사항은 미비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장애 인식개선 조례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통합교육 현장에서 근무하는 유아특수 교사의 장애이해 교육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s of the Disability Understanding Education in Inclusive Education)

  • 김성현;이승주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31-246
    • /
    • 2018
  • 본 연구는 유아통합교육기관에 근무하는 유아특수교사들의 장애이해교육에 대한 경험과 어려움 및 적합한 장애이해교육을 위해 필요한 요구들에 대하여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통합교육 현장에서 장애 이해교육을 실행한 경험이 있는 유아특수교사 3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자료수집방법으로는 개별 심층면담 및 현장관찰이 활용되었고 연구 참여자별로 면담은 2-3회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를 통하여 분석해 본 결과 (1) 통합교육현장에서의 유아특수교사의 어려움 (2) 장애이해교육에 대한 경험 (3) 효과적인 장애이해교육을 위한 요구의 3가지 주제와 12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교사들은 통합현장에서 역할과 위치의 모호함, 전문성의 신장, 정돈되지 못한 체제 내에서의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으며, 편견을 조성하거나, 교사의 역량에 따른 편차가 크거나, 적합한 방법을 지각하지 못하거나, 성인 및 유아들의 높지 않은 관심이 장애이해교육의 장애물이 될 수 있음을 지각하였다. 마지막으로 효과적인 장애이해교육을 위하여, 지도메뉴얼의 개발, 행정체계의 개선, 장애이해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 유아들의 경험에 기반을 둔 장애이해교육이 필요하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주제에 따른 결과를 기반으로 통합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인 장애이해교육을 위해 필요한 시사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Study on Stress and Quality of life of people with Moderate Disabilities

  • Young Ran Kim;JungHyun Kim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2권2호
    • /
    • pp.215-220
    • /
    • 202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the quality of life experienced by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o provide essential data for improving their quality of life and promoting their health.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November 2023 to January 2024. Fift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48 copies were used, excluding unfaithful responses. As a result of the study, since people with moderate disabilities show hesitancy in all of their daily life processes, not only physical rehabilitation but also psychological rehabilitation should be necessary so that they can accept their bodies that have turned into disabilities. In addition, programs for the acceptance of disabilities for people with moderate disabilities should be designed to recover more widely. In the future, education and psychological programs should be activated to overcome the symptoms of moderate disability and receive related information. Finally,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should be further subdivided to bring about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disabilities.

A Study of Undergraduate Student's Attitudes on the Person with Disabilities

  • Milim Cho;Joongil Shin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13권2호
    • /
    • pp.171-178
    • /
    • 2024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undergraduate student's attitudes toward person with disabilities. Design: Questionnaire-based study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350 undergraduate students attending two universities in cities B and C from March to April 2024. Out of a total of 350 questionnaires, 334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after excluding 16 questionnaires due to incomplete content. The questionnaire was revised and enhanced by the researchers and was supplemented through revision and verification by another occupational therapist as professor.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significant differences in undergraduate students'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disabled were found to be gender and taking disability-related curriculum, while significant differences in negative attitudes were found to be gender, presence of a disabled person in the family, and religion. Gender, taking disability-related curriculum, and relig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neutral attitude, and in all areas, gender, taking disability-related subjects, having a family member with a disability, and relig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Conclusions: Factors that influence undergraduate students' attitudes toward person with disabilities include gender, whether or not they take disability-related curriculum, whether a family member is disabled, and religion. As our society's policies and perceptions of person with disabilities are rapidly changing, in order to improve our society's attitude and awareness of disabilities, we need to provide students with a correct understanding of disabilities and develop positive attitudes through positive experiences about disabilities.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provided.

게이미피케이션을 이용한 장애인 안전교육의 필요성 연구 (A Study on the Necessity of Safety Education for the Disabled Using Gamification)

  • 김수동;정형원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57-64
    • /
    • 2021
  • The effect of improving awareness by educational program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daily life of the disabled and safety depends on the type of disabi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as well as the difficulty in evaluating education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However, more effective programs can be developed and provided if the factors affecting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can be identified. Training as one of the factors affecting effectiveness involves motivation. This is thought to be an important factor for any object regardless of the type of disability. It is recognized that "By providing programs for the disabled to immerse themselves, they can be motivated to participate in education and expect greater effects on educational effects." Gamification is convincing enough for general learning. Furthermore, a feature of gamification is the use of the game's structure to achieve its goal, which acts on participants' motivation. Some use game packages such as analog games and digital games, but some include gamification of activities themselves. The use of gamification in education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he development of businesses. Therefore, in this paper, we reviewed the current status and challenges with the aim of promoting the use of gamification in life safety education for the disabled.

Survey of the change in the recognition of dental college student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before and after the special care dentistry classes

  • Kim, Sun Young;Bang, Jae-Beum;Kim, Kwang Chul;Lee, Eun Young;Choi, Sung Chul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68-77
    • /
    • 2014
  • An opportunity for dental students to come into contact with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s insufficient. Therefore, prejudice and negative attitudes towards persons with disabilities persist. Working under the assumption that educating dental students regarding people with disabilities will bring about positive awareness, we conducted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hanges in the recognition of the issues and need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before and after special care dentistry class of students of dental college that will include an experience in a dental clinic with a disabled person. Seventy-two Kyung Hee University School of Dentistry third-year dental students attended the special care dentistry class in one semester and they took the same survey was before and after the class. In the questionnaire, we used the disability factor scale (DFS) that Siller has proposed. The authoritarian virtuousness factor getting lower to a significant level after receiving an education. This means that after the education, the respondents realize that how hard to adapt the disabilities. After receiving an education, the rejection of intimacy factor score significantly get higher than before they took the class. This means that after the training, positive attitudes towards those with disabilities were better than those towards the opposite sex. We were able to confirm a positive change in the recogni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through the special care dentistry class. Our study shows that educating dental students on the how to take care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can bring about a positive change in the attitudes students may have regarding them.

보육시설장의 장애 영유아 통합보육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Center Directors' Experience about Integrated Child Care for Infants with Disability)

  • 이귀애;김형모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27-152
    • /
    • 2010
  • 본 연구는 보육시설장의 장애 영유아 통합보육에 대한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를 통하여, 통합보육 실시에 따른 시설장의 긍정적 내지 부정적 인식과 초래되는 어려움을 심층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통합보육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보육시설의 시설장으로 재직 중인 9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한 후, 근거이론에 기초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12개의 범주, 25개의 하위범주, 82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보육시설장의 장애 통합보육 경험의 중심현상인 '통합보육 시행에 따른 어려움'으로 나타났고, 중심현상을 극복하기 위한 작용/상호작용전략은 '의무교육에 대한 긍정적 태도', '통합에 대한 끊임없는 공부'로 나타났으며, 결과는 '바람직한 통합보육 시설의 준비'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