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Qualitative Study o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s of the Disability Understanding Education in Inclusive Education

통합교육 현장에서 근무하는 유아특수 교사의 장애이해 교육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 Kim, Seong Hyun (Dept. of Child Care Education, Dong Nam Health University) ;
  • Lee, Seung Ju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hung-Ang University)
  • 김성현 (동남보건대학교 보육과) ;
  • 이승주 (중앙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8.04.30
  • Accepted : 2018.06.21
  • Published : 2018.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 difficulties and need for effective disability understanding education in inclusive education field. The researcher interviewed 3 different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 Each participant was individually interviewed 2-3 times with deliberated questions for collecting data. After the interview was analyzed, the content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major themes and twelve sub themes. The three major themes were (1)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difficulties in inclusive education field. (2) experience in the disability understanding education (3) need for proper disability understanding education. First, the teachers were awareness of the difficulties at the inclusive education field due to ambiguity in the role and location, the extension of the expertise, and the misaligned system. Second, teachers stated that the barriers to disability understanding education include creating prejudice, varied according to teachers ' abilities, poor perception of appropriate methods, and low concerns of adults and young children. Third, the results showed that development of the teaching manual, improvement of the administrative system, change in perception of disability understanding education, and disability understanding education based on the experiences of young children were necessary for effective disability understanding education. Based on these results, several specific implications for effective disability understanding education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유아통합교육기관에 근무하는 유아특수교사들의 장애이해교육에 대한 경험과 어려움 및 적합한 장애이해교육을 위해 필요한 요구들에 대하여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통합교육 현장에서 장애 이해교육을 실행한 경험이 있는 유아특수교사 3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자료수집방법으로는 개별 심층면담 및 현장관찰이 활용되었고 연구 참여자별로 면담은 2-3회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를 통하여 분석해 본 결과 (1) 통합교육현장에서의 유아특수교사의 어려움 (2) 장애이해교육에 대한 경험 (3) 효과적인 장애이해교육을 위한 요구의 3가지 주제와 12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교사들은 통합현장에서 역할과 위치의 모호함, 전문성의 신장, 정돈되지 못한 체제 내에서의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으며, 편견을 조성하거나, 교사의 역량에 따른 편차가 크거나, 적합한 방법을 지각하지 못하거나, 성인 및 유아들의 높지 않은 관심이 장애이해교육의 장애물이 될 수 있음을 지각하였다. 마지막으로 효과적인 장애이해교육을 위하여, 지도메뉴얼의 개발, 행정체계의 개선, 장애이해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 유아들의 경험에 기반을 둔 장애이해교육이 필요하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주제에 따른 결과를 기반으로 통합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인 장애이해교육을 위해 필요한 시사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상, 권정심, 신지혜(2012). 장애 통합교육 경험 유무에 따른 일반유아의 장애 이해의 차이 및 통합학급 상호작용의 실제.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6, 25-46.
  2. 강영심, 황순영, 오미옥(2008). 유치원장이 지각한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실태와 인식. 통합교육연구, 3(1), 45-62.
  3. 교육부(2013). 2013년 특수교육연차보고. 서울: 교육부.
  4. 권현미(2005). 유아통합교육의 운영 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경숙, 김미숙, 김성애, 김수진, 박숙영, 백유순, ... 허계형(2009). 유아특수교육개론. 서울: 학지사.
  6. 김성애(2012). 통합교육 실제에서의 유아특수교사의 협력교수 인식에 관한 질적연구-Heider 의 귀인이 론 중심. 지적장애연구, 14(2), 157-175.
  7. 김성애(2014). 우리나라장애이해교육의 고찰. 유아특수교육연구, 14(2), 53-73.
  8. 김승현, 원종례, 안의정(2016). 장애 영유아를 위한 예비보육교사의 사전실습 프로그램 모형 개발. 특수교육, 15(1), 51-71.
  9. 김영천(2016). 질적연구방법론 I Bricoleur.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10. 김현숙(2006). 통합교육을 시행하는 유아교육기관의 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의 협력교수 실태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노은호, 박인숙, 손상국(2003). 장애아 통합교육을 위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과 상호협력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3(1), 167-190.
  12. 박영옥, 장진희(2015). 유치원 교사의 변인에 따른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 분석. 한국보육학회지, 15(4), 301-328.
  13. 서선희, 김진희(2003). 장애 이해 활동이 비장애 아동의 태도와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발달장애연구, 7(2), 87-94.
  14. 서현아, 조윤경(2010). 100명 이상 국공립 및 법인 보육시설의 장애아동 편의시설 실태 및 욕구조사 : 시설장과 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지, 10(3), 1-26.
  15. 양승희, 유지연, 조현정(2014). 보육과정. 서울: 동문사.
  16. 원영미, 전지혜(2018). 장애아 통합 어린이집 일반교사의 장애인식 및 보육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18(1), 169-192.
  17. 원종례, 엄수정(2007). 장애 유아의 성공적인 통합교육 실행을 위해서 필요한 지원에 대한 원장 및 교사들의 인식-통합교육 지원 컨설팅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유아특수교육연구, 7, 47-81.
  18. 원종례, 이명희, 박현옥(2014). 유아특수교사와 일반유아교사의 장애이해교육 실행 경험과 지원요구: 통합교육기관에 적합한 장애 이해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유아특수교육연구, 14(3), 413-440.
  19. 이경은(2015). 장애이해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운영 현황.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이상애, 김성애(2005). 장애이해 교육활동을 통한일반유아 장애 인식 및 태도 변화. 유아특수교육연구, 4(2), 113-136
  21. 이소현(2005). 장애 유아 통합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방향성 고찰. 유아교육연구, 25(6), 277-305.
  22. 이수정, 이소현(2011). 학급 차원의 사회적 통합 증진 활동이 장애 유아와 또래 간 개별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학연구, 46, 197-222.
  23. 이정림, 김은영, 엄지원, 강경숙(2012). 장애 영유아 통합보육.교육 현황과 선진화 방안(육아정책연구소 정책보고서).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24. 이지선, 신은수, 김현진(2010). 장애유아에 대한 일반유아의 인식, 태도, 변화와 장애유아의 사회적 능력 향상에 관한 연구: 소집단 협동학습에 기초한 요리활동을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지, 10(4), 223-254.
  25. 이혜영(2005). 장애이해 프로그램이 비장애유아의 장애유아 수용태도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임명희, 양승희(2008). 일반 유아의 장애인식 개선을 위한 장애 이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8(2), 49-72.
  27. 조형숙, 이효정(2009). 장애이해교육의 구성과 운영실태 및 유아교사의 인식. 유아교육학논집, 13(3), 359-377.
  28. 최병민(2005). 초등학교 도덕과 교사용지도서에 나타난 장애 이해교육 내용분석.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9. 하수진, 이순자(2013). 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의 협력교수 실행에 관한 사례연구. 유아특수교육연구, 13, 75-112.
  30. Avramidis, E., and B. Norwich. (2002). Teachers'' attitudes towards integration/inclusi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European Journal of Special Needs Education 17(2), 129-47. https://doi.org/10.1080/08856250210129056
  31. Baglieri, S. (2008). 'I connected': Reflection and biography in teacher learning toward inclusion. International Journal of Inclusive Education, 12(5-6), 585-604. https://doi.org/10.1080/13603110802377631
  32. DeVore, S., & Russell, K. (2007).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Facilitating inclusive practice.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35, 189-198 https://doi.org/10.1007/s10643-006-0145-4
  33. Feuser, G. (1982). Integration= die gemeinsame Tatigkeit (Spielen/Lernen/Arbeit) am gemeinsamen Gegenstand/Produkt in Kooperation von behinderten und nichtbehinderten Menschen. Behindertenpadagogik, 2(82), 86-105.
  34. Glesne, C. (2017). 질적연구자 되기. 안혜준 역,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35. Graham, L. J. (2008). From ABCs to ADHD: The role of schooling in the construction of behaviour disorder and production of disorderly objects. International Journal of Inclusive Education 12(1), 7--33. https://doi.org/10.1080/13603110701683311
  36. Jordan, A., Lindsay, L., & Stanovich, P. J. (1997). Classroom teachers' instructional interactions with students who are exceptional, at risk, and typically achieving. Remedial and special education, 18(2), 82-93. https://doi.org/10.1177/074193259701800202
  37. Jordan, A., Schwartz, E., & McGhie-Richmond, D. (2009). Preparing teachers for inclusive classroom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5(4), 535-542. https://doi.org/10.1016/j.tate.2009.02.010
  38. Lieber, J., Beckman, P. J., Hanson, M. J., Janko, S., Marquart, J., Horn, E., & Odom, S. (1997). The impact of changing roles on relationships between professionals in inclusive programs for young children.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8(1), 67-.82. https://doi.org/10.1207/s15566935eed0801_6
  39. Lincoln, Y. S.,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Newbury Park, CA: Sage.
  40. McCabe, H. (2003). The beginnings of inclusion i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Research Practices in Persons with Severe Disabilities, 28(1), 16-22. https://doi.org/10.2511/rpsd.28.1.16
  41. Miles, M. B., & Huberman, A. M. (1984). Drawing valid meaning from qualitative data: Toward a shared craft. Educational Researcher, 13(5), 20-30. https://doi.org/10.3102/0013189X013005020
  42. Simpson, C. G., McBride, R., Spencer, V. G., Lodermilk, J., & Lynch, S. (2009). Assistive technology: Supporting learners in inclusive classrooms. Kappa Delta Pi Record, 45(4), 172-175. https://doi.org/10.1080/00228958.2009.10516540
  43. Tavares, W. (2011). An evaluation of the Kids are Kids disability awareness program: Increasing social inclusion among childr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Journal of social work in disability & rehabilitation, 10(1), 25-35. https://doi.org/10.1080/1536710X.2011.5462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