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climate map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38초

環境因子의 空間分析을 통한 南韓지역의 山林植生帶 구분/지리정보시스템(GIS)에 의한 접근 (Classification of Forest Vegetation Zone over 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 Lee, Kyu-Sung;Byong-Chun Lee;Joon Hwan Shi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9권5호
    • /
    • pp.465-476
    • /
    • 1996
  • There are several environmental variables that may be influential to the spatial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To create a map of forest vegetation zone over 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 digital map layers were produced for each of environmental variables that include topography, geographic locations, and climate. In addition, an extensive set of field survey data was collected at relatively undisturbed forests and they were introduced into the GIS database with exact coordinates of survey sites. Preliminary statistical analysis on the survey data showed that the environmental variabl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previously defined five forest vegetation zones. Classification of the six layers of digital map representing environmental variables was carried out by a supervised classifier using the training statistics from field survey data and by a clustering algorithm. Although the maps from two classifiers were somewhat different due to the classification procedure applied, they showed overall patterns of vertical and horizontal distribution of forest zones. considering the spatial contents of many ecological studies, GIS can be used as an important tool to manage and analyze spatial data. This study discusses more about the generation of digital map and the analysis procedure rather than the outcome map of forest vegetation zone.

  • PDF

수치임상도 제작을 위한 산림항공사진 영상판독시스템 개발(Version 1.0) (Development of FAPIS(Forest Aerial Photograph Interpretation System) for Digital Forest Cover Type Mapping(Version 1.0))

  • 유병오;김종찬;김성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28-137
    • /
    • 2011
  • 본 산림항공사진 영상판독시스템 개발은 기존의 아날로그 방식의 제작과정을 개선하기 위해 제작 기반 기술 및 작업공정을 최적화하여 임상도 제작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수치임상도, 항공사진, 수치지형도 등의 DB 모델을 설계하고 검색 엔진, 화면제어, 입체 판독 모드 전환, 편집 도구, 출력 레이아웃 자동 설정 등의 기능과 연동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간결하게 구성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표준화된 방법론을 제시함으로서 각종 수치주제도를 제작하는데 응용 및 확장할 수 있으며, 의사 결정 활용 및 신속한 산림자원정보를 전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 옥수수 재배적지 예측을 위한 R 기반의 기후적합도 모델 병렬화 (R Based Parallelization of a Climate Suitability Model to Predict Suitable Area of Maize in Korea)

  • 현신우;김광수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64-173
    • /
    • 2017
  •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작부체계 구축이 시도될 수 있다. 변화하는 기후조건에서 작물들이 최적의 재배지에 배치될 수 있도록 기후적합도를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EcoCrop 모델과 같은 월별 기후자료를 사용하여 여러 작물의 재배적합도들 계산하는 모델을 사용할 경우, 고해상도의 전자기후도를 사용하여 우리나라의 복잡한 지형을 고려한 재배 적합도 계산이 가능하다. 그러나, 방대한 기후자료의 처리를 위해 여러 전산자원들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병렬처리 기술 개발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공개용 통계분석 도구인 R을 기반으로 EcoCrop 모델을 병렬로 구동할 수 있는 스크립트를 개발하고, 이를 격자형 기후자료에 적용하여 옥수수의 재배적지를 예측하였다. 병렬 처리를 시도한 결과 CPU 코어 개수 증가에 따른 처리 시간 단축이 선형적으로 이루어지지는 않았으나 처리시간의 상당부분을 단축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16개의 CPU를 사용하였을 때 이상적인 시간보다 1.5배가 넘는 시간이 소모되었으나 총 시간이 90%정도 단축되었다. 이러한 기술들을 작물 생육 모델들이 개발되지 않은 작물들에 적용할 경우, 기후변화 조건에 적응할 수 있는 작부체계 설계를 지원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한 기술들은 CPU 코어가 많은 워크스테이션에서 작동이 가능하나, 여러 컴퓨터를 연결한 중형 컴퓨터에 사용할 수 있는 MPI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공간DB엔진(SDE)을 이용한 수치임상도 운영·관리 프로그램 개발(Revision 1.0) (Development of the Program for Operating & Managing Digital Forest Cover Type Map Using SDE(Revision 1.0))

  • 유병오;서수안;류주형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10
    • /
    • 2011
  • 본 프로그램 개발의 목적은 기존의 아날로그 형태의 제작과정 및 공정 그리고 방대한 자료 관리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SDE(spatial database engine) 라는 공간DB엔진을 이용하여 대량의 임상도를 운영 관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공간DB검색, 작업내용 및 진도파악, 인접 도엽간 검정/편집, 완료 도엽의 승인 및 반려 기능 등을 구현하여 일관된 운영 관리 표준화 공정을 확립하였다. 향후 본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효율적인 임상도 제작과 대량의 임상도 보급이 가능할 것이며, 이에 따른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소기후모형과 전자기후도를 기반으로 한 지리공간 도식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Past, Present and Future of Geospatial Scheme based on Topo-Climatic Model and Digital Climate Map)

  • 김대준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68-279
    • /
    • 2021
  • 지형기후학을 기반으로 한 소기후모형은 전자기후도를 제작하기 위해 개발되었고 농림업 현장의 농장단위로 적용이 가능한 고해상도 규모로 발전하였다. 본 총설에서는 이러한 소기후모형의 미래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그동안의 개발 및 발전과정을 다시 조망하였다. 우리나라 농산촌의 특징은 지형이 복잡 다양하며, 소규모로 구성되어 있어 기상과 기후의 공간적인 변이가 크다. 식물의 생육을 지배하는 농림기후는 공간 규모에서 소기후로 분류되어, 중규모인 기상청 종관기상관측(ASOS) 정보만으로는 활용이 제한된다. 이에 농림업에서 활용 가능한 기후정보를 효과적으로 모의하기 위해 소기후모형이 개발되고 발전되어 왔다. 작은 집수역을 대상으로 연구된 전자기후도는 전산처리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전국 범위의 고해상도 분포도 제작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과거 평년뿐 아니라,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 나아가 실황과 예보자료를 실시간으로 처리하는 데 이르렀다. 최종적으로 상세화된 기상예보를 바탕으로 농장 단위로 재배작물의 생육진행과 재해예보를 제공할 수 있는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서비스로 완성되었다. 기후위기 시대에 재해로 인한 피해를 경감하기 위해 세계적으로 조기경보시스템의 확대를 추진하고 있는 바, 진보된 소기후모형을 적용한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서비스는 기술발전을 통해 적용대상 지역을 확대해 나아가야 할 것이다. 조기경보서비스가 디지털 기반의 지속가능한 농림생태-사회시스템에 기여하는 핵심 기술이 되기 위해서는, 실측 기반의 다양한 검보정 자료가 구축되어 적용되어야 하며, 사용자들과 농림업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여 지속가능발전의 패러다임을 담아내는 유기적인 플랫폼이 되어야 할 것이다.

기후변화가 신갈나무의 적지분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limate Changes on the Distribution of Productive Areas for Quercus mongolica in Korea)

  • 이영근;성주한;천정화;신만용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4호
    • /
    • pp.605-612
    • /
    • 2014
  • 본 논문은 환경인자를 이용하여 우리나라에 생태권역별로 분포하는 신갈나무의 지위지수 추정식을 개발하고,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적지면적 및 적지분포의 연도별 변화를 추정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산림입지도와 전자기후도 및 기후변화 시나리오 RCP 4.5와 RCP 8.5를 사용하여 산림생산력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는 19개의 기후변수를 포함한 총 48개 환경인자를 도출한 후, 최적 조합에 의해 신갈나무의 생태권역별 지위지수 추정식을 개발하였다. 최종 생태권역별 신갈나무의 지위지수 추정식에는 각각 4~6개의 환경인자가 독립변수로 사용되었고, 지위지수 추정식의 설명력을 나타내는 결정계수는 0.36~0.49의 범위에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추정식은 모형의 평균편의, 정도, 표준오차의 3가지 평가통계량에 근거하여 검증을 실시한 결과 비교적 지위 추정능력이 높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생태권역별 신갈나무의 지위지수 추정식과 기후변화 시나리오 RCP 4.5와 RCP 8.5를 연계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신갈나무의 연도별 적지면적 및 적지분포의 변화를 2020년부터 2100년까지 10년 단위로 추정하였다. 그 결과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신갈나무의 적지면적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극한 기후변화 시나리오인 RCP 8.5를 적용할 경우 RCP 4.5에 비해 적지의 감소 폭이 훨씬 더 큰 것으로 예측되었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적지적수와 관련된 산림정책 수립에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의한 중부지방소나무의 연도별 적지분포 변화 예측 (Predicting the Changes of Yearly Productive Area Distribution for Pinus densiflora in Korea Based on Climate Change Scenarios)

  • 고성윤;성주한;천정화;이영근;신만용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72-82
    • /
    • 2014
  • 본 연구는 환경인자를 이용하여 우리나라에 생태권역별로 분포하는 중부지방소나무의 지위지수 추정식을 개발하고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적지면적 및 적지분포를 추정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산림입지도와 전자기후도 및 기후변화 시나리오 RCP 4.5와 RCP 8.5를 사용하여 산림생산력에 영향을 미칠것으로 판단되는 19개의 기후변수를 포함한 총 48개 환경인자를 도출한 후, 최적 조합에 의해 지위지수 추정식을 개발하였다. 최종 생태권역별 중부지방소나무의 지위지수 추정식에는 각각 5~7개의 환경인자가 독립변수로 사용되었고, 지위지수 추정식의 설명력을 나타내는 결정계수는 0.32~0.46의 범위에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추정식은 모형의 평균편의, 정도, 표준오차의 3가지 평가통계량에 근거하여 검증을 실시한 결과 비교적 지위 추정능력이 높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생태권역별 중부지방소나무의 지위지수 추정식과 기후변화 시나리오 RCP 4.5와 RCP 8.5를 연계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중부지방소나무의 연도별 적지면적 및 적지분포의 변화를 추정하였다.

도시기후지도의 작성 -상계 4동을 중심으로- (Urban Climate Mapping - The Case of Sanggye 4-Dong -)

  • 송영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27-36
    • /
    • 200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atmospheric environment by incorporating the factors of meteorology and urban climate into the field of urban and environmental planning. To this end, we have conducted a study on CLIMATOP and the mapping of urban climate, which are basic data used to analyze changes in climatic factors and the stagnation and accumulation of air pollutants. In particular, we focused on understanding the formation and movement of cold fresh air and its influx into urban areas by measuring and analyzing climatic factors. As a study result, classification criteria far CLIMATOP and a urban climatic map were made. In addition, we analyzed a digital elevation model, climatic data, and isothermal curves. As a result, we identified the corridor through which cold fresh air moves. We also observed that the temperature of the fluxed cold fresh air increased as land use changed. Whe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pplied to urban re-development and re-building projects, which require preliminary environmental assessment an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the practice proposed by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natural purification of air pollution activating the movement of cold fresh air and its influx into urban are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