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the Program for Operating & Managing Digital Forest Cover Type Map Using SDE(Revision 1.0)

공간DB엔진(SDE)을 이용한 수치임상도 운영·관리 프로그램 개발(Revision 1.0)

  • You, Byung-Oh (Division of Forest Resources Information, Dept. of Forest & Climate Change,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Seo, Su-An (Division of Forest Resources Information, Dept. of Forest & Climate Change,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 Ryu, Joo-Hyung (Division of Forest Resources Information, Dept. of Forest & Climate Change,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 유병오 (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연구센터 산림자원정보과) ;
  • 서수안 (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연구센터 산림자원정보과) ;
  • 류주형 (국립산림과학원 기후변화연구센터 산림자원정보과)
  • Received : 2011.03.16
  • Accepted : 2011.07.05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This program was developed to operate and manage the massive digital forest cover type map using SDE(spatial database engin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analogue mapping system, mapping process and managing vast amounts of data. It was established the standardization process by performing the several functions of application related to the spatial DB search, mapping history and progress control, modification and inspection of the topology error, approval and reject of those maps. It can be possible to generate the effective mapping and distribute maps to the public service.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will be able to reduce time-cost.

본 프로그램 개발의 목적은 기존의 아날로그 형태의 제작과정 및 공정 그리고 방대한 자료 관리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SDE(spatial database engine) 라는 공간DB엔진을 이용하여 대량의 임상도를 운영 관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공간DB검색, 작업내용 및 진도파악, 인접 도엽간 검정/편집, 완료 도엽의 승인 및 반려 기능 등을 구현하여 일관된 운영 관리 표준화 공정을 확립하였다. 향후 본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효율적인 임상도 제작과 대량의 임상도 보급이 가능할 것이며, 이에 따른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산림과학원. 2008. 1:5,000 임상도 제작 방안 수립. 93쪽.
  2. 김경민, 김철민, 전은진. 2009. 1:25,000 수치 임상도 제작체계 표준화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2(3):143-151.
  3. 김경탁, 최윤석, 김주훈. 2004. 하천 네트워크 기반의 유역관리시스템 개발을 위한 프레임 워크 공간 DB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7(2):87-97.
  4. 김경탁, 최윤석, 장재혁. 2004. HyGIS와 TOPMODEL의 연계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7(4):155-165.
  5. 김기욱, 김창수. 2010. 공간DB 기반의 강우-유출 모의를 위한 데이터 모델 설계.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4):1-11.
  6. 김철민, 노대균, 전은진. 2004. 수치임상도 접합에 의한 우리나라 산림정보지도 제작. 한국임학회 학술연구발표논문집. 64-66쪽.
  7. 김항집. 2005. 디지털 지리정보DB를 활용한 토지적성평가 결과의 향상을 위한 실행방법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8(1):1-12.
  8. 유병오, 권수덕, 김성호. 2008. 수치임상도 제작을 위한 영상탑재 현장조사 시스템 개발. 한국임학회지 97(4):445-451.
  9. 정명훈, 서용철. 2008. WebGIS를 통한 고해상도 영상지도의 속도향상을 위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1(4):161-171.
  10. ESRI. 2010. ESRI Support Center (http://www.Esri.com).
  11. Oosterom, P.J.M. van and C.H.J. Lemmen. 2001. Spatial data management on a very large cadastral database. Computers, Environment and Urban Systems 25(4-5):509-528.
  12. Zuo, R., G. Wang and Q Xia. 2006. Developing a geological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national important mining zone database. Journal of China University of Geoscience 17(1):79-94. https://doi.org/10.1016/S1002-0705(06)60010-1
  13. Zhou S., N. Regnauld and C. Roensdorf. 2009. Generalisation log for managing and utilising a multi-representation spatial database in map production. Computers, Environment and Urban Systems 33(5):334-348. https://doi.org/10.1016/j.compenvurbsys.2009.06.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