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eticians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18초

단체급식 영양사의 계란 요리에 대한 인식도에 따른 이용실태와 활용증대 방안 (Utilization and Application to Increase Egg Dishes in Communal Food Service in Accordance to Dietician's Awareness)

  • 이헌옥;성시진;백상우;박중근;김종준;강은주;엄애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619-626
    • /
    • 2016
  • Purpose: This study aims to provide important methods to increase egg usage eggs in communal food services, based on the knowledge and awareness of the dietician. Methods: A survey on 200 dieticians in various aspects, such as egg purchase, utility, importance of egg dishes and allergy awareness was conducted. Result: Dieticians' highest consideration in purchasing eggs were cost (41.5%) and food safety certification (41.0%); the 88.6% of purchases were general egg. The most inconvenient issues in the purchase were inability to confirm freshness (42.0%), frequent breakage (23.5%) and inconvenience in shell disposal (18.5%). During the process of cooking, cracking egg shells (49.5%) and disposal of shells (14.0%) were marked as the major inconveniences. When questioned on intention to purchase liquid and powder eggs to overcome the shell disposal inconvenience, 64% answered no, with distrust in food safety (44.5%) being the major concern. The frequency of using eggs as the main ingredient was 1~2 times per week, with 49.0%. Food service customers favored rolled omelet (36.7%) and steamed egg (20.6%), and the most used utensil was the frying pan (56.5%). When important factors in egg dishes, namely diverse menu, taste, nutrition, consumer satisfaction and allergic reaction were surveyed, most answered that all 5 factors were important. Conclusion: For increasing egg dish inclusions in communal food service, the safety assurance, increase in liquid and processed egg use, and supply of cooking utilities are necessary.

학교급식 전담직원의 표준 직무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The Development of Standard and Disposition for Effective Job Performance of School Food Service Dietician)

  • 이영은;양일선;차진아;유태용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5권7호
    • /
    • pp.800-817
    • /
    • 2002
  • It is not stipulated concretely in the Food Sanitation Act what the standardized school food service dieticians indices and the dietician's duties and task elements should be. Therefore, this study was required. The specific purposes of this study were : a) to define the school food service dietician's duties and task elements, b) to estimate the performance frequency and work hours of the dietician's duties and task elements c) to investigate the job specification of the dietician over school food services, d) to develop the standardized indices of the dietician needed in school food service operation. For this study, school food service dietician's work functions were defined in 10 duties and 60 task elements based on the studies precedented and literature review and pilot test proces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school food service systems nationwide using written questionnaire and interview with the official in charge and delphi technique. The questionnaires were mailed to the dieticians of three types of school food service systems. Of the 660 schools that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624 responses were selected for analysis.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with SAS/Win 6.12 program so as to provide a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A characteristic common to all the school food service systems was that 'cooking and distribution management' took the longest hours of work, while 'nutrition education' took the shortest hours of work. The standardized index of dietician over school food service was one person in conventional system independently of the number of meals per day. In the commissary system, according to the numbers of meals served per day, it was 0.95-1.38 persons and 1.27-1.55 persons and 1.40-1.91 persons. In joint management system, the standardized index was 1.03-1.42 persons in case of serving less than 700 meals per day.

병원 영양부서의 지식경영 도입을 위한 영양사의 지식기반 환경에 대한 인식 분석 (Analysis of Knowledge-based Environments for Knowledge Management in Hospital Dietetic Departments)

  • 이은정;홍완수;조선경;손춘영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719-732
    • /
    • 2010
  • This study assessed knowledge-based environments for knowledge management in hospital dietetic departments. This study categorized the current knowledge management environment into routine habits, capability, culture and system.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dieticians in general hospitals with 400 beds in Seoul and Gyeong-in areas. Excluding responses with significant missing data, 160 usable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SPSS package programs for the study. The result of the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The average number of licensed beds in the hospitals was 717.5 and the average number of meals provided daily was 1,626.3. 53.2% of dieticians were aged between 26 and 35. Of the maximum score of 5 points, habits scored $3.65{\pm}.44$ points, capability scored $3.38{\pm}.44$ points, culture scored $3.21{\pm}.46$ points and system scored $2.77{\pm}.74$ points. Hospitals with a high ratio of occupied beds also had significantly higher points in capability, culture and system. The older the group the higher points it scored in habits and culture. The married group scored higher points in habits while the higher educated group scored higher points in habits and capability. The dietitians in charge of clinical nutrition scored higher points in habit, capability and culture while the higher salaried group scored higher points in habit, culture and capability. Therefore this study would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the introduction of knowledge management in hospital dietetic departments.

일부 학교급식 잔반에서 발생하는 영양손실에 관한 연구 (Assessment of the nutritional value of the plate waste Generated in School Foodservices in Kyungbuk Area)

  • 안주연;이혜상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8권3호
    • /
    • pp.311-317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nutrient intake of the elementary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School lunch program and to compare the amount of the plate waste generated in two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that were located in an urban(school A) and a rural area(school B), respectively. A plate waste analysis was conducted for each menu item to separate and quantify food waste discarded in service phases of each operation. The SPSS 10.0 for window was used for data analysis. Non-parametric test (Mann-Whitney) was adopted to determine if significant differences existed in amounts of food waste generated in school A and school B. An average of 415 meals, including 43 adult meals, were served daily in school A, while an average of 177 meals, including 24 adult meals, were served daily in school B. Throughout the study the percentage of plate waste in vegetable dishes was high in both school. The food served to the students in school A met most of the RDA set by Korean Nutrition Association except vitamin A, while that served to the students in school B satisfied RDA in all aspects. Between 10-20% of the nutrients served were discarded as plate waste(school A : 11-27%; school B : 5-14%). Students in school B took significantly more niacin than students in school A did. It should be noted, though, that the RDA was still met in both schools except the vitamin A in case of school A, even after considering the plate waste. The research results suggested that school foodservice dieticians should evaluate the acceptability of menu items based on food waste per meal, and help increase the students' awareness of the environmental impact of food waste. Further, teachers, parents and dieticians should be encouraged to provide environmental education to the students that focused on the reduction of food waste.

  • PDF

병원급식 조리종사자들의 위생관리 수행도 및 위생지식에 대한 분석 (Sanitary Management Performance and Knowledge of Employees in Hospital Food Service)

  • 김선옥;오명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3권11호
    • /
    • pp.127-140
    • /
    • 2005
  • Sanitary management performance and knowledge of employees in hospital food service was evaluated by survey questionnaire to improve their sanitary management performance, analyse the weak points of sanitary management, and determine more practical and efficient alternatives of sanitation education. For this study, we selected 6 dieticians and 250 employees working in the six general hospitals larger than 400 beds in Gyeonggi and Incheon area.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hree parts: general subjects in the nutrition division of hospitals, sanitation education of dieticians, and sanitary management performance and knowledge of employees. The average ratio of HACCP related equipment and facilities of the target hospitals was relatively high at $86.5\%$. The number of sanitation education was 1.99 times/month by regular schedule and 6.47 times/month by occasional schedule. The average dietician's inspection time of cooking was 178.77 minutes/day. The average point of sanitary management performance was 4.62/5.0, showing a relatively high grade. In each region of sanitary management performance, food treatment sanitation was marked with the highest point, at 4.85, fellowed by cleaning and sterilizing sanitation at 4.65, personnel sanitation at 4.61 point and device and utensil sanitation was ranked with the lowest point at 4.53. Sanitary management performance was affected by the number of occasional education which was highest at 6-10times/month. The mean score of sanitary knowledge was 11.17/15.0. The assigned position, type of employment, status, working career and number of occasional education affected the mean score of sanitary knowledge of employees significantly. Sanitary knowledge of employees was highest in the case that occasional education was peformed at 6-10 times/month.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sanitary management performance and sanitary knowledge of employees. In contrast, there were correlations between sanitary management performance and dietician's inspection time of cooking and number of employees.

인천지역 초등학교 학생의 급식 만족도에 관한 조사 (The Study of Satisfaction on the School Lunch Service in Elementary Schools in Inchon City)

  • 우경자;김영아;천종희;최은옥;홍성야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345-355
    • /
    • 1999
  • Present status of school lunch service and satisfaction on it were surveyed by questionnaires with 636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Inchon city. School lunch service was considered positive in 68.3% of the objectives. Most of the students thought the amount of rice and side dishes appropriate. And the ratios of students feeling the food taste fair and good were 36.6% and 56%, respectively. When dislike-foods were served, 58.3% still ate forcedly and 30.4% ate partly. Reasons for not eating up foods were dislike foods(46.7%), too much amount(20.3%), and bad taste(17.5%). Colors and appearance of foods were thought to be fair and good(93.8%). Warm foods were thought to be served warm as they should be(51.5%) and a little colder than they should be(43.5%). 65.4 percent of the students responded to be served cold foods cold enough as they should be. Dining hall was preferred as an eating place(61.4%). Half of the students occasionally washed their hands and 35.0% always did. Those in charge of teaching the table manners were teachers(59.8%), dieticians(16.9%) and principals(4.5%). Sixty-three % of the students felt the dieticians kind. Good changes resulting from the school food service were student could have balanced diet(24.4%) and enjoy eating(18.1%). For better school lunch service it is necessary to provide menu for student's preferences, facilities for maintaining food temperatures, dining halls and opportunities to wash hands prior to eating.

  • PDF

학교급식 영양사의 영양적 품질관리 수행도 평가 (Assessment of Dietitian's Nutritional Quality Management for School Food Service)

  • 류경;우창남;김운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38-247
    • /
    • 2006
  • 학교급식의 영양적 품질관리 기준을 설정하기 위한 자료를 얻고자 총체적 품질 경영(TQM)을 기초로 영양적 품질관리 수행도를 평가하였다. 충북지역 초${\cdot}$${\cdot}$고등학교 급식 영양사 20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이용하여 영양적 품질관리 수행도와 음식 생산단계별 수행도 및 영양적 품질관리 관련문서 및 서식 사용현황을 조사하였다. 총체적 품질경영을 기초로한 영양적 품질관리 영역에서 평균 3.12/5점의 수행도를 보였으며, 그 중 '리더십' 영역에서 높은 수행도(3.66)를 보였고, '인적자원 중시' 영역에서 가장 낮은 수행도(2.66)를 보였다. 학교유형과 급식 실시시기에 따라 전략계획, 고객 및 시장중시, 사업성과 영역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p<0.05). 영양사의 인구통계적 변인에 따라서는 연령, 근무경력, 고용상태에 의한 차이를 보였는데(p<0.05), $30\~40$대가 20대보다 리더쉽이 높고, 급식의 전략계획을 더 잘 수행하고 있었다. 리더쉽과 전략계획, 인적자원 중시 영역에서 10년 이상의 경력자가 이하보다 수행도가 더 높았다(p<0.05). 음식 생산단계별 수행도는 평균 3.72/5점의 수행도를 나타내었고, 학교 특성별로는 초등학교 영양사가 중${\cdot}$고등학교에 비해 건열조리법과 분산조리법 및 가열시 온도조절의 효과적 사용을 통해 가열처리 시간을 최소화하여 영양소보존을 더 잘 수행하고 있었다(p<0.05). 영양사의 경우 연령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30, 40대가 20대보다 구매 영역에서 더 높은 수행도를 보였다(p<0.05). 영양적 품질관리를 위한 관련문서 및 서식 사용현황 평가에서 평균 $60.6\%$의 보유율 을 보였으며, 급식섭취량 조사일지$(42.0\%)$와 직무기술서$(41.0\%)$$50.0\%$ 미만의 보유율 나타냈다. 학교 특성별로는 학교유형별로(p<0.05), 영양사의 경우에는 연령에 따라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영양적 품질관리 수행도와 음식 생산단계별 수행도 및 관련문서${\cdot}$서식 사용현황 간에는 각각 0.55, 0.45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학교급식의 영 양적 품질관리(TQM) 수행도 평가 결과, 인적자원 중시에 대한 수행도가 낮으므로, 조리종사원의 영양적 품질관리 향상을 위한 교육 및 지도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음식 생산단계별 영양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열조리 단계를 중요관리 점으로 설정하고 이를 관리 할 수 있는 관리기준의 개발이 시급하다. 결론적으로 TQM을 기반으로 한 영양적 품질향상을 위한 기준이 설정되어 실제적으로 적용되어야 한다.

영양전공자의 영양지식, 식이 효능감, 식행동 변화간의 관련성 (Relationship of Nutritional Knowledge, Dietary Self Efficacy and Change of Dietary Behavior of Nutrition Professional)

  • 권선영;한장일;정영진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1권6호
    • /
    • pp.550-560
    • /
    • 2008
  • 본 연구는 영양전공자들의 영양지식 수준, 식이 효능감과 식행동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이들의 식행동 변화에 영양지식이나 식이효능감이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고자 초 중 고등학교의 급식 영양사[(총 190명) 대전 84명(44.2%), 충남 106명(55.8%)]를 대상으로 영양지식 15문항, 식이 효능감의 4개 하부 영역으로 구성한 총 18 문항, 식행동조사로 권장 식품과 비권장 식품 총 12종의 6개월 전과 비교한 섭취량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학교급식 영양사들의 영양지식은 80.3%의 정답률을 보여 높은 편이었지만 특수 분야에 대한 정답률은 낮았다. 조사대상 영양사들은 74.7%의 자아효능감을 보여주었으며 각 영역별 효능감은 식사습관 영역 72.2%, 음식 선택 영역 85.4%, 주위 환경의 자극 영역 69.7%, 정서 상태 영역 74.6%로 음식 선택 영역의 효능감이 가장 높았고 주위 환경의 자극 영역의 효능감이 가장 낮았다. 권장 식품의 섭취량 변화에서 생선류와 채소류는 섭취량에 변화가 적은 식품류였고, 과일류와 콩류 및 된장 두부는 섭취량이 가장 많이 증가한 식품류였으며, 우유 및 유제품류는 섭취량에 증가와 감소가 비슷한 식품류였고, 미역 김 다시마 버섯류는 섭취량에 변화가 없거나 약간 감소한 식품류였다. 비권장 식품의 섭취량 변화 조사에서 대부분의 비권장 식품류들에 대해 응답자의 약 50%는 섭취량에 변화가 없었다고 응답하였지만 30% 이상은 섭취량에 감소가 나타났다고 응답하여 비권장 식품의 섭취량을 감소시키고자 노력하고 있었다. 조사 대상 급식 영양사들은 영양지식에 따라 식이효능감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또한 식이효능감에 따라 영양지식에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아 두 요인간에 서로 영향을 주지 않았다. 식이효능감에 따른 권장 비권장 식품의 섭취량 변화에서 식이효능감에 따라 권장식품의 섭취량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비권장 식품의 섭취량에서는 유의적인 차이(p<0.001)를 보여 식이효능감이 높을수록 권장하지 않는 식품에 대한 섭취량이 감소하였다. 식이 효능감의 4개 하위 영역과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식사습관 영역(p<0.001)과 정서상태 영역(p<0.001)이 권장 식품 섭취량과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비권장 식품 섭취량은 4개 영역 모두(p<0.001)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즉 식사습관과 정서상태 영역의 효능감은 특히 권장 식품의 섭취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요인이나 모든 4개 영역의 효능감은 비권장 식품의 섭취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요인들이었다. 이로써 식이효능감이 전문영양사들의 식행동 변화에 영향을 미칠수 있는 요인으로 나타나 학교급식 영양사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에 있어서도 식이효능감을 강화시킬 수 있는 방안의 강구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학교급식 영양사가 인식하는 효과적인 영양교사의 역량 요구도와 자기 평가 (Requirements and Self-evaluation of Competencies Necessary to be Effective Nutrition Teachers Perceived by School Food Service Dieticians)

  • 이경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626-635
    • /
    • 2009
  • 그동안 학교에서 영양교육이 활성화되지 못했던 이유로 가장 많이 언급되었던 '영양사가 교사신분이 아니어서'가 해결된 상황에서 영양교사 자신과 영양교사를 양성하는 교육자 및 영양교사 연수프로그램 개발자들이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슈는 교육시간의 확보, 영양교사의 역할 수행을 위한 자질 강화라고 할 수 있다. 영양교사의 자질은 학교급식과 영양교육 상담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타당성 있고 신뢰도 높은 역량의 규명은 영양교사의 전문적 발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과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영양교사 양성과정을 수료하거나 과정 중에 있는 영양사와 학교 영양사들을 대상으로 효과적인 영양교사로서 직무 수행에 필요한 역량의 요구도와 영양사가 인식하는 스스로의 역량 수준을 비교 하여 향후 영양교사의 자질향상과 교육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학교급식 영양사들은 재무관리를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영양교사가 갖추어야 할 역량에 대한 요구도를 높이 평가하였고 특히 위생 및 안전관리, 영양상담, 영양교육, 교수실무 관련 역량의 요구도를 높이 인식하였다. 그러나 자신의 역량 수준을 평가한 결과에서는 모든 역량이 보통 또는 그 이하의 평가를 받았고 특히 영양교사에게서 요구도가 높았던 영양교육, 영양상담, 교수실무에 대한 스스로의 평가가 낮게 나타났다. 업무영역별로 효과적인 영양교사에게 요구되는 역량의 수준과 영양사 스스로가 평가한 자신의 역량 수준을 비교한 결과에서도 모든 영역에서 역량 요구도가 영양사 자신의 평가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나 영양교사의 역할을 확대하고 학교에서의 영양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 영양교사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영양사들이 인식하는 영양교사의 역량 요구도는 영양사의 경력이나 영양교사 관련 교육 종류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기존 학교급식 영양사로서 수행해 온 업무와 관련해서는 근무 경력이 증가할수록 역량에 대한 자신의 평가는 높아졌으나 영양교사 도입 후 추가된 업무 영역인 교수실무 관련 역량에 대한 자기 평가는 경력과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았다. 향후 영양교사의 양성 및 연수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서 강조되어야 할 역량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해 격자분석을 실시한 결과 영양 및 메뉴 관리 영역, 위생 및 안전관리 영역, 인적자원관리 영역의 역량 등 총 14개 역량이 자신의 평가가 높고 영양교사에게도 계속해서 중요한 역량으로 규명되었고, 영양교육, 영양상담, 교수실무에 속하는 모든 역량은 영양교사에게 요구도는 높으나, 응답자들의 스스로의 평가가 낮은 영역에 포함되어 향후 영양교사 관련 교육에서 가장 우선시 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당시 학교 영양사의 다양한 특성을 반영하고자 두 가지 샘플링 방법을 적용하고, 회수율을 높이기 위해 직접 배포후 회수하거나 응답을 독려하는 우편엽서를 발송했음에도 불구하고 회수율이 32%이었고 서울과 경기지역 학교 영양사만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여 연구 결과를 전국의 학교 영양사에 일반화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효과적인 영양교사가 갖추어야 할 역량의 종류와 영양사가 인식하는 요구도, 그 역량에 대한 영양사의 자기 평가에 대해서는 처음 보고된 연구라 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영양교사를 양성하는 대학교와 교육대학원 교육자들이 교육과정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고, 교육청 단위로 이루어지는 영양교사의 연수프로그램 개발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조사가 영양교사 배치 직전에 실시되어 조사과정중에 고려되지 못했지만 향후에는 영양교사의 경력에 따라 역량의 차이를 파악하여 역량 수준에 따른 차별화된 영양교사 연수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학교급식이 끊임없이 변화하는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열린 시스템임을 고려 할 때 효과적인 영양교사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역량의 내용과 중요도 역시 고정된 것이 아니므로 환경 변화에 따라 주기적으로 검토, 보완되어야만 가치가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