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aion HP-20

검색결과 90건 처리시간 0.024초

Antitumor Activity of Cell Suspension Culture of Green Tea Seed (Camellia sinensis L.)

  • Choi, Jae-Hoon;Yoon, Sang-Kun;Lee, Keyong-Ho;Seo, Min-Soo;Kim, Doo-Hwan;Hong, Seung-Beom;Kim, Ji-Yeon;Paik, Hyun-Dong;Kim, Chang-Han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11권5호
    • /
    • pp.396-401
    • /
    • 2006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tumor activity of suspension cultures of tea callus cells grown in the presence of different concentrations of the growth regulator 2,4-dichlorophenoxy acetic acid (2,4-D) with or without light irradiation. The methanol and ethanol extracts of precipitated cells (MEP, EEP) exhibited stronger inhibitory effects on the growth of tumor cell lines than the water extract of precipitated cells (WEP) or the supernatant Compared to culture under dark conditions, exposure to light irradiation led to significantly higher antitumor activity. The MEP from light irradiated cells at $250{\mu}g/mL$ with 2.0mg/L 2,4-D displayed more than 64% growth inhibition of HEP-2 cells, whereas normal cells showed less than 25% growth inhibition. The some fractions of MEP obtained from Diaion HP-20 column chromatography displayed the majority of inhibitory activity against the HEP-2 cell line. These results show that 2,4-D, and light stimulated the synthesis of antitumor compounds.

Investigation of Siderophore production and Antifungal activity against Phytophthora capsici as related to Iron (III) nutrition by Lysobacter antibioticus HS124

  • Ko, Hyun-Sun;Tindwa, Hamisi;Jin, Rong De;Lee, Yong-Seong;Hong, Seong-Hyun;Hyun, Hae-Nam;Nam, Yi;Kim, Kil-Yong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650-656
    • /
    • 2011
  • Lysobacter antibioticus HS124 isolated from pepper rhizosphere soil produced catechol type siderophore. Purified siderophore by Diaion HP-20 and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showed several hydroxyl functional groups adjacent to benzene rings by analysis of $^1H$ NMR spectroscopy. The strain HS124 showed different activities to suppress Phytophthora capsici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exogenous Fe (III) in minimal medium where antifungal activity with $100{\mu}M$ Fe (III) was approximately 1.5 times higher than in absence of Fe (III). Bacterial population in this Fe (III)-amended medium was also highest with $8.9{\times}10^8\;CFU\;ml^{-1}$ which also corresponded to the strongest siderophore activity. When grown in rich medium (minimal medium with N, $P_2O_5K_2O$ and glucose), HS124 exhibited approximately 2 times stronger antifungal activity compared to minimal medium. In pot trials, treatments of bacterial culture grown in rich medium with (C1) or without (C2) $100{\mu}M$ Fe (III) exhibited a high protection of pepper plants from disease, compared to medium only with (M1) or without (M2) $100{\mu}M$ Fe (III). Especially, treatment C1 showed the best disease control effect of about 70 %. Thus, the strain HS124 should be recommended as a potential biocontrol agent against P. capsici in pepper.

잘피 게바다말로부터 폴리페놀 물질(MP-1)의 분리 및 동정 (Identification of Polyphenol Substances (MP-1) from Seagrass, Phyllospadix Japonica Makino)

  • 김해선;박년호;석호영;유상권;우정희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50-54
    • /
    • 2022
  • BACKGROUND: Phyllospadix japonica Makino is a perennial plant belonging to the family Zosteraceae. This species is native to the ea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and it is found attached to rocks on the seashore. As with all seagrass species, P. japonica is also known to play a major role in protecting the marine environment, and studies on its physiological activities suggestive of its antioxidant, antibacterial and anti-inflammatory potentials have been reported. In this study, purification and structural analysis were performed to identify the polyphenol substances derived from P. japonica. METHODS AND RESULTS: An polyphenol substance MP-1 was purified from the 70% aqueous methanol extract of P. japonica using Diaion® HP-20 column chromatography, ODS column chromatography, and medium-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MPLC). The purified MP-1 was identified as rosmarinic acid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360 and a molecular formula of C18H16O8 through electrospray ionization (ESI)-mass and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spectroscopic analysis. CONCLUSION(S): This study highlights the processes used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polyphenol substance derived from P. japonica. Rosmarinic acid, the polyphenol derived from P. japonica identified by this study, is a kind of bioactive substance mainly present in plants. These findings provide an important starting point and are valuable for future studies on bioactive substances in seagrass.

상황버섯 추출물의 인간 유래 THP-1 단핵구 세포주의 분극화 조절 (Phellinus linteus Extract Regulates Macrophage Polarization in Human THP-1 Cells)

  • 이상률;박슬기;유선녕;김지원;황유림;김동섭;안순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13-121
    • /
    • 2020
  • 대식세포는 특성에 따라 크게 classically activated macrophages (M1-phenotype macrophages)와 alternatively activated macrophages (M2-phenotype macrophages) 두 가지의 형태로 나눌 수 있다. M1 대식세포의 경우 직·간접적으로 병원체, 감염된 조직 및 암세포 등을 제거하는 능력을 가진 반면, M2 대식세포의 경우 항염증 반응을 동반한 손상된 세포 조직의 복구 및 세포외기질의 생성에 관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황버섯 열수추출물을 합성 흡착제인 Diaion HP-20에 통과시켜 소수성 물질을 제거한 시료(PLEP)을 이용하여 인간 유래 THP-1 단핵구 세포주의 염증성 혹은 항염증성 분극화 특성을 알아보았다. 먼저 PLEP 자체의 단핵구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확인한 결과, 고농도의 300 ㎍/ml에서 세포독성이 확인되지 않았다. 한편 세포의 형태학적 변화를 확인한 결과, PLEP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M1- phenotype 대식세포와 유사한 flatted and branched 형태가 증가하였다. 대식세포로 분화시킨 THP-1 세포주에 PLEP를 처리한 후, M1 대식세포 분극화 관련 유전자인 TNFα, IL-1β, IL-6, IL-8, CXCL10, CCR7과 M2-분극화 관련 유전자인 MRC-1, DC-SIGN, CCL17, CCL22의 유전자 발현량을 조사하여 분극화 양상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M1-분극화 관련 유전자들은 PLEP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지만, M2-분극화 관련 유전자들은 반대로 감소하였다. 또한 ELISA assay를 통하여 M1 분극화 관련 cytokine인 TNFα, IL-1β, IL-6의 발현량이 유전자의 발현량과 동일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cytokine들의 분비를 촉진시키는 MAPK signaling 또한 PLEP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촉진되었고 염증성 cytokine과 관련된 전사인자 NF-κB의 활성화도 증가하였다. 따라서 PLEP는 인간 유래 THP-1 세포주에서의 M1 대식세포 분극화를 통해 염증 반응을 유발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염증을 촉진하는 천연물질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아선약 추출물의 matrix metalloproteinase-1(MMP-1) 억제 및 제1형 프로콜라겐 합성 촉진 활성 (Matrix metalloproteinase-1 suppression and type-1 procollagen synthesis promoting effects of Uncaria gambir)

  • 이재민;김동희;이은우;권현주;김병우;조재현;김현주;김태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93-99
    • /
    • 2017
  • 건조한 아선약을 80% 메탄올로 침지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에 대해 Diaion HP-20 수지를 충진제로 사용한 칼럼크로마토그래피를 수해하여 6종의 용리액을 얻었으며, 얻어진 추출물에 대하여 MMP-1 저해 및 type-1 procollagen 합성 촉진 활성을 평가하였다. 먼저 MMP-1 저해활성은 총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40% 메탄올 용리액에서 $IC_{50}$값이 $15.6{\pm}1.3{\mu}g/mL$으로 positive control로 녹차의 주름개선 성분인 (-)-EGCG의 $IC_{50}$값인 $38.4{\pm}2.3{\mu}g/mL$ 보다 우수한 활성이었다. 또한 type-1 procollagen 합성촉진 활성은 총페놀성 화합물 함량이 가장 높은 40% 메탄올 용리액에서 우수한 $EC_{50}$값이 $6.9{\pm}0.7{\mu}g/mL$을 나타내었으며, 양성대조구인 (-)-EGCG의 효능과 동등한 활성이었다. 본 실험에 사용된 아선약 시료의 경우 다양한 화합물이 공존하는 추출물 및 용리액 상태이며 이들 시료에 우수한 효능의 성분의 존재 및 추출물에 존재하는 화합물의 우수한 상승효과의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향후 각종 칼럼크로마토 그래피를 활용한 이들 주름개선 효능 관련 물질의 분리를 통한 활성물질의 구조 결정 및 활성 기작에 대한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며, 본 연구결과는 천연물 유래의 우수한 MMP-1 저해 및 type-1 procollagen 합성 촉진 활성을 가지는 새로운 천연 소재 발굴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Differential Effects of Resveratrol and its Oligomers Isolated from Seeds of Paeonia lactiflora (Peony) on Proliferation of MCF-7 and ROS 17/2.8 Cells

  • Kim, Hyo-Jin;Lee, Won-Jung;Park, Yun-Hee;Cho, Sung-Hee;Park, Sang-Wo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8권4호
    • /
    • pp.356-364
    • /
    • 2003
  • A methanol extract from seeds of Paeonia lactiflora (Paeoniaceae, peony) was found to possess different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against four different human cancer cell lines: Hela, MCF-7, HepG2 and HT-29. Furthermore, five different methanol (20, 40, 60, 80 and 100 % MeOH) fractions obtained by fractionation of the methanol extract of the seeds on a Diaion HP-20 column exhibited differential antiproliferative effects against the above four cancer cell lines. Among five fractions, the 60 % MeOH fraction showed relatively lower antiproliferative activity on MCF-7 estrogen-sensitive breast cancer cell than the other cancer cell lines. Systematic separation of 60% the MeOH fraction by silica gel and Sephadex LH-20 columns led to the isolation of four known stilbenes, trans-resveratrol (1), trans-(+)- $\varepsilon$ -viniferin (2), gnetin H (3) and suffruticosol B (4). The four stilbenes (1∼4) exerted differential biphasic effects on cell proliferation of MCF-7 cells in a similar manner as genistein, a soybean isoflavone used as a positive reference, in the concentration range from 1.0 to 200 $\mu$M. Three stilbenes (1 ∼ 3) weakly stimulated the proliferation of MCF -7 cells at doses below 10 JIM. However, strong antiproliferative effects on MCF-7 cell were exerted by extract 1 at a dose of 200 JIM, and by 2 and 3 at doses above 25 $\mu$M. In contrast, 4 inhibited the proliferation of MCF-7 cell at a dose below 25 $\mu$M, but stimulated cell proliferation at concentrations of 50 and 100 $\mu$M. All four stilbenes (1∼4) stimulated the proliferation of ROS 17/2.8 osteoblast-like cells in the range of 10$^{-10}$ ∼10$^{-1}$ $\mu$M. Compound 1 exhibited especially potent proliferative activity, although its activity was weaker than that of genistein. Additionally, three resveratrol oligomers (2∼4) also exhibited concentration-dependently moderate proliferative activity, but less than that of 1. These results suggest that resveratrol, and its dimer and trimers from the seeds of Paeonia lactiflora may act as a phytoestrogen, but in a somewhat different manner from that of genistein.

추황배(Pyrus pyrifolia Nakai cv. Chuhwangbae) 과피로부터 3종의 저분자 화합물의 단리·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3 Low-molecular Compounds from Pear (Pyrus pyrifolia Nakai cv. Chuhwangbae) Fruit Peel)

  • 이유건;조정용;김찬미;정항연;이동이;김수로;이상현;김월수;박근형;문제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74-17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동양배에 함유된 유용성분을 분자수준에서 밝히고자,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섭취되고 있는 품종 중의 하나인 추황배를 대상으로 배 과피의 MeOH 추출물을 해리성을 이용하여 용매분획하였다. 얻어진 획분들을 대상으로 항산화 활성에 초점을 맞추어 open column chromatography와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를 행하여 3종의 항산화 화합물을 단리하였다, 그 결과, BuOH 획분으로부터 화합물 1을, EtOAc-산성 획분으로부터 화합물 2를, 그리고 EtOAc-페놀성 획분으로부터 화합물 3을 단리하고, 각각 NMR 및 MS 분석을 행하여 구조해석을 행하였다. 그 결과, 화합물 1-3은 각각 2-carboxyl 4(1H)-quinolinone (kynurenic acid, 화합물 1), cis-coumaric acid (화합물 2), 그리고 vanillin(화합물 3)으로 동정되었다. 이 3종의 화합물 모두 본 연구에 의해 배로부터 처음 동정되었다. 본 연구결과가 배의 유용성 및 기능성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율무근의 식물화학적 성분 연구 및 Tyrosinase 저해 활성 (Phytochemical constituents of Coix lachryma-jobi var. ma-yuen roots and their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 최윤혁;최춘환;이재연;안은경;오좌섭;홍성수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0권1호
    • /
    • pp.49-54
    • /
    • 2017
  • 본 연구는 천연 미백소재 탐색을 위하여 율무(C. lachryma-jobi var. ma-yuen) 부산물 추출물의 tyrosinase 저해활성을 검증하였으며, 그 중에서 뿌리 추출물은 $159.3g/{\mu}mL$$IC_{50}$ 값을 나타내었다. 율무 뿌리 추출물의 순차적 용매 분획에 대한 활성 검증 후 가장 활성이 우수한 EtOAc 분획물에 대하여 Diaion HP-20 column chromatography, MPLC및 preparative HPLC를 수행해 율무근으로부터 여섯 개의 화합물을 정제하였고, 이 물질들의 구조 분석은 LC-MS와 NMR 데이터 해석을 바탕으로 진행하여 각각 (+)-icariol $A_2$ (1), zhepiresionol (2), 4-hydroxybenzaldehyde (3), trans-${\rho}$-coumaric acid (4), N-(2-hydroxy-4-methoxyphenyl)-2-hydroxyacetamide (5), coixol (6)로 구조를 규명하였다. 화합물 1은 이 식물에서 처음으로 분리되었으며, 화합물 5는 자연계로부터 처음으로 분리된 화합물로 확인하였다. 이들 화합물 중 4-hydroxybenzaldehyde (3), trans-${\rho}$-coumaric acid (4)와 coixol (6)은 순서대로 707.4, 6.5, $62.4{\mu}M$$IC_{50}$ 값을 나타내어 대조군으로 사용한 arbutin ($IC_{50}=618.7{\mu}M$)과 비교시 유사하거나 우수한 활성을 확인하였다. 이로 미루어 보아, 율무근 추출물과 활성물질의 tyrosinase 저해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율무근 추출물의 미백소재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난소절제 흰쥐의 임상화학지수매 미치는 홍삼조사포닌의 영향 (Effect of Crude Saponin from Korean Red Ginseng on Clinical Chemical Parameters of Ovariectomized Rat)

  • 곽이성;위재준;황석연;경종수;남기열;김시관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4권1호
    • /
    • pp.46-50
    • /
    • 2000
  • 본 연구는 갱년기 장애에 대한 홍삼의 효과를 조사할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홍삼의 효과는 자성 흰쥐의 난소를 인위적으로 절제하여 갱년기 장애를 유도한 후 홍삼조사포닌을 3 개월동안 복강으로 투여하여 그 효과를 살펴보았다. 혈소판수는 난소절제 유무에 관계없이 사포닌 투여군에서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p<0.05). 난소절제군의 혈중중성지질함량은 99.9 mg/㎗로서 정상대조군의 152.1 mg/㎗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나 (34%) 홍삼조사포닌을 투여하면 그 함량이 138.0 mg/㎗으로 그 함량감소를 다소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기무게는 난소절제군/비절제군, 사포닌투여군/비투여군 간에 큰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비장(spleen)의경우 사포닌 투여군에서 유의적인 무게증가가 관찰되었다. 흰쥐에 있어 대퇴골의 무게는 건조 전·후 각각 1.57 및 1.l0g이었고 난소절제군의 경우 1.40및 1.02g으로 난소절제에 의해 약 8∼1l%의 무게감소가 관찰되었다. 난소를 절제하고 사포닌을 투여한 실험군(OS)의 대퇴골 무게는 건조 전·후 각각 1.63및 1.11g으로 모두 정상대조군과 동등한 수준으로 회복되어 홍삼조사포닌 투여는 난소절제로 야기되는 대퇴골의 무게감소를 유의하게 억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p<0.05, p<0.01).

  • PDF

인삼(Panax ginseng C.A. Meyer)로부터 Malonyl ginsenoside의 분리 및 정량분석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major malonyl ginsenosides isolated from Panax ginseng C.A. Meyer)

  • 신우철;정지윤;나현선;황보전;김형근;윤다혜;최보람;이영섭;김금숙;백남인;이이;이대영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2권4호
    • /
    • pp.375-384
    • /
    • 2019
  • 고려인삼(Panax ginseng C.A. Meyer)을 70% EtOH 수용액으로 저온 추출한 뒤, 감압 농축한 추출물을SiO2, ODS column chromatograph 및 중압분취(MPLC) 장비를 반복 실시하여 4종의 인삼 사포닌 화합물을 분리 및 정제하였다. NMR 및 고분해능 질량분석 장비를 이용하여 malonyl ginsenoside Rd (1), Rc (2), Rb2 (3), 및 Rb1 (4)로 구조 동정하였다. 분리한 4종의 화합물에 대하여 UPLC-MS/MS 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수삼의 5년 및 6년근 뿌리의 동체를 정량분석 하였으며, malonyl ginsenoside의 총 함량의 합은 각각 6.62 및 2.34 mg/g으로 5년근이 약 2.8배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인삼으로부터 분리된 화합물 중 malonyl ginsenoside Rd의 경우, 알코올에 의해 저해된 HepG2세포에 대해서 간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