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검색결과 911건 처리시간 0.031초

전반적 발달장애아동의 감각처리능력과 섭식 특성의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Sensory Processing Ability and Characteristics of Eating for Children With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 강현진;장문영;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41-49
    • /
    • 2011
  • 목적 : 전반적발달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감각처리능력과 섭식특성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전반적발달장애아동의 감각처리능력과 섭식특성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대상은 만 4세에서 6세의 전반적발달장애로 진단받은 아동과 만 4세에서 6세 사이의 일반적 아동이다. 연구도구는 자폐아동의 섭식행동 체크리스트(Brief Autism Mealtime Behavior Inventory: BAMBI), The Sensory Checklist의 Food 영역, 감각에 대한 아동의 반응 질문지(Short Sensory Profile: SSP)이다. 전반적 발달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를 기관을 통해 실시하였다. 전반적발달장애아동의 설문지 45부와 일반아동의 설문지 109부를 분석하여 감각처리, 섭식행동, 구강섭식의 차이와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결과 : 전반적발달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감각처리능력은 차이가 있었다. 감각처리능력의 모든 하위 영역에서도 차이가 있었다. 전반적발달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섭식특성인 섭식행동과 구강섭식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전반적발달장애아동은 감각처리능력에 어려움이 많을수록 섭식행동의 문제가 많이 나타났다. 전반적발달장애아동의 감각처리능력의 하위 영역 중 맛/냄새민감성, 청각여과하기에 어려움이 많을수록 섭식행동의 문제가 많이 나타났다. 그리고 감각처리능력의 하위 영역 중 과소반응/자극추구행동, 청각여과하기와 구강섭식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전반적발달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감각처리능력과 섭식특성을 비교하고 감각처리능력과 섭식 특성의 상관관계를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전반적발달장애아동의 섭식행동 중재를 위한 프로그램 제공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유니버설 디자인 개념이 적용된 장애인을 위한 근무복 디자인 개발 (Development of work uniform desig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pplying a universal design concept)

  • 김문영
    • 복식문화연구
    • /
    • 제28권3호
    • /
    • pp.344-355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workwear design that takes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people with severe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can engage in vocational activities. The aim was to identify needs according to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to design work clothes and develop products according to universal design guidelines. This research method was conducted through representative interviews from a company employing people with severe dis- abilities in Daegu to determine the requirements for workers-related work clothes, and then applied universal design guidelines to perform appropriate desig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hygiene and warmth of clothing are important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refore, the use of bright materials is required. Second, people with brain lesions often have low body temperature due to difficulties with blood circulation, for which warmth is a required factor. Third, people with severe developmental disabilities should not be differentiated in comparison to people without disabilities, therefore, it was important to use nondiscriminatory designs. Accordingly, it was more efficient to modify and supplement clothing designed for non-disabled people with hidden functions to suit specific characteristics, rather than to develop specialized clothing. These demands were found to conform to what is referred to as a universal design concept, through which three nondiscriminatory shirt designs and two easy-to-use pants were designed.

미숙아로 출생한 영아의 6개월 발달 관련 요인에 대한 전향적 연구 (Prospective Study on Factors Related to Development in Premature Infants at Six-Months)

  • 방경숙;강현주;이부현;권미경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2권3호
    • /
    • pp.199-206
    • /
    • 2016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onitor the development of Korean premature infant at six-month age and to explore factors related to developmental status of the premature infants. Methods: Participants were 58 premature infants whose corrected age was six-months old and their mothers. The developmental states of infants were followed-up with the Korean Prescreening Developmental Questionnaire (KPDQ-II).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infants were identified from the medical records. Other characteristics including Edinburgh Postnatal Depression Scale, husband's support, social support, and mother-infant attachment were assessed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from the mothers. Results: Forty three percent of the infants were in the group of questionable status of development on the KPDQ-II.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remature infants with normal developmental status and those with questionable developmental status depending on gender ($x^2$=5.03, p=.034), gestational age (t=2.59, p=.012), hospital stay (p=.013), revised Neurobiologic Risk Score (p=.005) and mother-infant attachment score (t=2.12, p=.040). Conclusion: Mother-infant attachment, as well as physiological state of premature infants, is an important variable in early development. Therefore, early monitoring for the development has to be done for physiologically vulnerable premature groups. Also, providing proper nursing support to improve maternal attachment needs to be considered.

아버지의 흡연이 아동의 발달수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aternal Smoking on the Developmental Levels of Children)

  • 정선영
    • 아동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1-16
    • /
    • 2013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aternal smoking on the developmental levels of children younger than 3 years of age. For this purpose, the paper made use of data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which has been released in 3 waves - 2008, 2009, and 2010.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moking characteristics of parents (e.g., the amount of smoking in the morning, the time starting the first cigarette of the day) rather than the duration of smoking or whether the father smoked or not reveale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developmental levels. Second, children whose fathers preferred smoking in the morning exhibited lower activity levels or more areas with developmental delays than did their counterparts. Third, children whose fathers smoked more than 11 cigarettes a day were more likely to show problematic developmental levels, especially among those whose fathers responded so only for 1 year out of 3 year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future research may be conducted, relating to the mechanisms through which morning smoking affects children and possible interventions for such morning smokers.

포커스 그룹면담을 통한 발달장애아동의 성교육 실태와 요구 (A study on the Sex Education Status and Need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Using Focus Groups)

  • 김종선
    • 보건의료생명과학 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69-76
    • /
    • 2021
  • 발달 장애 아동의 성교육 현황을 조사하고 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하여 특수 교육 기관 및 장애 아동 보육 서비스에서 근무하는 12명의 교사를 선정하였다. 문헌 고찰을 통해 3개 주제에 대한 의견과 요구 사항을 파악하기 위해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했다. 장애 아동 성교육의 경우 교육의 방향이 일관되지 않고 개인의 특성과 욕구를 고려되지 않아 성교육 운영의 어려움이 파악되었다. 이에 발달 장애 아동의 발달 단계를 고려한 성교육 지침의 구체적인 사례와 높은 접근성을 포함하는 성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한다.

발달장애인 가족지원 서비스에 대한 중요도-만족도 분석 (Analysis on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Family Support Service for Familie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김삼섭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155-164
    • /
    • 2019
  • 이 연구에서는 발달장애인 가족 284명을 대상으로 가족지원 서비스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 인식 수준을 알아보았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인 가족의 가족지원 서비스에 대한 중요도-만족도 인식 수준은 전반적으로 그리고 하위유형별로 모두 통계적 유의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발달장애인 가족의 가족지원 서비스에 대한 중요도 인식 수준은 양육활동 지원, 신체적 물질적 안녕 지원, 가족 상호작용 지원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발달장애인 가족의 가족지원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양육활동 지원, 가족 상호작용 지원, 정서적 안녕 지원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요도-만족도 사분면의 특성을 분석하여 현상 유지, 개선 노력, 중장기 전략 필요 등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발달장애인 가족지원 서비스의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시재생을 위한 브라운필드의 건축기획 특성에 관한 연구 - 영국 LDA, 미국 EPA와 BRA의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Brownfield's Pre-Design for the urban renewal - Focused on Comparisons of LDA & EPA, BRA -)

  • 오준걸
    • KIEAE Journal
    • /
    • 제12권3호
    • /
    • pp.61-67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design of brownfield's by comparing LDA, EPA, and BRA of UK and USA in terms of establish mainbody, brownfield information, development process, opening development information. Such analysis will generat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and renewal of brownfield in Korea by gaining insights into the characteristics of brownfield that reflect systematic and effective management and planning for urban renewal.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indicate that: 1. Information on brownfield plays an important role at the development and planning stages that precede architectural design. 2. There is a great need for organizations that are responsible for brownfield renewal, such as LDA of UK, EPA and BRA of USA, in Korea, to make information public and to practice systematic management. 3. Discussion on the pre-design that follows contamination and renewal of brownfield and the developmental strategies that satisfy both the developmental and public profits are warranted.

발달장애인의 Empowerment 강화를 위한 전환과정과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Transition Process and Programs for Empowerment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order)

  • 나운환
    • 재활복지
    • /
    • 제15권4호
    • /
    • pp.27-47
    • /
    • 2011
  • 본 논문은 발달장애인의 역량강화를 통해 지역사회로의 자연스러운 전환을 목표로 한 전환과정과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 관련 프로그램 사례조사, 전문가 심층면접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발달장애인들을 고려한 전환과정은 지나치게 제한되어 있고 이들의 특성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둘째, 발달장애인을 위한 새로운 고등교육프로그램이 새로운 전환과정으로 시작되고 있으나 중등학교와 연계가 부족하다. 셋째, 중등학교 이후 발달장애인을 위한 대학프로그램에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는 요인은 자기인지와 자기이해이다. 이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에서 발달장애인을 위한 대학 내 전환과정과 프로그램을 제안하면 첫째, 발달장애인을 위한 중등학교 이후 전환과정은 최소한 발달장애인의 특성과 자기이해와 자기인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주류화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고려할 때 대학 내에서의 전환과정 구성은 하나의 대안이 될수 있다. 둘째, 대학 내 구성되는 고등교육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은 측면이 고려되어 구성될 필요가 있다. ① 대학 내의 많은 고등교육 관련 프로그램의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연계되거나 지원망이 구축될 필요가 있다. ② 대학 내의 모든 프로그램에 발달장애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문호가 개방되어야 한다. ③ 대학 내의 전문 인력들이 필요에 따라 참여할 수 있도록 인적구성이 체계화되고 연계될 수 있어야 한다. ④ 대학 내의 비장애학생들이 발달장애학생들의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통합학습이나 활동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A Review of Correlates for Change in Drinking Behavior from Adolescence to Adulthood

  • Kim, Kwang-Kee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 /
    • 제1권1호
    • /
    • pp.15-41
    • /
    • 1999
  • This is an effort to review epidemiological research on developmental patterns of drinking behavior among youth from adolescence to young adulthood. Selected correlates for changes in drinking behavior include age, antisocial behavior, family influence, a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ethnicity and socioeconomic status. An emphasis is give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antisocial behavior and developmental patterns of drinking behavior. Also, this review regards observed particular patterns of drinking behavior as being contextualized by group to which individuals belo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