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pt. of Optometry

검색결과 271건 처리시간 0.018초

안구건조증 설문지의 일치도 연구 (Comparative Analysis of Questionnaires for Dry Eye Screening Test)

  • 김다영;이선행;조현국;김건규;김하나;문병연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99-504
    • /
    • 2014
  • 목적: 안구건조증 평가를 위한 세 종류의 설문지와 타각적 검사의 일치도를 비교하였다. 방법: 성인 90명을 대상으로 세 종류의 설문지(SPEED, OSDI, TERTC-DEQ)와 타각적 검사(NIBUT, Schirmer test)를 시행하여 건성안과 정상안을 구분하고 세 설문지와 타각적 검사의 일치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NIBUT 검사와 각 설문지 간의 일치도는 SPEED의 경우 83.3%, OSDI의 경우 77.8%, TERTC의 경우 72.3%로, SPEED가 가장 높은 일치도를 보였다. Schirmer test와 각 설문지 간의 일치도는 SPEED의 경우 57.8%, OSDI의 경우 58.9%, TERTC의 경우 73.3%로, TERTC가 일치도는 높았지만 전반적으로 Schirmer test에서는 NIBUT 검사보다 낮은 일치도를 나타냈다. 결론: 안구건조증은 SPEED의 설문지가 타각적 검사와 가장 높은 일치도를 보였으며, SPEED가 안구건조증 평가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콘택트렌즈 관리용액의 미셀임계농도 및 표면장력과 세척력 간의 상관관계 (The Correlation between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Surface of Contact Lens Care Solutions Tension and Their Cleaning Efficacy)

  • 변현영;성형경;문준식;이아영;권세영;김소라;박미정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3-30
    • /
    • 2014
  • 목적: 본 연구에서는 콘택트렌즈 관리용품의 세척력 평가를 위해 미셀임계농도 평가법, 표면장력 평가법 및 단백질세척효율평가법의 상관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계면활성제의 미셀임계농도와 실제 콘택트렌즈 관리용액의 계면활성제 농도를 문헌과 관련 자료들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표면장력기기로 $25{\pm}1^{\circ}C$에서 콘택트렌즈 관리용액의 표면장력을 측정하였으며, lotrafilcon A, comfilcon A, balafilcon A재질의 렌즈를 인공누액에 14일 동안 침착시킨 후 콘택트렌즈 관리용액으로 세척하여 세척효율을 비교하였다. 결과: 콘택트렌즈 관리용품 22제품 중 계면활성제 농도가 표시된 제품은 9제품이었으며 문헌상의 미셀임계농도보다 계면활성제 농도가 더 높은 제품은 7제품이었다. 표면장력을 측정한 결과 대체적으로 소프트렌즈용 관리용품의 표면장력이 다른 관리용품보다 낮음을 알 수 있었으며, 렌즈에 침착된 단백질 제거효과 분석 결과에서는 표면장력이 더 낮은 제품의 단백질 제거효율이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콘택트렌즈 관리용액의 계면활성제 농도가 높은 경우 표면장력이 낮으며, 표면장력이 낮을수록 침착된 단백질 세척 효율이 높아져 세척력 평가법 간에 서로 상관관계가 있음을 밝혔다.

색필터와 교대가림법을 이용한 새로운 사위측정 (Measurement of Heterophoria by Alternative Cover Method Using a Color Filters)

  • 박선영;유동식;이선행;김상엽;조현국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2부
    • /
    • pp.894-897
    • /
    • 2010
  • 적청 색필터와 새로운 시표를 이용한 교대가림법(Twinkle R/B법)이 임상적으로 새로운 사위검사법으로 사용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대학생 109명(남 73명, 여 36명)을 대상으로 Twinkle R/B법, Modified Thorington법, Howell법, 그리고 Von Graefe법으로 40cm 거리에서 사위검사를 실시하였다. 사위검사는 검사자별로 반복 측정을 실시하여 검사방법에 따른 신뢰도를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검사자의 반복측정에 따른 신뢰도는 Twinkle R/B법이 가장 높았다. 결과적으로 Twinkle R/B법은 신뢰도가 높은 사위검사법으로서 임상에서 충분히 사용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안경사제도의 변화 필요성에 대하여 (The Need for Change of Korean Optician(optometrist) System)

  • 서재명;김재도;김흥수;심현석;김상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27-536
    • /
    • 2015
  • 목적: 본 논문에서는 한국 안경사제도의 문제점들과 개선방안들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방법: 현재 안경사제도 관련된 자료와 해외 검안안경사 제도 관련 자료를 이용하여 안경사제도 변화의 필요성에 대한 이론적 바탕을 제공한다. 결과: 시력보정용구의 착용자가 증가하고 있고, 현재 굴절검사의 67%가 안경원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안경사들은 충분히 교육을 받고 있고, 많은 안경사들이 안과에서 굴절검사를 담당하고 있다. 현행 법률은 안경사의 업무특성을 적절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현재 한국 안경사들의 능력, 교육제도는 국민의 안보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준비는 충분히 되어 있으므로 현실에 맞는 안경사 법을 재정해야만 한다.

동측성 반맹시 환자의 재활치료용 시분할 장치 개발에 관한 연구 (Study on Developing the Equipment of the Time Division System for Rehabilitation in People with Homonymous Hemianopia)

  • 서재명;박근호;허민영;정주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07-412
    • /
    • 2014
  • 목적: 시분할 장치가 동측성 반맹시 환자의 재활치료용 프레넬 프리즘으로 인한 복시 현상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소형 모터와 마분지를 사용하여 시분할 장치를 제작했다. 시분할 장치의 효율성을 검증하기 위해 시분할 장치 전후 걷는 방향과 문자에 대한 인식을 비교 분석했다. 결과: 공간의 이등분할 실험에서 시분할 장치 전 피검자의 방향각은 $+18.14^{\circ}$였으며 장치 후의 방향각은 $+8.91^{\circ}$로 나타났다. 시분할 장치 후 $4{\times}4$시표의 문자 인식 실험에서는 정답률이 9%P, $6{\times}6$시표에서는 15%P가 증가했다. 특히 정답률이 낮은 군에서 효과가 더 뛰어났다. 결론: 시분할 장치는 동측성 반맹시 환자의 방향성이나 운동성에도 좋은 결과를 보였다.

20대와 40대 초반 근시안의 최대조절력 비교 (Comparative Study of the Maximum Accommodative Amplitude in 20's and 40's Myopia)

  • 윤재홍;황해영;김수운;김현목;손정식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73-278
    • /
    • 2012
  • 목적: 20대와 40대 초반 근시안의 성별 및 근시도에 따른 최대조절력의 평균 크기를 비교 분석하여 세대간 조절력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대 초반과 40대 초반의 근시안 각 100명을 대상으로 하여 푸쉬업법(pushup method)을 이용하여 최대조절력을 측정하였다. Hofstetter 공식을 이용하여 얻어진 최대조절력 기대값을 기준으로 기대최소치 미만군(under), 정상군(normal), 기대최대치 초과군(excess)으로 분류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20대 초반의 평균 조절력은 9.77~11.64 D$(10.77{\pm}2.49D)$, 40대 초반의 평균 조절력은 4.67~6.21 D$(5.34{\pm}1.28D)$로 나타났고, 20대 초반에서 조절력의 기대최소치 미만군은 20%, 정상군 75%, 기대최대치 초과군 5%의 분포를 나타내었고, 40대 초반에서는 조절력의 기대최소치 미만군 18%, 정상군 82%를 나타내었고, 기대최대치 초과군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두 연령층 모두에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조절력의 감소를 나타내었는데, 근시도와 성별에 따른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각 연령대별로 최대조절력의 기대평균치와 최대조절력 평균의 차를 비교해 보았을 때 20대 초반에서 기대평균치보다 더 작은 것으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근업 기회가 많은 20대의 조절력 저하가 훨씬 빨리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근시성 부등상시의 등상시 렌즈 처방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Prescription of Size Lens for Myopic Aniseikonia)

  • 권영석;김기홍;이현미;추병선;권윤경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55-560
    • /
    • 2013
  • 목적: 부등상시의 교정은 좌우 망막상의 크기를 같게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부등상시의 등상시 렌즈 처방에 의한 입체시 능력과 자각적인 증상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안질환이 없고 약시가 진행되지 않은 교정시력 1.0 이상의 근시성 부등시 환자 중에 양안 굴절도 차이가 1.75~3.50 D 대상으로 양안 완전교정 상태에서 일반적인 안경처방과 부등상시를 교정할 수 있는 등상시 렌즈처방을 통해 Awaya' aniseikonia test통해 부등상시도 검사와 Randot stereo test 통해 양안시 최종 목적인 입체시 검사를 실시하였고, 자각적인 증상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결과: 부등시가 증가할수록 안경교정으로 발생한 부등상시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같은 굴절양의 부등시에서도 부등상시도의 차이는 개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등상시 렌즈 처방이 일반적인 안경처방보다 더 작은 부등상시를 유발 하였고, 입체시는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안정피로는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부등시의 안경처방 시 부등상시를 교정할 수 있는 등상시 렌즈처방을 통해 입체시 향상과 함께 부등상시성 안정피로를 줄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스마트폰 시청과 알코올 섭취에 따른 눈의 변화와 상관관계 (The Changes of The Eye and a Correlation Depending on Watching a Smartphone and taking in Alcohol)

  • 이정윤;윤언정;김성민;황혜경;박경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73-479
    • /
    • 2013
  • 목적: 스마트폰 시청과 알코올 섭취에 따른 눈의 변화와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안질환, 정신질환, 전신질환 그리고 알코올 대사에 관련된 약물복용의 병력이 없는 평소 건전한 음주습관을 가진 대상자 31명(남 18명, 여 13명)을 굴절검사, 각막곡률반경, 안압측정, 각막두께를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결과: 스마트폰 시청에 따른 호흡 중 혈중 알코올의 농도 변화는 15분, 30분, 45분, 60분 그리고 회복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 p<0.001). 알코올 섭취 후 스마트폰 시청 전과 시청 후, 굴절검사 비교 결과 원주굴절력과 축에서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p=0.005, p=0.001). 알코올 섭취 후 스마트폰 시청에 따른 안압의 변화는 30분부터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001), 알코올을 섭취 한 상태에서 경과시간에 따른 스마트폰 시청은 각막두께에 유의한 변화를 주지 않았다. 결론: 스마트폰 시청과 알코올 섭취는 원주굴절력과 축 그리고 안압에 유의한 변화를 보인다. 시기능 피로를 초래할 수 있는 스마트폰 시청 및 알코올 섭취는 굴절검사 전 반드시 고려해야 할 요인이다.

대구지역 안경사의 NCS교육과정에 대한 인식과 요구직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ptician's Perception of Curriculum based on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and Required Jobs in Daegu)

  • 장준영;박정식;이정영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762-768
    • /
    • 2016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on survey related optician's perception of NCS and required jobs to develop curriculum of department of ophthalmic optics Methods.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questionnaire survey of 63 opticians working in Optometrist in Daegu Metropolitan City from November 1, 2016 to November 18, 2016. Results. As for the opticians who know about NCS, 23.8%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 opticians' perception of NCS is very low. For the four required jobs of the technical part, less than 5 years of optometrists ; optometry 73.7% > fitting 47.4% > ophthalmic dispensing 36.8% > lensmeter 5.3%, more than 5 years and less than 10 years of optometrists ; optometry 84.6% > fitting 53.8% > lensmeter 46.2% > ophthalmic dispensing 38.5%, more than 10 years of optometrists ; optometry 67.7% > ophthalmic dispensing 51.4% > lensmeter 19.4% > fitting 16.1%. For the four required jobs of the management, less than 5 years of optometrists ; product 57.9% > service 47.4% > manners 10.6% > sales 5.3%, more than 5 years and less than 10 years of optometrists ; service 76.9% > product 53.9% > manners 46.2% > sales 38.5%, more than 10 years of optometrists ; service 45.2% > manners 42.0% > product 32.3% > sales 19.4%. Conclusions. Although there were 108 required jobs of the technical part and 94 required jobs of the management part, the technical level of the department of ophthalmic optics was satisfactory, but the classes of the management part were insufficient. It will be necessary to actively reflect the needs of industry through curriculums reform.

고분자 안경테의 온도에 의한 기계적 물성 변화 분석 (Analysis of Mechanical Property Changes of Polymer Eyeglass Frames by Thermal Impact)

  • 서호근;윤태양;노혜란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29-434
    • /
    • 2014
  • 목적: 국내 유통되고 있는 고분자 소재 안경테의 열에 의한 기계적 물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cellulose acetate, polyamide, epoxy 그리고 polyetherimide 소재를 고온과 저온의 열에 노출시킨 후 만능 재료 시험기(Universal Test Machine TO-100-IC)를 이용하여 인장강도 시험(Tensile Strength Test)을 실시하였다. 다양한 온도에 따른($-25^{\circ}C$, $25^{\circ}C$, $60^{\circ}C$) 탄성 변화와 영률, 최대 변위, 그리고 피로거동을 관찰하였다. 결과: 그 결과, 상온($25^{\circ}C$)에서 충격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소재마다 변위가 다르게 나타났다. 낮은 온도($-25^{\circ}C$)에서 최대 변위는 모든 재료에서 감소하였으나 영률은 증가하였다. 그러나 높은 온도($60^{\circ}C$)에서는 최대 변위가 증가하고 영률이 감소하였다. 결론: 피로누적으로 인한 변형의 정도는 PEI, epoxy, polyamide, acetate 순으로 증가하여 나타났다. 안경테에 사용되는 고분자는 노출되는 온도에 따라서 소재마다 기계적 물성이 다르게 변화되어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