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pendency Analysis

검색결과 946건 처리시간 0.029초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중학생의 학업 무기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위축과 스마트폰 의존의 순차적 매개효과 (The Serial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Withdrawal and Smartphone Dependency and the Influence of Negative Parenting Attitude on Adolescents' Academic Helplessness)

  • 김재윤;한희수;박은영;강민주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8권4호
    • /
    • pp.601-611
    • /
    • 2020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on adolescents' academic helplessness through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withdrawal and smartphone dependency. Data from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KCYPS 2018) colle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NYPI) was used to examine the research model. The subjects of the study consisted of 2,541 fir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1,375 boys and 1,166 girl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d bootstrapping analysis were conducted by means of SPSS 25.0, AMOS 25.0, and Hayes's PROCESS programs to examine the serial multiple mediating effects.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negative parenting attitude had a direct effect on adolescents' academic helplessness. This implies that adolescents who perceive their parents' attitudes to be high in coercive, rejective, and chaotic levels indicate that they can easily get exhausted in academic settings. Second,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had an indirect effect on adolescents' academic helplessness through social withdrawal and smartphone dependency. The results suggest that a high level of negative parenting attitude leads to higher social withdrawal and smartphone dependency that influences adolescents' academic helplessness.

POPULATION GROWTH, POVERTY INCIDENCE AND FOREST DEPENDENCY IN NEPALESE TERAI

  • Panta, Menaka;Kim, Kye-Hyun;Neupane, Hari Sharma;Joshi, Chudamani;Park, Eun-Ji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7년도 GIS 공동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80-285
    • /
    • 2007
  • Since the human civilization, people's livelihood is dependent on natural resources primarily on forest. Human dimensions such as population, poverty, agricultural expansion and infrastructure development are some of the underlying factors and their interrelated associations which could play a vital role in deforestation and forest degradation. This process is not only related to the human population but also connected to the various socioeconomic factors. This paper focuses to link the spatio-temporal extent of population, poverty incidence and forest dependency and their severity on Terai forest of Nepal. Secondary data on censuses were used. ArcG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also used for data analysis. Based on analysis & literature review we concluded that population, poverty and forest dependency have largely expanded over time in Terai and their interrelated associations substantively influence on deforestation. However, the direct relationship of such factors with deforestation and forest degradation found to be incompatible, complex and hard to perceive with fragmented and inconsistency censuses data. So, deforestation and forest degradation issues intertwined with socioeconomic factors need detailed analysis to comprehend where these linkages are still unravel.

  • PDF

미시체계적관점에서의 청소년 성인매체 몰입에 미치는 영향요인: 휴대폰 의존의 매개효과 검정 (Factors Influencing Adult Media Engagement of Adolescents from Micro-systemic Perspective: Mediation Analysis of Cell-Phone Dependency)

  • 심현진;이희명;이현실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63-70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factors influencing adolescents' adult media engagement. The study is based on Agnew's General Strain Theory (GST) and a micro-systemic perspective. Methods: The study examined 479 middle school freshmen who participated in the fourth wave of the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KCYPS) conducted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using SPSS 22.0 Ver. Also, hypothesis testing was performed via covariance-based structure equation modeling (CB-SEM) using Amos 21.0 Ver. Results: Strain factors had positive effects on adolescent depression, and depression had a positive effect on adult media engagement. Also, cell-phone dependency had a positive mediation effect between depression and adult media engagement. Conclusion: The study's result identified the factors affecting adult media engagement. Therefore, we suggest intervention programs considering adolescents' strains, depression and cell-phone dependency to improve their health.

액티비티 의존성을 이용한 워크케이스 마이닝 메커니즘 (A Workcase Mining Mechanism using Activity Dependency)

  • 김상배;김학성;백수기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4권6호
    • /
    • pp.43-55
    • /
    • 2003
  • 워크플로우 마이닝이란 워크플로우 관리시스템에서 생성되고 실행되어진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인스턴스의 실행경로를 분석하여 새로운 정보론 추출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는 빌드타임(Build Time)에 정의된 모델의 실행경로와 런타임(Run Time)에서 실행된 워크케이스의 실행경로를 비교/분석하여 새로운 워크플로우 모델의 제시 또는 작성된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개선을 위한 작업으로서 액티비티(activi쇼) 의존성을 이용한 워크케이스 마이닝에 관하여 기술하겠다. 제안된 워크케이스 마이닝을 위하여 각 액티비티의 의존성을 분석하여 중요경로(Essential Path)를 결정하는 액티비티 의존 넷 알고리즘(Activity-Dependent Net Algorithm)과 워크케이스 실행 정보를 이용하여 중요 경로와 일치여부를 결정하는 실행계열 분석 알고리즘(E-Walk Series Analysis Algorithm)을 제안한다.

  • PDF

종속성 네트워크 기반의 온라인 고객리뷰 분석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n and Implementation Online Customer Reviews Analysis System based on Dependency Network Model)

  • 김근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30-37
    • /
    • 2010
  • 특정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네티즌의 의견들은 고객뿐만 아니라 기업 입장에서도 마케팅이나 경영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온라인 고객리뷰를 분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 고객리뷰를 분석하기 위한 도구인 종속성 네트워크 모델을 제안하였고 종속성네트워크 모델을 기반으로 한 분석시스템을 설계하고 개발하였다. 종속성 네트워크모델은 고객리뷰 내의 주관적 문장과 객관적 문장을 분석대상으로 하며, 명사들 사이의 상대적 중요성과 연관성을 나타낼 수 있다. 시스템구현 결과, 종속성네트워크 모델은 오피니언마이닝 기술에 의하여 도출할 수 없는 새로운 정보 즉, 추출된 특징들 사이의 상대적 중요성 및 연관관계 등을 추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 예측변인에 대한 성차 연구 (The Gender Difference in Predictors of Mobile Phone Dependency in Youth)

  • 김현순;최영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340-352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성별에 따라 휴대전화 의존 예측변인에 차이가 있는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KCYPS) 중에서 중학교 1학년 패널 3차 년도(2012)의 데이터를 활용 분석하였다. 예측 변인으로 주의집중결핍, 공격성, 우울, 사회적 위축, 부모의 학대, 부모의 방임, 학습활동, 또래소외를 설정하고 단계적(stepwise)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휴대전화 의존도는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여학생의 휴대전화 의존도는 남학생의 휴대전화 의존도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둘째, 남학생의 휴대전화 의존을 가장 잘 설명하는 예측변인은 공격성이고 그 다음이 부모의 학대, 주의집중 결핍, 그리고 학습활동 순이었으며, 여학생의 예측변인은 첫째가 우울이고 그 다음이 주의집중 결핍, 공격성, 학습활동 그리고 사회적 위축 순으로 나타났다. 여학생의 휴대전화 의존은 남학생의 경우보다 더 많은 변인의 영향을 받으며, 남학생의 경우와는 달리 우울과 사회적 위축과 같은 관계지향적인 변인에 의해 더 영향을 받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개입의 실천적 방안은 모든 대상자들에게 일괄적으로 적용되기 보다는 성별에 따라 차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SNA를 활용한 빅데이터 프로젝트의 위험요인 영향 관계 분석 (Analysis of the Impact Relationship for Risk Factors on Big Data Projects Using SNA)

  • 박대귀;김승희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79-86
    • /
    • 2021
  • 빅데이터 프로젝트의 성공 확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복잡한 원인들로부터 근본적인 위험의 원인을 분석하여 최적의 대응 방안을 수립할 수 있는 계량화된 기법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SNA 분석을 통해 위험 요인과 관계를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위험에 대응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즉, 사전 연구에서 제시된 빅데이터 프로젝트의 위험 그룹 간 상관관계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종속성 네트워크(dependency network) matrix를 도출하고 이를 통해 SNA 분석을 수행한다. 종속성 네트워크 matrix를 도출하기 위하여 위험 노드 간의 상관관계로부터 부분 상관을 구하고, 상관 영향과 상관 종속성을 계산함으로써 노드별 활동 종속성을 도출하고 이를 통해 위험 요인 노드 간의 인과 관계와 연관관계에 있는 모든 노드간의 영향정도를 모두 산출한다. 위험 요인 간 SNA통해 도출된 위험 요인 간 네트워크로부터 위험에 대한 근본 원인을 인지함으로써 보다 최적화되고 효율저인 위험 관리가 가능하다. 본 연구는 위험관리 대응과 관련하여 SNA 분석 기법을 적용한 최초의 연구로 본 연구결과는 IT프로젝트의 위험관리와 관련하여 주요 위험에 대한 위험 관리 순서를 최적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험 통제를 위한 새로운 위험분석 기법을 제시하였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잠재성장모형을 사용한 청소년의 학업긴장이 불행감과 휴대전화 의존에 미치는 종단적·복합적 영향 분석 (Longitudinal and Complex Influence of Academic Strain on Unhappiness and Mobile Phone Dependency among Adolescents using Latent Growth Model)

  • 전상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2호
    • /
    • pp.293-302
    • /
    • 2016
  • 본 연구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청소년의 학업긴장과 불행감, 휴대전화 의존이 어떠한 변화 추이를 가지고, 학업긴장의 변화가 불행감과 휴대전화 의존의 변화에 어떠한 종단적 복합적 영향을 파악하여 이들 간의 악순환을 방지하는 방안 모색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일반긴장이론을 개념적 연구틀로 설정하고,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제 2~4차 한국아동 청소년패널 1,589명의 청소년 응답치를 사용하여 잠재성장모형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청소년의 학업긴장과 불행감, 휴대전화 의존은 모두 시간의 경과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학업긴장의 초기값은 불행감의 초기값 및 휴대전화 의존의 초기값과 변화율에는 정적 영향을 미쳤고, 학업긴장의 변화율은 불행감의 변화율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불행감의 변화율은 휴대전화 의존 변화율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학업긴장의 변화율이 불행감의 변화율을 매개로 하여 휴대전화 의존의 변화율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습과 부정적 정서, 휴대전화 의존에 대한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였고, 상기 변수들의 변화의 근거에 대한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여자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 불안, 대인의존행동특성 및 절망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과모형의 검증 (Validation of Casual Model for the Effect of Academic Stress, Anxiety, Interpersonal Dependency and Hopelessness on Depression i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 이후연;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208-217
    • /
    • 2018
  • 본 연구는 공분산구조분석을 이용하여 여자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 불안, 대인의존행동특성 및 절망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조사대상은 C시에 소재하고 있는 여자고등학교 학생 684명으로 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2016년 1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구조화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한 설문조사에 의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WIN(ver 21.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관련변수들에 대한 우울수준의 평균치 비교 및 Pearson상관분석에 의한 상관계수를 구하였으며, 우울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공분산 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의 우울수준은 학업스트레스, 불안, 대인의존행동특성 및 절망감이 높을수록 유의하게 높았다. 상관관계 분석에서 우울수준은 학업스트레스, 불안, 대인의존행동특성 및 절망감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공분산 구조분석 결과, 우울수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요인은 불안이었고, 그 다음으로 학업스트레스, 대인의존행동특성의 순이었다. 위와 같은 결과는 여자고등학생의 우울수준은 학업스트레스, 불안, 대인의존행동특성, 절망감과의 인과관계가 성립됨을 시사한다. 따라서 여자고등학생의 우울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한 우울 중재 프로그램개발에 학업스트레스, 불안 및 대인의존행동특성을 낮추기 위한 방안 등이 포함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 자기조절력, 스마트폰 의존성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mpathy, Self-control, and Smartphone Dependency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Nursing Students)

  • 유장학;천의영;김해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82-90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의 공감능력, 자기조절력, 스마트폰 의존성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자료는 A시 S대학교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157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9년 5월 27일에서 5월 31일까지이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4.0을 이용하여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성적에 따라 자기조절력(F=5.319, p=.006)과 스마트폰 의존성(F=4.854, p=.009) 정도의 차이가 나타났고, 스마트폰 사용시간에 따라 스마트폰 의존성(t=-3.381, p<.001) 차이가 있었다. 연령은 자기조절력과 순상관관계(r=.194, p=.015)를, 스마트폰 의존성과는 역상관관계(r=-.223, p=.005)를 보였다. 또한 자기조절력은 공감능력(r=.244, p<.01)과 대인관계(r=.540, p<.001)와는 순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스마트폰 의존성(r=-.432, p<.001)과는 역상관관계를 보였다. 공감능력과 대인관계는 순상관관계(r=.476, p<.001)에 있었다. 회귀분석 결과, 대인관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자기조절력(β=.477, p<.001), 공감능력(β=.359, p<.001), 스마트폰 사용시간(β=.208, p<.01)이었으며, 총 설명력은 45.0%(F=12.029, p<.01)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를 향상하기 위한 프로그램에서는 자기조절력, 공감능력, 스마트폰 사용시간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