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ntal hygiene convergence

검색결과 482건 처리시간 0.034초

보건의료산업학회지 게재논문(2007-2018년)의 연구동향 분석 : 치위생분야를 중심으로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Publication (2007-2018) : Mainly in Dental Hygiene)

  • 박소영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5-52
    • /
    • 2019
  • Objectives: The study's purpose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of dental hygiene papers. Methods: In order to search for papers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publications listed on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Service Management's website. Results: A total of 76 articles were published in the dental hygiene study. Its main trend was having oral health problems with 32 episodes. The most common word used in the Journal of Health Industry for the past 12 years is "health". Conclusions: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the development of convergence research in health care and dental hygiene should be explored.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직업기초역량이 진로의사결정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요인 (The Convergence Effects of Key Vocational Competency on Career Decision Making in Dental Hygiene Students)

  • 박정현;장경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159-165
    • /
    • 2018
  • 본 연구는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직업기초역량이 진로의사결정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부산과 울산지역의 대학교 치위생(학)과에 재학중이며,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학생 196명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을 통해 빈도분석, 상관분석, 선형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산출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직업기초역량 인식수준은 3.38점, 진로의사결정은 3.30점으로 나타났으며, 직업기초역량의 하부요인 중 직업윤리 인식 수준이 3.46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직업기초역량이 진로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대인관계능력(p<0.01), 조직이해능력(p<0.01), 자원관리능력(p<0.01), 자기개발능력(p<0.05), 문제해결능력(p<0.05), 수리능력(p<0.05)에서 유의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직업기초역량 강화는 진로의사결정을 하는데 중요한 기여요소이므로 치위생 교육이 전공역량과 더불어 직업기초역량을 골고루 갖출 수 있도록 학생개인, 학과, 대학차원의 융합적 노력과 교육과정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wareness and Necessity of Registered Dentist Program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 최용금;김미선;정수라;류다영;김은정
    • 대한치위생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5-24
    • /
    • 2020
  • Background: The program aims to enable the participants to receive oral health care with sustainability and give them the choice and prior autonomy of dental practitioners while enhancing the benefits of sustainab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necessity, awareness, and satisfaction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registered dentist program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to promote the introduction of RDPCA. Methods: The survey targeted adult residents in their 20s or older who live in Seoul, an area that continuously implements the RDPCA system, especially in the cities of Cheonan and Asan Results: 79.7% were the most unaware. However, RDPCA participants were significantly more aware than non-participants. When surveying the desire to participate in RDPCA, 96.6% of the respondents said they would 'participate' in the non-RDPCA participate group. The analysis of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RDPCA received by their children indicated that 48.6% expressed their satisfaction, and 47.3% said they were healthy. There was a high percentage of people who said they would recommend RDPCA to others as well as a high rate of those who said they would continue to use RDPCA. Conclusions: The reality is that the awareness and implementation of RDPCA are low. For the development of oral health care programs for all children and adolescents in Korea, and the improvement of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dental care system, there should be an active consideration of high-quality programs and.

일부 치위생(학)과 학생의 자아존중감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 of Communication ability by Self-esteem for some Dental Hygiene Students)

  • 임선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9호
    • /
    • pp.77-84
    • /
    • 2017
  • 본 연구는 치위생(학)과 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의사소통능력에 관한 연구로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는 융합연구이다. 2017년 4월 1일부터 4월 20일까지 광주지역 치위생(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자발적으로 동의한 학생에게 연구목적과 방법을 설명하고 직접 서명 날인 후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의사소통 능력은 자아존중감과(r=0.472,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소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고민상담자(${\beta}=-0.189$), 전공만족도(${\beta}=-0.216$), 긍정적 자아존중감(${\beta}=0.444$)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의사소통능력이 높은 점으로 보아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 의사소통능력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치위생(학)과 신입생의 긍정심리자본과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련성에 대한 융합적 연구 (Convergent Relationship between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College Life Adaptation in Freshmen of Dental Hygiene Department)

  • 조미숙;박정현;장경애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195-202
    • /
    • 2019
  • 본 연구는 부산, 울산, 대구광역시 지역의 대학교 치위생(학)과에 재학중인 신입생을 대상으로 긍정심리자본이 대학생활적응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변인들의 결과 희망, 복원력, 낙관주의, 자기효능감, 학업적응, 사회적응, 개인정서적응, 대학환경적응의 요인에서 모두 정적 상관을 가지고 있어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긍정심리자본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요인 중 학업적응과 사회적응은 낙관주의(p<0.001)와 자기효능감(p<0.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개인정서적응과 대학환경적응은 낙관주의(p<0.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긍정심리자본을 향상시킬 있는 중재 프로그램이 개발하여 체계적으로 교육현장에 적용해야 할 것이다.

대학생의 전공계열이 치과진료에 미치는 융합적 연구 (The Convergence Study on Dental treatment of related to the Major of University students)

  • 김민아;장현정;이연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87-94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전공계열이 치과진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설문조사를 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여성이 남성에 비해 4.63배(보건 전공), 2.56배(비보건 전공) 치과 진료를 더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인이 주관적으로 잇몸 건강이 좋다고 생각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치과진료를 0.92배(보건 전공), 0.39배(비보건 전공)로 덜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 계열에 따라 치과진료의 결과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 결과를 고려하여 비보건계열의 대학생을 위한 치과진료에 대한 융합적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한다. 이를 통해 체계적이고 올바른 구강보건지식을 습득하여 적절한 치과진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치위생의사소통 교육에서의 역할극 수업에 대한 인식과 경험에 대한 연구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dental communication education based on the role played by some dental hygiene students)

  • 최용금;문희정;전현선
    • 대한치위생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11
    • /
    • 2022
  •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role-play in dental hygiene education by analyzing learner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role-play classes. Methods: Role-play was used as a teaching method to run dental medical communication and practice classes for 31 3rd graders in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to investigate the learner's perception of role-play classes, effectiveness of the classes, and learner's perception of the experience. The Mann-Whitney U test was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learners' perceptions of the role-play classes according to the main characteristics related to dental health communication education. Result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awareness of dental communication education (4.74 ± 0.35) and awareness of role-play classes (4.44 ± 0.48) was an Rs of 0.634, showing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p<0.001). Conclusion: Learners recognized that dental hygiene communication competency is important for dental hygienists. In addition, a strategic teaching design is necessary to reduce the learner's burden on role-play considering the learner's experience, which is perceived as a disadvantage of role-play

K 대학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진로결정수준·진로준비행동 실태 조사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n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K university)

  • 이숙정;이예종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27-3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진로의사결정유형 및 진로결정수준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K 대학 치위생학과 1,2,3학년에게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K대학에 재학중인 치위생학과 106명을 대상으로, 사용한 측정도구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척도, 진로결정 척도, 진로준비행동 척도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 회귀분석, Pearson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프로젝트 기반 지역사회치위생학 현장실습 수업적용 사례 (Application of a Project-Based Learning on Community Dental Hygiene)

  • 최문실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31-41
    • /
    • 2018
  • 본 연구는 G시 S대학교 치위생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지역사회치위생학 현장실습' 교과목의 수업방법으로 프로젝트 기반학습의 적용가능성을 알아보기위해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은 2018년 4학년 30명이었다. 자료수집기간은 3월12일부터 6월27일까지이며, SPSS 20.0 program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조장의 팀 수행능력이 높은팀이 점수 결과도 높게 나타났으며($3.91{\pm}0.82$), 학생들은 실습은 꼭 필요하다($4.10{\pm}0.88$)하였고, 전공담당교수의 피드백($3.73{\pm}0.86$)이 가장 만족도가 높았다. '지역사회치위생학 현장실습' 교과목에서의 프로젝트기반 학습 수업적용에 의의가 있으며 수업에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액션러닝을 활용한 구강보건교육학 수업이 의사소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융합적 학습효과 (The Convergence Effects of Oral Health Education Class Applying Action Learning on Communication Abil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 이혜진;장경애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212-217
    • /
    • 2019
  • 본 연구는 액션러닝을 활용한 구강보건교육학 수업이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의사소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학습효과를 파악하고자 시도된 융합연구이다. 연구대상은 B지역 S대학교 치위생(학)과 3학년에 재학중인 학생 37명으로 사전 사후 설계의 연구로 시행되었다. 연구 결과 액션러닝을 활용한 구강보건교육학 수업이 의사소통능력(p<0.001)과 문제해결능력(p<0.001)에 미치는 학습효과는 사전 사후 비교시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내었다. 의사소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영역별 점수에서도 사전 사후 비교 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액션러닝 활용 수업이 학습자의 의사소통능력과 문제해결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어 학습자 참여식 교수법으로 치위생학교육의 설계 및 운영이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