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ntal hygiene convergence

검색결과 482건 처리시간 0.02초

A Study on the Change of Clinical Self-Confidence according to the Number of Clinical Dental Hygiene Practices of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 Focusing on scaling practices -

  • 최용금;김미선;정수라;김은정
    • 대한치위생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39-49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basic data needed to plan the effective teaching design of scaling education and to measure the changes in students' confidence in performing scaling according to the number of scaling practices. Scaling education is presented as a core basic hygiene competency of dental hygienists and evaluated as the practical competency of dental hygienists. This study selected 48 third-year students from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at S University in Asan, and analyzed data from completed participant surveys. The degree of "confidence in facing the subject in clinical practice," "confidence in applying hand instrument to the subject," and "confidence in applying ultrasonic instruments to the subject" was assessed on a five-point Likert scale. The difference in confidence was analyzed during five practice sessions. Each response was compared using frequency analysis, chi-square test, and repeated measurement ANOVA. Students who complained of a lack of confidence in the 14.6%, 25.0%, and 12.5%, respectively, in face-to-face practice, hand instruments, and ultrasonic instrument application responses. The more the practice was repeated, the more confident students were in all three categories, and the mo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1). As the number of scaling practice sessions increased, students' confidence in performing scaling also improved. In particular, the level of self-confidence was higher after the third practice session when compared to the first sess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sign effective courses for teaching scaling practices so that at least three repetitive practice periods can be provided in clinical dental hygiene practices.

치위생(학)과 학생의 노인에 대한 부양의식이 공감력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융합연구 (Convergence study on the influence of dental hygiene student supporting awareness in their empathy about elderly)

  • 박신영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25-30
    • /
    • 2017
  • 본 연구는 일부 치위생(학)과 학생의 노인에 대한 부양의식이 공감력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대학의 치위생(학)과 학생 193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 분석은 빈도분석, t-test, ANOVA, 피어슨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을 IBM SPSS STATICS 20.0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노인에 대한 부양의식과 공감력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공감력에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노인문제 대한 관심도와 부양의식이 높을수록 공감력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치위생(학)과 학생들에게 노인 관련 교과목 개설 및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 구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일부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임상실습 감정노동과 자아존중감이 직업정체감에 미치는 융합적 요인 (Convergence factors of emotional labor of clinical practice and self-esteem on professional identity in some dental hygiene students)

  • 최정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99-104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일부 치위생(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임상실습 감정노동과 자아존중감이 직업정체감에 미치는 융합적 요인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전남지역에 소재한 대학 3개교에 재학 중인 치위생(학)과 학생 205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모든 자료는 SPPS 1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자아존중감과 직업정체감은 양의 관계(r=0.366, p<0.01)를 보였지만 임상실습 감정노동과 직업정체감은 음의 관계(r=-0.213, p<0.01)로 나타났다.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직업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 요인은 전공만족도(${\beta}=0.434$), 자아존중감(${\beta}=0.236$) 그리고 임상실습 감정노동(${\beta}=-0.199$)이었다. 설명력은 34.6%의 영향력을 보였다. 따라서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직업정체감 향상을 위하여 전공 만족도와 자아존중감을 증진시키고 임상실습 시 경험하는 감정노동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치위생학과와 타 학과 학생의 결핵에 대한 지식이 예방행위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 -결핵에 대한 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convergence effects of knowledge of tuberculosis prevention behavior dental hygiene and other majoring students -Focusing on the mediator effect of behavior toward tuberculosis-)

  • 강현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183-191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치위생학과 학생과 타 학과 학생의 결핵(Tuberculosis) 감염에 대한 지식과 태도 및 예방 행위 사이의 관계를 확인하는 것으로 하였다. 일반적 특성은 백분율을 구하였고, 결핵에 대한 지식, 태도, 예방행위의 관련성 분석은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결핵 감염에 대한 평균점수는 지식 13.56점, 태도 45.75점, 예방행위 41.75점 이었다. 타 학과 학생들의 결핵 감염에 대한 평균점수는 지식 12.93점, 태도 45.58점, 예방행위 42.01점 이었다. 두 그룹 학생들의 결핵에 대한 지식에서 예방행위에 미치는 태도의 매개효과 결과, 학생들의 결핵지식은 태도에 영향을 미치지만 예방행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태도는 예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학생들의 결핵 감염에 대한 예방행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지식과 태도의 조정이 필요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학생들의 결핵 감염 예방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친환경 칫솔의 효과와 만족도 (Effects and satisfaction of eco-friendly toothbrush)

  • 강경희;박성은;고승지;김나현;김유경;장성주;최연주
    • 미래기술융합논문지
    • /
    • 제2권4호
    • /
    • pp.49-56
    • /
    • 2023
  • 본 연구는 친환경적 칫솔과 일반 칫솔의 치면세균막 제거율을 비교 분석하고, 설문지를 통하여 연구 대상자들의 칫솔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여 친환경 구강용품의 효과와 인식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친환경 구강용품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을 환기하고 구강용품 선택에 있어 다양한 선택의 기준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친환경 칫솔과 일반칫솔의 칫솔 종류별 치면세균막 제거율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친환경 칫솔의 기능은 일반 칫솔의 기능과 별다른 차이가 없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친환경 칫솔에 대한 만족도가 전반적으로 긍정적이었기 때문에 앞으로 미래사회의 더 나은 환경을 위해 소비자들이 친환경 칫솔을 선택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친환경 구강위생용품에 대한 관심 증대를 목표로 한 지속적인 홍보와 개발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일개 치위생(학)과 학생의 평가자에 따른 치위생관리과정에서의 커뮤니케이션 역량 차이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difference of communication competency for dental hygiene process of care in the students of a dental hygiene department by the evaluator)

  • 최진선;정수라;최용금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39-151
    • /
    • 2018
  • Objectives: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elf-evaluated outcomes of communication competency in dental hygiene process of care in the students of a dental hygiene department with the teaching evaluation, and to confirm the difference of communication competency by the evaluator. Methods: This study attempted to confirm the value and usefulness of self-evaluation and teaching evaluation on the communication competenc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3 junior students who took a course of dental medical communication at the dental hygiene department of a university located in 'A' city, and the self-evaluation and teaching evaluation were conducted using the evaluation paper which was modified from the communication evaluation tool in the previous studies.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the correspondence sample t-test to compa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mmunication competency self-evaluation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and after communication education, while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valuators. Results: The student's self-evaluations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moreover, the post-education competency scores were improved mostly in all the items more than the pre-education competency scores. The score of self-evalu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the teaching evaluation in all items except one question in the case of history-information collection stage. Conclusions: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an effect to allow the students to improve their communication competency in the dental health communication education in the dental hygiene department. To evaluate the student's communication competency, the mutual complement of self-evaluation and teaching evaluation should be confirmed in parallel each other.

치위생(학)과 학생의 전공만족도, 회복탄력성이 임상실습만족도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 (The Convergence Effect of Major Satisfaction, Resilience on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e Students)

  • 이지원;최하나;정의정;김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113-120
    • /
    • 2021
  • 본 연구는 치위생(학)과 학생의 전공만족도, 회복탄력성 및 임상실습만족도 정도를 알아보고, 임상실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치위생(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총 256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연구 목적에 따라 기술통계, t-test, ANOVA,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임상실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전공만족도의 관계만족이 유의한 정적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임상실습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전공만족도 중 관계만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며, 학생에 대한 교수자의 지지, 라포 형성 등 관계만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

치과위생사의 전신질환과 관련된 응급처치 지식 측정도구 개발 (Dental hygienist's knowledge measurement tool for emergency treatment related to systemic disease)

  • 윤용하;이정화;노희진;한선영;문소정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33-142
    • /
    • 2022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clinical dentistry hygienists to develop knowledge measurement tools and evaluate knowledge necessary to cope with emergencies related to systemic diseases occurring in dentistry. Methods: Basic questions were developed on the six most frequently occurring diseases in the dental office: diabetes, syncope, respiratory disease, coronary artery disease, cerebrovascular disease, and epilepsy. Fifty-eight preliminary questions were composed in a survey format through expert validation. The survey was then conducted on 290 dental hygienists to verify the composition validity and reliability. Factor and reliability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3.0 program, and the correct answer rate for each question was calculated. Results: 49 items of a total of 13 factors were adopted as the final items for signs, symptoms, prevention and treatment of five diseases. The question with the highest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for each question was "Slowly set up the unit chair when raising the patient"(97.9%) during the prevention of unconsciousness and question with the lowest correct answer rate was "soft substances such as cloth should be put in the mouth to prevent trauma while the seizure persists" (16.6%). Conclusions: A total of 49 questions have been developed as tools to measure the knowledge of dental hygienists' first aid related to systemic diseases and it is expected that related curriculum can be operated or evaluated by using them.

치위생학교육평가·인증체계 정립을 위한 학습성과기반 치위생 핵심역량에 관한 조사 (A study on core competence of dental hygiene based on learning outcomes for establishing dental hygiene education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system)

  • 이선미;장경애;이정화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65-72
    • /
    • 2020
  • 치위생학교육평가·인증체계 정립을 위한 학습성과기반 치위생 핵심역량을 파악하고자 치위생(학)과 전임교수 207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핵심역량별 세부영역에서 전문가적 행동 및 윤리적 의사결정 능력(1영역)과 과학적이고 전문적인 임상치위생과 임상치과업무의 지식과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능력(2영역)의 전체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의사소통 능력 정도(3영역)는 4.48점, 근거중심의 통합적 사고와 문제해결 능력 정도(5영역)는 4.35점으로 나타났다. 핵심역량 세부영역들은 강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을 확인하여 보건의료서비스 직종간의 핵심역량 파악과 임상 실무현장에 근무하고 있는 치과위생사들의 핵심역량에 대한 질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학교와 임상에서 치위생과정을 적용한 치위생관리기록부의 융합적 차이 분석 (Analysis of the Fusion Differences in Dental Hygiene Process Charts Applying Dental Hygiene Process Between School and Dental Clinic)

  • 강현경;장경애;허성은;김유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223-231
    • /
    • 2018
  • 본 연구는 학교의 치위생과정과 임상의 치위생과정을 적용한 구강건강관리프로그램을 각 단계별 분석하여 학교와 임상간의 치과위생사 업무에 대한 괴리감을 낮추고, 치위생과정이 임상에서 널리 확산될 수 있도록 분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방법은 총 199명으로 (임상에서 치위생과정을 적용한 구강건강관리프로그램을 받은 환자 100명과 S대학교 치위생학과에 내원한 대상자 99명의 치위생관리 기록부) 최종 분석하였다. 분석내용으로 치위생과정 중 치위생문제와 치위생 계획을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교와 임상의 두 그룹에서 대상자의 치위생문제 발생률의 관련요인으로 17개 항목 중 6개의 항목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대상자의 관리계획 12개의 항목 중 1개의 항목을 제외하고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학교와 임산 간 치위생진단과 계획에서 많은 부분 차이를 보이고 있으므로 이러한 차이를 확인하여 지속적으로 상호 수정, 보완하는 노력을 한다면 치위생과정이 임상에서 우수한 구강건강관리프로그램으로 확산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