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ntal Implant Material

검색결과 367건 처리시간 0.024초

전기방사법으로 제조된 실리카/폴리카프로락톤 적층형 부직포에 배양한 골아 세포의 중식, 분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fferentiation of MC3T3-E1 incubated on the layer-built silica/polycaprolactone non-woven fabric produced by electrospinning)

  • 안민국;김경화;김태일;이용무;이상훈;구영;류인철;정종평;한수부;설양조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7권1호
    • /
    • pp.115-124
    • /
    • 2007
  • Silica is known as a promising osteoconductive material, and polycaprolactone is a bioactive and degradable materia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onitor the differentiation of MC3T3-E1 cells cultured on the layer-built silica/poly caprolactone non-woven fabric produced by electrospinning. Non-woven fabric (silica, polycaprolactone, PSP, SPS) was made by electrospinning and they were inserted in the 48 well cell culture plate. MC3T3-E1 cells were prepared by subculture. Cells were seeded to each well $1{\times}10^5$ concentration per well.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with 10% FBS and 1% antibiotic-antimycotic solution was used.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was taken 4 hours after incubation (95% air. 5% $CO_2$, $37^{\circ}C$). Cell proliferation was monitored by spectrophotometer on 1, 7, 14 days, and the morphology of the growing cells was observed by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o monitor the differentiation of osteoblasts on the materials, MC3T3-E1 cells were incubated in 48 well culture plate after seeding with the density of $1{\times}10^5$ concentration. Then ELISA kit & EIA kit were used on to assess osteocalcin and osteopontin expression respectively. The other conditions were the same as above. MC3T3-E1 cells were proliferated well on all of the materials.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among them. The osteopontin expression of silica, PSP, SP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 groups on day 3 (p/0,05), but after that time,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gicant differences. The osteocalcin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ilica and PSP than other groups on day 14. These findings show that PSP was as good as silica on the effect of osteoblast differentiation. The PSP non-woven fabric may have the possibility as bone graft materials.

다양한 골 이식재의 임상 효과에 대한 고찰 (A study of the clinical effects of various bone graft materials)

  • 이승범;연제영;채경준;정의원;김창성;이용근;조규성;채중규;김종관;최성호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7권4호
    • /
    • pp.719-732
    • /
    • 2007
  • Purpose: Various bone graft materials are being used for periodontal tissue regeneration. Th materials are being developed continuously for ideal clinical effec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each bone graft material through comparing the various bone graft materials statistically and in doing so, proposing a more efficient bone graft material. In this study, the following results were attained through comparing the clinical effects among the bone graft materials, using the statistical method based on the clinical studies published at the department of periodontology of Yonsei hospital. Materials and Method: 6 selected studies of department of Periodontology at Yonsei University Hospital were based on clinical study of bone grafting in intrabony defects. It was compared the clinical parameters among the 6 clinical studies, using the statistical META analysis. Result: When comparing the probing depth reduction, there was a relatively great amount of decease when using the xenograft, Anorganic Bovine Derived Hydroxapatite Bone Matrix/Cell Binding Peptide(ABM/P-15: PepGen $P-15^{(R)}$) and the autogenous bone and absorbable membrane, d, 1-alctide/glycolide copolymer(GC: $Biomesh^{(R)}$). The allogfrafts showed a relatively low decrease in the probing depth and clinical attachment change. It also showed a slight decrease in the bone probing depth. The allografts showed various results according to different bone graft materials. When comparing the ABM/P-15 and bovine bone $powder(BBP^{(R)})$, ABM/P-15 showed a relatively high clinical attachment level and the bovine bone powder showed a relatively high clinical attachment level. The probing depth change and gingival recession change showed a lower value than the mean value between the two bone graft materials. The synthetic bone showed a relatively high decrease in clinical attachment level and periodontal probing depth change. There was a relatively larger amount of gingival recession when using Bioactive Glass(BG) but a relatively low bone regeneration effect was seen. Conclusion: Good restorative results of the periodontal tissue can be attained by applying the various bone graft materials being used today after identifying the accurate clinical effects.

고상반응법에 의한 아커마나이트 분말의 합성 및 생체활성도 평가 (Synthesis of akermanite bioceramics by solid-state reaction and evaluation of its bioactivity)

  • 고재은;이종국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191-198
    • /
    • 2022
  • 치과용 임플란트 재료로 주로 사용되는 지르코니아 및 티타늄 합금은 생체불활성 특징으로 인하여 골유착 및 골형성 능력이 떨어진다. 이러한 문제를 쉽고 간단하게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생체활성 물질을 표면에 코팅하여 생체 활성을 높이는 방법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수한 골결합 능력을 가진 실리케이트계 세라믹인 아커마나이트(Ca2MgSi2O7)를 고상반응법으로 합성하고, SBF 용액 내 침적실험을 통하여 합성 아커마나이트 분말의 생체활성을 분석하였다. 고상반응 출발원료로는 탄산칼슘(CaCO3), 탄산마그네슘(MgCO3), 이산화규소(SiO2) 분말을 사용하였다. 분말을 혼합 및 건조한 후, 가압 성형하여 디스크 형태로 만든 후, 고상반응 온도를 변화시키며 아커마나이트 상의 합성을 유도하였다. 합성된 아커마나이트 펠릿의 용해 및 생체활성 분석을 위하여 SBF 용액 내 침적 시키고, 침적시간에 따라 아커마나이트의 표면 용해 및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석출을 분석하였다. 합성반응 온도가 높아질수록 아커마나이트 상이 뚜렷하게 나타난 반면에, SBF 용액 내 용해는 천천히 진행되었다. 합성된 아커마나이트 분말의 생체활성도는 대체적으로 우수하였으나, 그 중에서도 1100℃에서 고상반응 하여 합성한 분말에서 적절한 용해 및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입자의 석출이 잘 일어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티타늄에 대한 레진과 도재의 결합 강도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shear bond strength of resin and porcelain to Titanium)

  • 박지만;김영순;전슬기;박은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46-52
    • /
    • 2009
  • 연구목적: 최근 임플란트 상부보철물의 주재료로서 티타늄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CAD/CAM (computer - aided design/computer-aided manufacturing) 기술이 접목되어 티타늄을 절삭하여 제작하는 방법이 주목을 받고 있으며 치과 임상에서 점점 그 영역이 넓어지고 있다. 다만, 하나의 티타늄괴를 절삭하여 만드는 방법의 특성상 기계적 유지력을 얻을 수 있는 비드 등을 형성할 수 없고, 통상적인 재료인 금 합금이나 도재용 합금 주조체에 비해 도재와의 결합력도 떨어지는 것이 보완해야 할 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절삭형 티타늄을 이용한 보철물 제작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열중합 의치상 레진, 간접 복합 레진, 도재와 Grade II 순수 티타늄 사이의 결합 강도를 비교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지름 9 mm, 높이 10 mm의 Grade II 순수 티타늄 원통형 시편 37개를 3군으로 나누어 각각 직경 7 mm, 높이 1 mm의 열중합 의치상 레진 (Lucitone 199, DENTSPLY Trubyte, York, USA), 간접 복합 레진 (Sinfony, 3M ESPE, Seefeld, Germany), 도재 (Triceram, Dentaurum, Ispringen, Germany)와 결합시켰다. 시편은 $5-55^{\circ}C$에서 1000회 열순환 처리 후, 범용 시험기 (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 Model 4465, USA)를 이용하여 1 mm/min의 속도로 하중을 가하여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파절된 단면의 양상을 관찰하고 각 군별 파절양상을 조사하였다. 측정값은 one-way ANOVA와 Scheffe's multiple range test (${\alpha}=0.05$)로 분석하였다. 결과: 열중합 의치상 레진인 Lucitone 199 ($17.82{\pm}5.13\;MPa$)의 결합 강도가 가장 높았으며, 도재인 Triceram ($12.97{\pm}2.11\;MPa$), 복합레진인 Sinfony ($6.00{\pm}1.31\;MPa$) 순으로 감소하였다. Lucitone 199와 Sinfony 군의 파절 양상은 대부분이 부착성 파절인 데에 반해 Triceram 군에서는 복합성 파절이 많았다. 결론: CAD/CAM을 이용한 절삭형 티타늄 구조물 상방에 전장용 심미 재료로는 열중합형 의치상 레진이 가장 강한 결합 강도를 보인다. 기존의 주조체의 유지구 등에서 얻는 강도에 비해 약하고, 부착성 파절이 많은 점 등은 향후 이들 재료와 티타늄간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한 보다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을 시사한다.

성견의 2급 치근 분지부 결손에서 자가골막 이식에 의한 치주조직 재생 (The Use of Autogenous Periosteal Grafts for the Periodontal Regeneration in Mandibular Class II Furcation Defects in the Dog)

  • 남승지;정현주;김영준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0권2호
    • /
    • pp.241-257
    • /
    • 2000
  • 자가골막은 골결손부에서 골형성을 자극할 수 있는 능력과 조직유도재생술의 이상적인 차폐막이 갖추어야 할 여러 조건들을 만족하고 있다. 치주조직의 재생 술식에 적용시 임상적으로 다른 차폐막을 사용한 정도의 치주낭 감소와 임상적인 부착증진을 얻었다고 보고되고 있으나 이러한 임상적인 긍정적인 결과가 치주조직의 재생을 반드시 의미하는 것이 아니므로 조직학적 평가가 필요하다. 이에 본 실험은 성견의 하악 소구치에 2급 분지부 골결손을 형성하고 상악 견치의 협측 변연치은 정상 3 mm 하방에서 채취한 자가골막을 이식한 경우와 자가골막에 Calcium carbonate 이식을 병용하였을 때 치주조직의 재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실험은 잡종 성 견 6마리를 이용하였다. 실험군은 모두 3개 군으로 나누었다. 대조군은 골결손부의 외과적 처치 후 치주판막으로 봉합한 군, 실험 I군은 골결손부에 외과적 처치 후 자가골막만 이식한 군, 실험 II군은 골결손부에 자가골막과 Calcium carbonate 이식을 병용한 군으로 하였다. 희생은 각각 술후 2, 4, 12주에 시행하였고 광학 현미경적 관찰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임상적으로 잘 치유된 소견을 보였다. 광학현미경적으로 관찰시 2주째에 대조군은 상피의 근단이동이 심하였고 홈하방 부위에서만 골조직의 개조현상이 관찰되었으나 자가골막을 이식한 실험 I, II군에서는 상피의 하방이동은 미약하였고 홈상방으로 많은 골양조직이 관찰되었다. 조직계측학적으로 상피대는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4주와 1 2주째에 큰 변화가 없었다. 치주조직의 신부착 양은 실험군 대조군 모두 1 2주에 4주보다 더 증가하였으며 실험 I, II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많은 경향을 보였으나 실험 I, II군간의 차이는 없었다. 이식된 자가골막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골막이 주위조직과 생착되어 4주이후에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이식된 자가골막에 의한 치주조직 재생은 비교적 양호하였으며 상피의 하방증식을 억제할 수 있어 흡수성 차폐막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Panorama, CT를 이용한 상악동내 중격의 임상적 연구 (THE CLINICAL STUDY OF MAXILLARY SINUS SEPTA USED IN PANORAMA, CT)

  • 정진원;송경호;이슬기;김좌영;양병은;김성곤;송상훈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4권3호
    • /
    • pp.319-324
    • /
    • 2008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cidence, location and morphology of antral septa using radiographic exam.(Panorama, CT) in the dentate/non-atrophic and edentulous/atrophic maxillary segments. Material & methods: 232 sinuses were subdivided into two groups(group1 : 175 sinuses were classified as complete & partial dentate maxillary segments, group2 : 57 sinuses were classified as complete edentulous maxillary segments) and were investigated for the incidence, location and morphology of maxillary sinus septa. Results: A total of 80 septa were observed in 232 maxillary sinuses, which corresponded to 30.65% of the sinuses(71 of 232). 67.5% of the total septa was observed in the complete & partial dentate groups, but 32.5% of the total septa was observed in the complete edentulous group. Upon analysis of the anatomical location of the septa, it was seen that 14 septa(17.5%) were located in the P1 area, 15 septa(18.7%) were located in the P2 area, 19 septa(23.8%) were located in the M1 area and 32 septa(40%) were located in the M2 area & dista area of M2. we found 45 septa in the apical lesion of teeth, Group 1. However the remaining 9 septa were found in the edentulous area. Conclusion: CT is a better method than panoramic radiography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the maxillary sinus septa. Maxillary sinus septa are more commonly detected in complete edentulous maxillary segments than in complete & partial dentate maxillary segments. Also maxillary sinus septa are more commonly detected posteriorly than anteriorly.

치근면 활택술과 아르곤 레이저 사용에 따른 염증성 치은의 교원질 분해효소 검출 비교 (Detection of Collagenase in Inflammatory Gingiva using Root planning and Argon Laser)

  • 이창곤;임성빈;정진형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9권3호
    • /
    • pp.577-594
    • /
    • 1999
  • The major cause of periodontal disease is microorganism in the dental plaque. Gingival sulcular fluid, which is exudate released from the tissue near crevicular epithelium is related with inflamm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rgon laser efficiency between the clinical index and onset of collagenase of gingival sulcular fluid. Material divided 16 patients into 4 groups. The first control was without treatmemt. The second was with just treatment of argon laser, The third was treated by scaling and root planning and the fourth was treated with both scailing and root planning and argon laser. The level of periocheck test, the index of bleeding, and the depth of periodontal pocket were evaluated from for 128 teeth of 64 anterior teeth and 64 posterior teeth.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 the score of periocheck test, root planing group(group 3) was significantly reduced more than the group without treatment(group 1) and the argon laser treatment(group 2) for results of 3 days and 7 days. But root planing plus argon laser treatment(group 4) in the 7days after experiment, was significantly reduced than no treatment(group 1) and root planing treatment(group 3)(P<0.05), in the 3 days after experiment, was significantly reduced than root planing(group3)(P<0.05). The score of periocheck test to the root planning group(group 3) were significantly reduced between days1, day3 and day7(P<0.05). Root planning plus argon laser group(group 4) were significantly reduced to 1 or 7days and 3 or 7days(P<0.05). The argon laser group(group 2) didn't show any changes. 2. In the case of sulcus bleeding index, the root planning group(group 3) and root planning plus argon laser group(group 4) were reduced more than without treatment group(group 1)(P<0.05) and sulcus bleeding index in the root planning group(group 3) were reduced more than the argon laser group(group 2)(P<0.05). 3. There wasn't any changes of pocket depth between the control and the experiment group as with experiment periods also.

  • PDF

지르코잔 프레타우 블럭을 이용한 Full Zirconia 수복 시 심미에 관한 임상적 소견 (Clinical remarks about esthetics in the case of full zirconia restoration utilizing Zirkonzahn Prettau® block)

  • 박종찬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30-46
    • /
    • 2013
  • 치과에서 수복물제작에는 지난 50년간 금속을 이용한 금속도재관이 많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다 보니 심미적이고 생체 친화적이며 금속 알러지등의 문제로 인한 환자들의 사고의 변화에 따라서 'metal free restoration'에 대한 관심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특히 그 동안 많이 사용되어왔던 귀금속 가격이 급등하여 더 이상 구강 내 수복 물로써 제 역할을 하는 것은 불가능하게 되었으며, PFM수복은 술자로 하여금 chipping과 파절로 인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구치부 임플란트 수복물로써 보다 심미적이고 강도가 높은 재료의 요구로 인하여 그 어느 때보다 CAD/CAM이 주목을 받고 있다. Full zirconia 수복을 위해서 고려해야 할 사항은 1. 강도 2. 콤비네이션 작업은? 3. 빛 투과성은? 4. crack이 발생한 경우의 처치는? 5. 블럭의 색조 재현상은? 6. 대합치 마모도 7. 저온 열화 현상 등을 들 수가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블럭의 색조 재현상에 대해서 정리하고자 한다. Full zirconia 수복을 꺼려하는 가장 커다란 이유 중에 하나가 바로 기존의 PFM 수복과 비교했을 때 자연스러운 색조를 재현하기가 어렵다는 점이며, 교합 조정 후에 컬러링한 표면이 삭제된 후 나타나는 보기 싫은 블럭의 노출로 인하여 많은 임상가들이 꺼려하고 있다. 지르코잔의 블럭을 약 4년 여 동안 사용하면서 이러한 점들은 어느 정도 극복되어질 수 있는 문제라고 여겨지며, 어떻게 하면 그 가급적 주변 보철물 또는 자연 치아와의 조화 이룰 수 있는 수복물을 만들 수 있을 것인가에 관해 정리였다.

NaOH처리와 SBF침적에 따른 CP-Ti, Ti-6Al-4V 및 ECAP-Ti의 표면 아파타이트 성장 (Surface Apatite Growth of NaOH and SBF Treated CP-Ti, Ti-6Al-4V and ECAP-Ti)

  • 오석진;류재경;이승우;김윤종;한만소;김창규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4권12호
    • /
    • pp.893-899
    • /
    • 2004
  • Even though Ti-6Al-4V has gained popularity as an implant material, the possible dissolution of Al and V ions in body fluids remains a matter of concern. Though commercially pure Ti (Cp-Ti) overcomes this problem, the mechanical strength of pure titanium remains very low. Thus, in this experiment Cp-Ti was processed by Equal channel angular processing (ECAP), in order to increase the mechanical strength. The biocompatibility of ECAP-Ti, Cp-Ti and Ti-6Al-4V was examined by the apatite formation on each sample surface, after treating the surface with 5M NaOH and soaking in Simulated body fluids (SBF). Initially, the samples were mechanically polished on silicone carbide paper (#2000). The polished samples were treated with 5M NaOH solution at $60^{\circ}C$ for 24 hours. The NaOH treated samples were washed gently with distill water and dried at $40^{\circ}C$ for 1 day. The dried samples were heat treated in air at $600^{\circ}C$ for 1 hour. The surface morphology of these samples were studied using SEM and XRD. The SEM studies showed network of pores in all samples. The XRD showed oxide layer formation on Cp-Ti and Ti-6Al-4V. samples. However the oxide layer in ECAP-Ti was not substantial. These samples were immersed in SBF, kept at $36.5^{\circ}C$ for seven days period. At the end of 7 days, the apatite formation was confirmed only on Cp-Ti and was not observed in Ti-6Al-4V and ECAP-Ti. These observations of apatite formation relate to the fact that Cp-Ti showed greater oxide layer than other samples. The apatite examined was confirmed as tricalcium phosphate (TCP) using EDS and XRD.

흰쥐의 악골에 동종 이식한 태아 치아싹의 장기간 발육 (THE LONG-TERM GROWTH OF HOMOGENEOUS EMBRYO TOOTH GERM TRANSPLANTED INTO THE MAXILLA OF A RAT)

  • 고동현;정한성;김성오;이제호;최형준;최병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53-61
    • /
    • 2007
  • 치아우식증이나 치주질환으로 치아를 상실한 경우 여러 가지 방법으로 수복 치료할 수 있으나 그 중에서 임플란트와 치아 이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최근에는 치아 이식에 대한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서 치아를 형성시키고 발육시키는 과정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치아싹 이식은 생체 내와 생체 외에서 연구되고 있고, 생체 내 이식은 쥐와 생쥐, 고양이, 개 등 여러 동물에서 시행되고 있다. 이러한 생체 내 이식은 대부분 구강 외에서 시행되고 있으며 구강 내 이식에 대한 연구는 드물다. 본 연구는 악골 내에 이식한 치아싹이 발육되고 석회화되는지 관찰하기 위하여 성숙한 흰쥐의 상악 제 1 구치를 발치하고 그 발치와에 임신 13.5일 된 태아쥐에서 모상기의 하악 제 1 구치의 치아싹을 이식하고 2, 6 개월 후 희생하여 방사선학적 그리고 조직학적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2 개월과 6개월 동안 악골 내에 이식한 치아싹은 석회화된 치아 조직이 형성 되었고 치아 조직에서 상아질과 백악질, 치수 조직이 관찰되었으며 법랑질 공간 주변은 상피로 둘러싸여 있었다. 2. 6개월 동안 구강 상피 하방에 위치한 치아 조직은 상피로 둘러싸여 있었고 주위에 치주인대 및 결합조직이 관찰되었다. 3. 이식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치아 형성이 진전되었으나 치아 조직은 크기가 작았고 형태학적으로 완전하지 못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