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nce activity effect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35초

에어로빅댄스 활성화를 위한 체중변화와 운동몰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eight Change and Exercise Immersion for Activation of Aerobic Dance)

  • 이승도;김경현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115-130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에어로빅댄스 활성화를 위한 체중변화와 운동몰입에 관한 연구를 차이 분석하여 지속적으로 에어로빅댄스 활성화가 되도록 제시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20년 4월에 경남에 소재한 일반 에어로빅댄스 회원들을 대상으로 선정하고 비확률표집방법(Non-Probability Sampling)의 하나인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으로 표본 추출을 이용한 설문지로 시행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부분적으로 차이가 높게 나타났다. 연령은 40~49세, 신장은 160cm이상, 직업은 주부, 체중변화는 시작 후, 체중변화량은 -3kg 이상, 참여강도는 100분이상, 참여빈도는 4일, 참여기간은 5년이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체중변화(신체자신감, 활동자신감, 댄스자신감, 심리안정효과, 댄스활동효과, 수행동작효과)와 운동몰입(행위몰입, 인지몰입)에 부분적으로 높은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체중변화(신체자신감, 활동자신감, 댄스자신감, 심리안정효과, 댄스활동효과, 수행동작효과)와 운동몰입(행위몰입, 인지몰입)에 부분적으로 높은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SNS 공연예술 정보서비스품질이 초기신뢰와 프로슈머 활동에 미치는 영향: 무용공연을 중심으로 (An Effect of SNS Performance and Arts Information Service Quality on Initial Trust and Prosumer Activity: Focusing on Dance Performance)

  • 박선우;조철호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99-214
    • /
    • 2016
  • Purpose: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casual relationships among performance and arts information service quality, initial trust, user satisfaction, reuse intention and prosumer activity in social network service(SNS). Also, we intended to explore significant factors on use performance of SNS through causal model analysis in the viewpoint of total effect. Methods: As a survey tool, questionnaire has obtained validity and reliability through literature survey, exploratory survey and pretest and sample 403 was selected. For statistical treatment of pretest and main analysis, SPSS18.0 and AMOS18.0 were employed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employed as analysis method. Results: Result of this study shows as follows. Two factors (precision and reciprocal action) have an effect on user satisfaction, initial trust, reuse intention and prosumer activity. We found that with an importance of initial trust, prosumer activity can be a useful and significant factor in causal relationship of SNS.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shows that two factors(precision and reciprocal action) in via of initial trust, were important factors that related companies have to emphasize to raise performance, And also we confirmed new factor 'prosumer activity' through this study. However, the present study has some limitations to be studied in the future.

노인무용 교육효과의 치유작용 메커니즘 (Healing Action Mechanism of Senior Dance's Educational Effect)

  • 유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114-121
    • /
    • 2015
  • 이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경험적 인식을 현상학적으로 접근하여 노인무용의 교육효과와 이에 따른 치유작용 메커니즘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에 참여한 사회복지사는 2014년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사회복지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에서 무용분야 수혜기관으로 선정된 노인복지기관의 사회복지사 7명이다. 연구의 자료는 1:1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사복지사들은 노인무용교육을 단순한 신체활동보다는 정서, 인지, 정신, 사회적 예술활동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노인들은 무용활동으로 인해 개인의 긍정적 정서와 인지력을 자극하여 사회적 관계 속에서 지속적으로 피드백 하고 있었다. 때문에 이와 같은 과정에서 삶의 만족감이 점점 커지게 되는 눈덩이 효과(snowball effect)가 나타났다. 따라서 복지기관에서 이루어지는 노인무용 교육은 개인과 공동체간 끊임없는 상호작용 속에서 삶의 질을 점차적으로 증폭시킬 수 있는 치유적 예술활동이라 할 수 있다.

댄스스포츠 활성화를 위한 동호인의 참여 동기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of Dance Sports Activation in Dance Sports Club Members)

  • 박종임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97-107
    • /
    • 2020
  • 본 연구는 2019년 3월부터 2019년 4월까지 2개월 동안 진행되었으며, G 광역시의 댄스스포츠 동호인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조사대상은 편의표본추출법을 사용하였으며, 자기평가기입법으로 응답자에게 직접 작성토록 하였고, 댄스스포츠 통호인들을 대상으로 총 300부를 최종적으로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Ver. 23.0 버전의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전산처리하였다. 설문지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Cronbach' α 방법을 실시하였고, 각 변인간의 상관성과 공선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각 변인간의 인과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다증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참여 동기(인지 지향, 건강지향, 기술지향, 시설지향)는 재미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참여 동기(건강지향, 기술지향, 시설지향)는 운동중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재미요인은 운동중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종합해 보면, 참여 동기가 재미요인과 운동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원인은 댄스스포츠 동호인들의 심리적으로 긍정적인 참여 동기가 운동에 대한 재미와 운동 중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율동적 동작 훈련이 젊은 여성의 Wellness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f Dance Movement Training on the Wellness of young Women)

  • 최명애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538-548
    • /
    • 1995
  • Exercises are achievement oriented, the process is frequently perceived as hard and difficult Participants drop out from exercise programs in the middle of the training period. Dance movement, which is the deliberate and systematic use of movement, is enjoyable during the movement and provides opportunities for persons to express them-selves. Regular long term dance movement may in-duce a training effect with a decreased drop out rate. Dance movement could be one way to attain wellness, however, there have been few studies to evaluate both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aspects of dance movement. This study focused on evaluating the effects of dance movement training on body weight, resting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limb circumference and strength, stress response and subjective feelings. This quasi-experimental study was designed 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 test -post test study. Ten healthy fe-male subjects, aged between 19 and 31 years volunteered for an eight week dance movement program. Ten healthy female subjects, between 19 and 21 years of age paticipated as controls. None of the subjects had performed regular physical activity for six months prior to the study. Dance movement was created with reference to Heber's movement guide. The Dance movement program consisted of approximately 30 minutes of dance, three days per week, for eight weeks. During each 30 minute work out, there were approximately 5 minutes of warm-up dancing, 20 minutes of conditioning dance and 5 minutes of cool-down dancing. The intensity for the conditioning phase was at between 60% and 65% of age-adjusted maximum heart rates. Body weight, resting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circumference of mid upper arm, mid thigh and mid calf, muscle strength of upper and lower limb, physical and psychological response to stress were measured prior to, and following the experimental treatment. Body weight was measured by digital weight scale(Kyung In Corp., Korea). Resting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were measured by sphygmomanometer, Resting heart rate was measured for one minute in a relaxed sitting position using the radial artery. Circumference of mid upper arm, mid thigh and mid calf was determined by tape measure. Muscle strength of the upper extremities was measured by a grip dynamometer (Takei Corp. No.1857, Japan) and that of the extremities was measured by the length of time the leg could be held at 45° Physical and psychological responses to stress were measured using the Symptoms of Stress (SOS)Scale. Paticipants in the dance movement were interviewed by the facilitator following the eight weeks, and their thematic responses about the dance movement were recorded. Following the eight week dance movement train-ing, body weight decreased significantly, circumference of mid thigh and mid calf increased. The length of time leg - raising could be held tended to increase following the dance movement training. Resting systolic and resting heart rate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Total mean score of stress response tended to de-crease, and mean score of habitual patterns, do-pression, anxiety / fear, anger and cognitive disorganization decreased remarkably following the eight week dance movement. Thematic responses about the dance movement were positive following the training.

  • PDF

지역아동센터의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효과 연구 -전통춤 프로그램 중심으로- (A Study on Effect of the Children Culture Art Education Program Activity in Local Child Care Center -Focusing on Traditional dance program-)

  • 배나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115-123
    • /
    • 2017
  •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에서 운영하는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중 전통춤 프로그램을 살펴보고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들을 위한 차별화된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충남지역 A지역아동센터를 대상으로 2016년 3월부터 2016년 6월까지 일주일에 1회 50분 수업으로 16회를 운영하였으며 프로그램명은 "즐거운 전통춤 배우기"였다. 프로그램 종료 후, A지역아동센터에서 프로그램에 참여한 25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참여 후 좋은점과 아쉬웠던 점에 대해서 질문하였고 지금까지 수업에 대한 의견을 자유롭게 표현하도록 하였다. 연구방법은 현상학적 방법을 사용하였다. 개방적이고 구조화된 질문을 사용하였으며, 연구 목적에 맞추어 질문 목록들을 사전에 준비하여 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는 대체로 긍정적이였다. 아동들은 전통춤프로그램을 통한 문화예술교육활동을 체험함으로 해서 자연스럽게 예의범절 교육을 익혔으며, 대화법도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전통춤 프로그램에 부정적 태도를 보였던 아동들이 차츰 긍정적으로 활동에 참여했다. 둘째, 전통춤을 강의하는 강사에 대한 평가를 살펴보았다. 성실하고 책임감있게 강의를 준비하여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프로그램에 대한 아동들의 반응은 긍정적이었다. 전통춤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강사는 수업을 미리 준비하고, 아동을 맞이하며 수업시간을 성실하게 운영하였다. 전통춤을 강의하는 강사들은 무용 전문가, 무용 전공자로 구성되어 아동들을 가르치는데 깊이가 있었다. 풍부한 강의 경험으로 수업시간에 아동들을 다루는데 능숙하였으며, 설명도 아동의 눈높이에 맞게 설명하여 쉽게 이해되는 전통춤 수업을 진행 하였다.

여성노인들의 라인댄스 활동이 정적 직립 균형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e Silver Line Dance Effects on the Elderly Balance During Static Standing)

  • 최윤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120-130
    • /
    • 2014
  • 이 연구는 여성 노인들에게 15주간 라인 댄스 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하게 한 후 자세 제어와 반응 메커니즘을 관찰할 목적으로 균형성 요인을 분석해 낙상 예방을 위한 운동 중재 효과를 규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65세 이상 16명이 선정되었다. 균형성 판단 요인은 정적 직립 상태에서 압력 판에서 25초 서있는 동안 압력 판의 6가지(3방향 힘, 3방향 모멘트) 자료를 수집해 이를 바탕으로 좌우 및 전후 압력중심 변동폭, 이들의 압력 중심 속도, 흔들림 면적을 분석했다. 분석한 결과 라인 댄스 활동 후 전후 압력 중심의 변화 범위(p<.01)와 압력 중심의 평균 속도(p<.05)는 크게 감소를 보였다. 또한 흔들림 면적은 라인댄스 후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01). 좌우 방향의 압력중심 범위와 속도는 큰 감소를 보이지 않았다. 앞으로 이와 유사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할 때는 운동 중재 효과를 실제 낙상과 관련해 연구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균형성 판단 요인을 신체계뿐만 아니라 전정계, 감각계 등을 관찰하는 연구가 필요하리라 본다.

무용수업 참여정도가 사회성발달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Dance Classes on Social Skill Development and Peer Relationship)

  • 이상행;공희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9호
    • /
    • pp.423-431
    • /
    • 2020
  • 본 연구는 무용수업 참여 정도가 사회성발달과 또래 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왔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사회성발달과 또래 관계의 차이에서는 성별에서 또래 관계의 하위요인 경쟁심은 남학생이 높게 나타났으며, 학년에 따른 또래 관계의 하위요인 중 자신감은 2학년 학생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의 무용수업 참여 정도에 따라 사회성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무용수업 참여기간은 사회성 하위요인 자율성, 성취성, 협동성에 유의한 영향을 주며 참여빈도는 책임성, 활동성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무용수업 참여 기간이 증가할수록 사회성발달에 발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중학생의 무용수업 참여 정도가 또래 관계에 미치는 영향성을 살펴본 결과 무용수업 참여 기간이 높을수록 또래 관계 하위요인들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참여 기간이 증가할수록 적대감이 감소한 결과가 나타났다. 즉 참여 시간, 참여빈도, 참여 기간 모두 증가할수록 또래 관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중년기여성의 문화복지로서 한국무용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Study of an Effect of Korean Dance for Middle-Aged Womens as a Culturel Welfare)

  • 배나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186-192
    • /
    • 2016
  • 중년기여성의 문화복지로서 한국무용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질적인 접근(qualitative approach)하였고, 자료 수집기간은 2016년 2월 10일에서 2016월 4월 1일까지였으며, 자료수집방법은 심층면담을 주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문화복지로서 한국무용에 참여하는 중년기 여성은 첫째, 정서적 영역 측면에서 자아성취와 사회소속감을 느꼈고, 중년기 우울증을 해소하여 심리적 안정에 많은 효과를 보았음을 알수 있었다. 또한 자율성과 생산성이 떨어진 연구대상자들은 한국무용 참여를 통한 자존감 회복에 큰 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운동영역으로서의 한국무용은 한국전통음악과 함께 동작을 표현함으로써 대근육과 소근육을 강화를 하여 평소 쓰지 않던 근육을 활용했다. 중년여성들은 평소 앓고 있었던 신체증상이 완화됨을 경험하였고, 이는 운동반경을 넓힘에 따라 전반적 운동기능이 향상되었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인지적 영역 측면에서 한국무용 중 친숙하고 익숙한 한국음악의 멜로디가 기억과 회고의 기회를 주며 중년기 여성의 어머니, 할머니가 좋아했던 음악을 들으면서 편안한 시절의 회상력을 증진시킬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영역에서 한국무용은 음악과 동작을 통해 대상자 스스로를 수용하여 주고, 관계 속에서 느낀 고립과 갈등을 극복할 수 있는 매개체의 역할을 수행한다고 하였다. 또한 사회공동체의 일원으로 익힌 한국무용을 지역사회에 환원함으로 해서 지역사회와의 연계로 인한 자아실현도 하게 되었다.

Kinect Sensor- based LMA Motion Recognition Model Development

  • Hong, Sung He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9권3호
    • /
    • pp.367-372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at the movement expression activity of intellectually disabled people is effective in the learning process of LMA motion recognition based on Kinect sensor. We performed an ICT motion recognition games for intellectually disabled based on movement learning of LMA.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vement through Laban's LMA include the change of time in which movement occurs through the human body that recognizes space and the tension or relaxation of emotion expressio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motion recognition model will be described, and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proposed motion recognition model is verified through a simple experiment.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24 movement expression activities conducted through 10 learning sessions of 5 participants showed a concordance rate of 53.4% or more of the total average. Learning motion games that appear in response to changes in motion had a good effect on positive learning emotions. As a result of study, learning motion games that appear in response to changes in motion had a good effect on positive learning emo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