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Weight Change and Exercise Immersion for Activation of Aerobic Dance

에어로빅댄스 활성화를 위한 체중변화와 운동몰입에 관한 연구

  • Lee, Seung-Do (Department of Social Physical Education Hanlyo University) ;
  • Kim, Kyoung-Hyun (Department of Social Physical Education Hanlyo University)
  • 이승도 (한려대학교 사회체육학과) ;
  • 김경현 (한려대학교 사회체육학과)
  • Received : 2020.06.23
  • Accepted : 2020.07.27
  • Published : 2020.07.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A Study on the Weight Change and Exercise Immersion for Activation of Aerobic Dance and to suggest the continuous activation of Aerobic Dance. To achieve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using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which is one of non-probability sampling, in April 2020, targeting general aerobic dance members in Gyeongn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partially different. The age was 40 to 49 years, height was more than 160cm, occupation was housewives, weight change was more than -3kg, participation intensity was more than 100 minutes, participation frequency was 4 days, and participation period was less than 5 years. Seco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Weight Change(Body Confidence, Activity Confidence, Dance Confidence, Psychological Stability Effect, Dance Activity Effect, Perform-motion Effect) and Exercise Immersion(Behavior immersion, Cognitive immersion) were partially high There was a difference. Thir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Weight Change(Body Confidence, Activity Confidence, Dance Confidence, Psychological Stability Effect, Dance Activity Effect, Perform-motion Effect) and Exercise Immersion(Behavior immersion, Cognitive immersion) were partially high It was shown that the influence was.

본 연구의 목적은 에어로빅댄스 활성화를 위한 체중변화와 운동몰입에 관한 연구를 차이 분석하여 지속적으로 에어로빅댄스 활성화가 되도록 제시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20년 4월에 경남에 소재한 일반 에어로빅댄스 회원들을 대상으로 선정하고 비확률표집방법(Non-Probability Sampling)의 하나인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으로 표본 추출을 이용한 설문지로 시행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부분적으로 차이가 높게 나타났다. 연령은 40~49세, 신장은 160cm이상, 직업은 주부, 체중변화는 시작 후, 체중변화량은 -3kg 이상, 참여강도는 100분이상, 참여빈도는 4일, 참여기간은 5년이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체중변화(신체자신감, 활동자신감, 댄스자신감, 심리안정효과, 댄스활동효과, 수행동작효과)와 운동몰입(행위몰입, 인지몰입)에 부분적으로 높은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체중변화(신체자신감, 활동자신감, 댄스자신감, 심리안정효과, 댄스활동효과, 수행동작효과)와 운동몰입(행위몰입, 인지몰입)에 부분적으로 높은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동훈(2010). 여성의 미적 신체활동참여와 몰입이 신체적 자기개념과 외모관리 행동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권지혜(2005). 무용전공 여고생들의 체중관리 및 비만스트레스 무용전공 여고생들의 체중관리 및 비만스트레스.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리나, 임수원(2009). 라틴댄스동호인의 몸관리와 푸코의 몸 담론. 한국체육학회지, 48(6): 125-137.
  4. 김명숙(2003). 중년기 복부비만 여성의 특성과 비만관리 실시 효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성용, 백승헌(2012). 야구동호인의 야구용품 브랜드이미지와 선택속성이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l(49): 271-283.
  6. 김성희(2005). 고등학생의 외모만족도와 대인관계, 자기주장성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분석.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예슬(2019). 노인 댄스스포츠 참여자의 자아존중감과 회복탄력성 및 운동몰입 간의 관계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윤희(2013). 댄스 프로그램 참가유형이 노인들의 자기효능감과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은실(2001). 여성의 몸, 몸의 문화정치학. 서울: 또 하나의 문화, ISBN 898563546803330, 1-359
  10. 김태동, 김상태(2017). 선행학습을 적용한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청소년의 자기결정성 동기와 운동몰입및 운동지속의도의 관계. 한국엔터테인먼트학회지, 11(1): 111-122.
  11. 김혜련(2013). 우리나라 식이섭취와 관련된 만성질환의 변화와 영양정책의 과제, 보건복지포럼, 198(0): 27-37.
  12. 김효정, 김미라(2010).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 신체이미지 및 체형에 대한외적요인이 다이어트 실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2(4): 66-75.
  13. 도무환(2016). 여성의 테니스동호회 참가와 스포츠몰입, 운동재미, 활동지속의 관계. 가톨릭관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박광희(2016). 신체질량지수에 의해 분류된 비만도 집단의 특성 분석: 자아존중감, 식생활 라이프스타일,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다이어트 태도와 행동을 중심으로. 한국복식학회, 66(8): 33-45.
  15. 박미란(2013). 여자 고등학생의 운동몰입과 학교 행복감의 관계에서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인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박영순(2003). 비만아동의 놀이 프로그램이 체력.운동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박지수(2017). 댄스스포츠 참여자의 운동행태에 따른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및 행복지수 연구.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박진성, 문한식(2019). 여성 피트니스 참여자의 운동열정과 운동몰입 및 운동만족과의 관계. 한국엔터테인먼트학회지, 13(7): 347-360.
  19. 배효석(2008). 주부의 아쿠아로빅 운동 참여가 심리적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봉성용(2010). 농구 동호회 참여자의 재미요인과 참여정도가 스포츠 몰입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1. 송영순(2012). 중년 및 노년 여성참여자의 라인댄스에 대한 열정이 심리적 행복감 및 운동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엄유라(2017). 라인댄스 참여 중.노년 여성의 스트레스 해소와 자아존중감이 정서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이정래(1992). 스포츠사회학 :미적표현을 요구하는 여자 운동선수들의 긍정적 일탈에 대한 질적분석: 섭식장애를 중심으로. 한국체육학회지, 42(1): 51.-62.
  24. 이호성, 소영호(2005) 대학생들의 신체적 자기가치 인식이 다이어트 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0(25): 715-727.
  25. 이희선(2013). 성인여성의 비만관리 실태 및 다이어트댄스 프로그램의 만족도 조사.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장상우, 김동아(2012). 여성에어로빅스 운동 참가자의 자존감, 신체적 자기지각과 운동지속의도와의 관계. 한국엔터테인먼트학회지, 6(3): 111-117.
  27. 장유경(2015). 댄스스포츠 선수들의 운동스트레스가 운동몰입 및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정근백, 임동규, 이영주, 이석기, 윤승욱(1995). 인천시내 중. 고등학생들의 다이어트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분석. 가정의학회지, 16(4): 254-260
  29. 정동혁, 김병주(2011). 대학부 태권도 선수들의 성취목표지향성이 운동몰입과 경기력결정 심리요인에 미치는 영향. 대한무도학회지, 13(3): 59-68.
  30. 조홍근, 주현경(2008). 창작무용활동 중심 인구통계학적 특성학생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 개발연구. 추계학술대회 Symposium II. 대한비만학회, 49-56.
  31. 최보람(2010). 중년여성의 에어로빅댄스 운동몰입이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최완욱(2012). 골프 지도자의 지도유형에 따른 성취목표지향성이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체육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최원석(2017). 건강검진 수검률 증가, 비만대사증후군 비율도. (2017년 11월 21일). 의협 신문. 2018년 4월 26일 인출, http://www.doctorsnews.co.kr/news/articleView.html? idxno=119969&sc_word=건강검진 수검률 증가, 비만대사증후군 비율도.
  34. 최정아(2007). 에어로빅댄스가 여성의 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Csikszentmihalyi, M.(1975). Beyond boredom and anxiety. san Francisco CA: Jossey-bass.
  36. Csikszentmihalyi, M.(1997). The masterminds series. Finding flow: The psychology of engagement with everyday life. New York: Basic Books.
  37. Flanagan, J. C.(1978). A research approach to improving our quality of life. Americans Psychology, 22, 137-147.
  38. Kraemer, W. J., Ratamess, N., Fry, A. C., Triplett-McBride, T., Koziris, L. P., Bauer, J. A., Lynch, J. M., & Fleck, S. J.(2000). Influence of resistance training volume and performance adaptations in collegical and performance adaptations in collegiate women tennis players. The Americ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28(5): 626-633. https://doi.org/10.1177/03635465000280050201
  39. Leither, M. J., & Leither, S. F.(1996). Leisure in later life. Binghamton, New York: Haworth Press.
  40.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2006). 2005 Nutrition Health Statistics.
  41. Scanlan, T. K., Carpenter, P. J., Schmidt, G. W., Simons, J. P., & Keeler, B.(1993). An introduction to the Sport Commitment Model. Journal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15(1): 1-15. https://doi.org/10.1123/jsep.15.1.1
  42. Shilling, C.(2003). The Body of Social Theory. London: Sage Books, 1-229.
  43. onstroem. R. J.(1984). Exercise and Self-Esteem. In R. J. Terjung(Ed), Exercise and Sport Science Review, 12, 123-155.
  44. Stavrou, N. A., Jackson, S. A., Zervas, Y., & Karteroliotis, K.(2007). Flow experience and athletes' performance with reference to the orthogonal model of flow. Sport Psychologist, 21(4): 438-457. https://doi.org/10.1123/tsp.21.4.4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