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RT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5초

수요응답형교통(DRT)의 활성화를 위한 중요도-실행도 분석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for Improving Demand Response Transport(DRT) System)

  • 장태연;김준성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46-58
    • /
    • 2018
  • 농어촌지역에서 수요응답형교통(demand response transport, DRT)이 정착하기 위해서는 수요부족의 문제가 있는 농어촌버스보다 긍정적 측면이 많아야 된다. 연구는 기존 농어촌버스와 DRT가 혼용 운행되고 있는 지역에서 DRT의 중요도와 실행도(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IPA)를 분석하고, 농어촌버스 만족도와의 관계성 분석하기 위해 IPA의 불일치 이론을 적용한다. IPA 결과로 가장 시급한 개선항목은 DRT 운행범위이며 환승위치, 환승시간, 환승거리, 정시도착, 안전운전, 운행시간, 차량수가 개선항목이다. 불일치이론 결과 농어촌버스와 비교하여 DRT 활성화를 위해서는 실행도보다 중요도가 큰 경우, 환승 편리성, 운행 시간 및 범위, 운행차량에 대해 실행도를 높인다. 실행도보다 중요도가 작은 경우 차량청결도, 안전운전, 운영자 친절, 환승요소, 운행요소, 요금은 지속적인 실행도가 유지되도록 한다.

수요응답형교통체계 이용요금 가치 추정 연구 (A Study on Fare Estimation for Demand Responsive Transport)

  • 김원철;남궁문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103-111
    • /
    • 2015
  • 본 연구는 농촌지역 벽지노선의 공차운행 문제점과 대중교통서비스 사각지역 주민의 이동권을 확보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수요응답형교통체계(DRT) 도입운영을 검토할 때, 이용자 관점에서 어느 정도의 요금수준이 적정할지를 산정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DRT 도입에 대한 선호도를 가상선호의식조사(Stated Preference, SP)를 통해 조사한 후 조건부 가치측정법(Contingent Valuation Method)을 적용하여 DRT의 편익에 대한 이용요금의 지불의사액을 산정한다. 분석결과, 경제력이 낮은 농어촌지역의 사회적 약자가 평가하는 DRT의 가치는 1,000원의 이용요금을 받는 노선버스 서비스 보다 개선되는 접근성의 가치 38.85%, 원하는 시간대에 이용할 수 있는 편리성의 가치 31.03%, 버스를 기다리지 않고 이용할 수 있는 편의성의 가치 30.12%가 높은 약 1,638.73원 정도의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DRT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수 있는 DRT 요금수준 결정을 위한 의사결정의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지방자치단체의 대중교통 소외지역 수요응답형 교통수단(DRT) 제도 도입에 따른 모형 및 기여도 분석 (Analysis of Models and Contributions of Demand Responsive Transit(DRT) for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 Weak Areas)

  • 지민경;김응철
    • 도시과학
    • /
    • 제7권2호
    • /
    • pp.1-9
    • /
    • 2018
  • In this study, Analysis of DRT model and contribustion based on the case of local governments adopting the Demand Responsive Transit(DRT) in order to provide transportation in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 weak area. Based on the case of Yeoju Area, the contribution of the DRT was analyzed. The DRT model was established as a fixed and call type model with taxi and bus transport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happy taxi service in Yeoju Area in 2016, the contribution of DRT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happy taxi performance of Yeoju city, it was introduced to 27 villages, and operated 4,188 times. And 9,111 people used it and Yeoju Area supported about 53 million Won. The contribution of local governments was analyzed in terms of local government, users, and social aspects. On local government aspects, we analyzed the budget cuts and complaints resolution. On the user aspects, we analyzed waiting time reduction, walking time reduction, travel time reduction, comfort, punctuality, and stability. On social aspects, we analyzed taxi and regional economy activation, and convenience of mobility.

자율주행 DRT(수요응답형 교통) UX 디자인 특성 연구: 고령자를 중심으로 (Study of Autonomous DRT(Demand Responsive Transit) UX Design Feature: Focusing on the Elderly)

  • 최규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705-712
    • /
    • 2021
  • 본 연구는 2027년 적용 가능한 레벨5의 자율주행차량을 기반으로 자율주행 DRT UX 디자인 특성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범위로는 고령자와 차량 내외의 인터랙션을 중심으로 한 시스템으로 하였으며, 레벨5의 자율주행차량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적용 대상으로는 2021년을 기준으로 60대부터 90대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고령자와의 직접적인 소통을 통한 실제적인 인사이트를 도출한 자율주행 DRT UX 디자인 특성 연구라는데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이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연구를 통해 자율주행차량과 DRT를 이론적으로 고찰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자율주행차량과 DRT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사례연구로는 고령자 인터뷰, 자율주행차량 시승, 영상제작, 설문조사, 고령자 자율주행차량 VR 시승을 통한 일반화로 진행하였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를 통해 자율주행 DRT UX 디자인 특성 10가지를 도출하였으며, 도출된 특성은 예약, 승차, 입력, 주행, 응급, 하차 등으로 구분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고령자의 이동성 향상에 이바지하고 자율주행 DRT의 실용화를 한층 앞당기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경남형 DRT 브라보택시 도입 이후 이용자 의식변화 기초연구 (Preliminary Research on Changes in User Awareness Since Operation of Bravo-Taxi as Gyeongsangnam-do DRT)

  • 송기욱;박기준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2권1호
    • /
    • pp.57-65
    • /
    • 2022
  • 경상남도에서는 경남 내 대중교통 서비스 소외지역 주민의 이동권을 보장하기 위해 2017년부터 택시차량을 활용한 경남형 DRT인 브라보택시를 운영 중이다. 본 연구는 2017년 브라보택시를 운행하기 시작한 경상남도의 대중교통 소외지역을 대상으로, 브라보택시 운행 이후 이용자의 의식변화를 2년에 걸쳐 조사·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대중교통 소외지역 주민의 이동성 제고, 이동시 소요시간 감소, 기존 버스대비 브라보택시 선호도 증가 등 택시형 DRT의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하였다. 반면, 현재 브라보택시 제도의 문제점도 파악할 수 있었다. 일부 지역에서는 브라보택시의 이용쿠폰이 충분하지 않거나, 고정된 시간에 운행하는 브라보택시의 경우 이용자가 원하는 시간대와 운행시간대가 맞지 않아 만족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타 지자체에서 운행 중인 택시형 DRT의 서비스 지속성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분위회귀분석에 의한 수요응답형교통 이용자 만족도 분석 (A Study on the User Satisfaction of Demand Response Transport(DRT) by Quantile Regression Analysis)

  • 장태연;한우진;김정호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118-128
    • /
    • 2016
  • 농촌지역의 인구감소와 고령화로 인해 이용자가 감소함에 따라 서비스수준이 매우 낮아지고 있는 시내버스의 대체수단으로서 수요응답형교통(DRT)의 이용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분위회귀모형을 통해 분석한다. 분위회귀분석은 DRT 이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평가요소를 종속변수의 수준별로 독립변수의 영향력이 다르게 나타날 때 유익한 분석방법이다. 2015년 전라북도는 전국에서 최초로 버스형 DRT를 완주군 동상면과 정읍시 산내면에 차량 1대씩 시범운영하였다. 기초통계분석 결과 완주군의 DRT 만족도가 정읍시보다 높게 나왔으며, 분위회귀분석결과에서도 완주군 이용자의 하위분위와 상위분위간 만족도 편차가 크지 않으며 통상최소자승법(Ordinary Least Squares : OLS)의 값도 상위 분위수에 근접한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어 지속사업으로 진행되는 환경임을 알 수 있었다.

임해매립지 조경수목의 생리적 특성과 식재수목의 고사율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eath Rate of Planted Trees in Reclaimed Seaside Areas)

  • 박현수;이상석;이상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94-101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Death Rate of Trees (DRT) and th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rees(PCT) in POSCO Gwangyang works, which is a reclaimed area. To analyze the DRT, 15 species of deciduous trees were selected, for example Ulmus davidiana var., Zelkova serrata, Melia azedarach var. etc. Though there were numerous factors to affect the growing of trees, 5 PCT were considered to be main factors, soil salt tolerance, wind salt tolerance, water needs, transplanting difficulty, and nutrient needs. According to two kinds of soil-base: mound and pot area, we tested the relationship between 5 PCT and DRT by use of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DRT of Acer palmatum, Cornus kousa, Magnolia kobus, Liriodendron tulipifera, and Albizzia julibrissin were high by more than 20%. On the other hand, Chionanthus retusa,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Celtis sinensis, and Lagerstroemia indica were low by less than 10% in the DRT and are considered to be species suitable for planting in reclaimed areas. 2. The DRT of trees in pot areas was meaningfully higher than in mound areas; for this reason the mound technique is desirable as a soil-base for planting in reclaimed areas. 3. In the pot area, the independent variables, in the order of soil salt tolerance, wind salt tolerance, transplanting difficulty, had an effect on the DRT more significantly than in mount area. On the other hand, wind salt tolerance and soil salt tolerance affected the DRT in mount areas. This means that soil salt tolerance, wind salt tolerance, and transplanting difficulty have to be considered as significant factors to the DRT. Although the researchers tried to interpret how the PCT affected the DRT in order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in reclaimed areas, it was neglected at an experimental level. Therefore, future research should work on this aspect in detail.

농어촌지역 수요응답형교통(DRT)의 운행비용 특성분석 (A Study on Analysis of Operating Cost Properties to Demand Responsive Transport System in Rural Areas)

  • 전상민;정성봉;김시곤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6D호
    • /
    • pp.571-577
    • /
    • 2012
  • 최근 농어촌지역의 교통약자에 대한 대중교통서비스 개선 등이 사회적 관심을 받고 있고, 기존 고비용 저효율인 버스운영 시스템의 개선을 통하여 이용자 맞춤형서비스로의 전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부 및 지자체에서는 기존 농어촌버스의 노선운행시스템 대안으로 수요대응형교통(Demad Responsive Transport)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DRT는 교통소외지역의 이용자편의를 증진시키는 것을 큰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지금까지 도입에 따른 비용분석에 관한 연구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농어촌지역에 DRT를 도입하였을 경우 차량운행대수 및 운행비용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비용측면에서의 도입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농어촌버스의 대당 운행노선수의 과다와 노선혼재의 특성으로 DRT가 도입되더라도 기존 차량대수의 감축효과가 미미하기 때문에, 기존 노선운행시스템에 비해 추가차량 소요가 발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추가차량 소요는 운행비용 증가를 가져오게 되어, 도입 전과 비교하여 약 5~12%의 운행비용 증가가 발생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향후 농어촌지역에 DRT 도입을 위해서는 교통소외 지역주민의 교통편의증진을 목적으로 할 것인지, 기존 노선운행시스템의 비용비효율 해소를 목적으로 할 것인지에 대한 면밀한 검토와 방향설정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Large Scale Production of Nanoparticles by Laser Pyrolysis

  • Tenegal, Francois;Guizard, Benoit;Reau, Adrien;Ye, Chang;Boulanger, Loic;Giraud, Sophie;Canel, Jerome
    • 한국분말야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분말야금학회 2006년도 Extended Abstracts of 2006 POWDER METALLURGY World Congress Part 1
    • /
    • pp.150-151
    • /
    • 2006
  • Laser pyrolysis is a very suitable method for the synthesis of a wide range of nanoparticles. A pilot unit based on this process has been recently developed at CEA. This paper reports results showing the possibility to produce SiC and $TiO_2$ nanoparticles at rates of respectively 1 and 0.2 kg/h and also the possibility to adjust the mean grain size of the particles and their structure by changing the laser intensity and reactants flow rates. First tests of liquid recovery have been also successfully performed to limit the risks of nanoparticles dissemination in the environement during their recovery.

  • PDF

고령화사회의 DRT(Demand Responsive Transit)시스템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 김해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DRT System Introduction for Aging Society : A Case Study on Kimhae City)

  • 오윤표;김재열
    • 농촌계획
    • /
    • 제14권3호
    • /
    • pp.27-36
    • /
    • 2008
  • Rapid increase of aging population and progressed migration from rural areas to urban areas have caused deficit of bus routes in local cities. This increasing burden of operation deficit affects the movement strategy of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who are using buses. Along with dramatically increased aging in Korea, there is an urgent need to implement a new method which can guarantee mobility rights of public transportation especially for the elderly. This study focuses on the case of Demand Responsive Transit(DRT) system that has been operating in America, Europe, Japan, etc. Kimhae(Sangdong-myeon and Saengnim-myeon) is selected as a study area.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adopting DRT system on the perspectives of the consumer and provider by the analysis of traffic condition such as the number of transportation vehicles, present bus service and regulation and conduct of questionnaire survey which includes present bus service and DRT system and so on. In conclusion, DRT system in Kimhae city will reduce transport cost, increase affordability through the betterment of service level and secure mobility rights for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