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22645/udi.2018.12.30.001

Analysis of Models and Contributions of Demand Responsive Transit(DRT) for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 Weak Areas  

Ji, Minkyung (인천광역시 연수구시설안전관리공단)
Kim, Eungcheol (인천대학교 도시과학대학 건설환경공학부)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Urban Science / v.7, no.2, 2018 , pp. 1-9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In this study, Analysis of DRT model and contribustion based on the case of local governments adopting the Demand Responsive Transit(DRT) in order to provide transportation in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 weak area. Based on the case of Yeoju Area, the contribution of the DRT was analyzed. The DRT model was established as a fixed and call type model with taxi and bus transport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happy taxi service in Yeoju Area in 2016, the contribution of DRT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happy taxi performance of Yeoju city, it was introduced to 27 villages, and operated 4,188 times. And 9,111 people used it and Yeoju Area supported about 53 million Won. The contribution of local governments was analyzed in terms of local government, users, and social aspects. On local government aspects, we analyzed the budget cuts and complaints resolution. On the user aspects, we analyzed waiting time reduction, walking time reduction, travel time reduction, comfort, punctuality, and stability. On social aspects, we analyzed taxi and regional economy activation, and convenience of mobility.
Keywords
Demand Response Transit; Happiness Taxi; Public Transportion; Contribution; DRT Model;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대구광역시 (2015), 대구광역시 수요응답형 대중교통체계(DRT) 도입 연구, pp.39-129
2 박상우.장수은.김혜자 (2008), 수요대응형 교통체계 평가모형 구축 - 복지교통서비스 평가지표 개발 및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교통연구원, pp.10-116
3 원광희 (2016), 충북농촌형 DRT 운영사례와 개선방안 연구, 충북연구원, pp.7-80
4 원광희 (2016), 농어촌지역 효율적인 교통서비스 공급방안, 버스교통 제52권, 제4호, pp.31-44
5 윤동현 (2015), 수요응답형 여객자동차운송사업 활성화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pp.5-59
6 장태연.한우진.김정호 (2016), 분위회귀분석에 의한 수요응답형 교통이용자 만족도 분석, 한국ITS학회논문지, 제15권, pp.119-128
7 장태연.유창남.김학모 (2011), 전라북도 수요응답형 교통체계 도입방안, 교통기술과 정책 제8권, 제6호, pp.25-36
8 전라북도 (2016), 수요응답형 대중교통(DRT) 업무 편람, pp.7-12
9 전상민.조규석.박원일 (2012), 농어촌지역 수요응답형교통(DRT) 도입타당성 검토 연구, 한국운수산업연구원, pp.5-95
10 전상민 (2015), 농어촌지역의 안정적.지속적 대중교통서비스 공급전략, 버스교통 제47권, 제3호, pp.35-39
11 정토진 (2016), 수요응답형교통체계 도입효과에 관한 연구 -전라북도 사례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pp.17-51
12 정헌영 (1998), 횡단시설에서 고령자의 거동분석, 대한교통학회 제34회 학술발표회, pp.301-310
13 지민경 (2015), 농어촌지역 대중교통체계(지.간선체계) 전면개편 : 여주시 노선개편 사례를 중심으로, 교통기술과 정책 제12권, 제4호, pp.13-18
14 충청남도 (2014), 수요응답형 대중교통체계(DRT) 도입 연구, pp.3-298
15 한국교통연구원 (2011), 농어촌 수요응답형 교통체계 시범사업 방안, pp.29-153
16 한종학 (2015), 교통취약지역 수요응답형 교통체계 운영전략 및 추진방안, 인천발전연구원, pp.98-156
17 김원철.유준일 (2014), 수요응답형 교통체계(DRT)의 이해와 도입방안, 충남리포트, 제183호, pp.1-12
18 국토교통부 (2015), 수요응답형교통(DRT)시스템 구축 및 운영방안 마련 연구, pp.26-102
19 국토교통부 (2012), 농촌지역, 전화 한 통으로 버스를 내 집앞까지.. - 수요응답형 여객운송사업(DRT) 신설.도입, 보도자료, pp.1
20 기명성.이영성.김민재 (2016), 수요대응형 교통수단 서비스의 지불용의액 추정에 관한 연구, 농촌경제 제39권, 제3호, pp.123-142
21 김재열 (2008), 고령화 사회의 DRT(Demand Responsive Transit) 시스템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pp.1-89
22 김재열 (2014), 일본의 새로운 수요응답형 교통수단 : 온디맨드교통시스템. 월간교통 제199권, pp.77-87
23 노승만 (2013), 농산촌지역 수요응답형 여객운송사업(DRT) 도입 방안, 강원발전연구원, pp. 21-54
24 노승만 (2012), 수요응답형 대중교통과 강원도, 강원발전연구원, pp.1-9
25 농림축산식품부 (2015), 농촌형 교통모델 발굴사업 가이드북, pp.20
26 농림축산식품부 (2015), 2014 농촌형 교통모델 발굴사업 사례집, pp.9
27 당진시 (2013), 수요응답형 교통체계 타당성 조사 용역, pp.5-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