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농어촌지역 수요응답형교통(DRT)의 운행비용 특성분석

A Study on Analysis of Operating Cost Properties to Demand Responsive Transport System in Rural Areas

  • 전상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철도전문대학원 철도경영정책학과) ;
  • 정성봉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철도전문대학원 철도경영정책학과) ;
  • 김시곤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철도전문대학원 철도경영정책학과)
  • 투고 : 2012.08.30
  • 심사 : 2012.10.11
  • 발행 : 2012.11.15

초록

최근 농어촌지역의 교통약자에 대한 대중교통서비스 개선 등이 사회적 관심을 받고 있고, 기존 고비용 저효율인 버스운영 시스템의 개선을 통하여 이용자 맞춤형서비스로의 전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부 및 지자체에서는 기존 농어촌버스의 노선운행시스템 대안으로 수요대응형교통(Demad Responsive Transport)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DRT는 교통소외지역의 이용자편의를 증진시키는 것을 큰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지금까지 도입에 따른 비용분석에 관한 연구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농어촌지역에 DRT를 도입하였을 경우 차량운행대수 및 운행비용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비용측면에서의 도입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농어촌버스의 대당 운행노선수의 과다와 노선혼재의 특성으로 DRT가 도입되더라도 기존 차량대수의 감축효과가 미미하기 때문에, 기존 노선운행시스템에 비해 추가차량 소요가 발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추가차량 소요는 운행비용 증가를 가져오게 되어, 도입 전과 비교하여 약 5~12%의 운행비용 증가가 발생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향후 농어촌지역에 DRT 도입을 위해서는 교통소외 지역주민의 교통편의증진을 목적으로 할 것인지, 기존 노선운행시스템의 비용비효율 해소를 목적으로 할 것인지에 대한 면밀한 검토와 방향설정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Recently, improving public transport service at disabled people has emerged as a social issue in rural areas. By improving expensive and inefficient existing operating system, the rural bus have to change a personalized service. Under these circumstances,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are promoting the introduction of DRT(Demand response transport). DRT system is intended to promote the user's convenience. But, until now, in-depth research on the operating costs for the introduction of DRT is not well known. This study aims to look at changes in number of vehicle and operating costs before and after introduction of DRT. The results are as follows. Even though introducing DRT, total number of vehicles increases because it does not reduce the existing number of vehicles. And this study estimated to about 5 to 12 percent of the increase in the operating cost comparing before introduction of DRT. Therefore, The introduction of DRT in rural areas is a need to set the exact purpose as promote transportation convenience or cost efficiency.

키워드

참고문헌

  1. 박상우 외(2008) 수요대응형 교통체계 평가모형 구축-복지교통서비스 평가지표 개발 및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교통연구원.
  2. 송기욱(2009) 경남의 수요감응형버스(DRT) 시스템에 관한 연구, 경남발전연구원.
  3. 송재룡 외(2004) 경기도 버스노선의 비수익성 개선방안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4. 오윤표 외(2008) 고령화사회의 DRT시스템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농촌계획, Vol. 14, No. 3.
  5. 옥천군(2011) 옥천군 농어촌버스 단일화요금에 관한 연구.
  6. 전라북도(2011) 전라북도 수요응답형 교통체계(DRT) 도입방안 연구.
  7. 조규석(2004) 대중교통과 자가용승용차의 운행비용 비교분석, 한국운수산업연구원.
  8. 주재홍 외(2008) 교통낙후지역 벽지노선 지역주민 대중교통 통행행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학술발표회 논문집, 대한교통학회, pp. 753-762.
  9. 福本雅之.吉田樹.加藤博和.秋山哲男(2005) 地域條件にじたDRTシステムの設定にす關る基礎的檢討, 第33回土木計畵學硏究發表論文集.
  10. 竹內龍介.中村文彦(2005) 運行形態別DRTシステムの導入效果の評價について, 土木計畵學硏究講演集, Vol. 31.
  11. Frank Spielberg (2004) Traveler Response to Transportation System Changes: Chapter 6-Demand Responsive/ADA,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