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D10S

Search Result 21,081, Processing Time 0.068 seconds

갈조류 개다시마 유리배우체의 재생 및 성숙 유도 (Regeneration and the Maturation Induction of Free-Living Gametophytes of a Kelp Saccharina sculpera (Phaeophyceae))

  • 유현일;이기현;김수홍;하동수;황은경
    • 환경생물
    • /
    • 제36권4호
    • /
    • pp.576-58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온도(5, 10, 15, 20, $25^{\circ}C$), 조도(10, 20, 40, 60, $80{\mu}mol\;photons\;m^{-2}\;s^{-1}$) 및 광주기(10:14, 12:12, 14:10 h L:D) 조건에서 개다시마 유리배우체 단편의 생장 및 성숙 유도조건을 파악하였다. 암배우체 단편의 생장은 $20^{\circ}C$, $20{\mu}mol\;photons\;m^{-2}\;s^{-1}$, 10:14 h (L:D) 조건에서 빠른 생장을 보인 반면 수배우체는 $15^{\circ}C$, $20{\mu}mol\;photons\;m^{-2}\;s^{-1}$, 14:10 h (L:D) 조건에서 빠른 생장을 보여 차이를 나타내었다. 암배우체의 최적 성숙조건은 $15^{\circ}C$, $40{\mu}mol\;photons\;m^{-2}\;s^{-1}$, 14:10 h (L:D) 조건에서 가장 빠른 성숙을 보인 반면 수배우체는 $10^{\circ}C$, $20{\mu}mol\;photons\;m^{-2}\;s^{-1}$, 10:14 h (L:D) 조건에서 빠른 성숙을 보여 차이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 확인된 개다시마 유리배우체 단편의 생장 및 성숙조건은 개다시마의 자원조성 및 대량양식 기반조성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제주지역 양식 넙치(Paralichthys olivaceus)로부터 분리되는 Streptococcus iniae와 Streptococcus parauberis의 생물학적 특성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Streptococcus iniae and Streptococcus parauberis isolated from cultured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n Jeju)

  • 이창훈;김필연;고창식;오덕철;강봉조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3-40
    • /
    • 2007
  • 제주지역 양식 넙치의 주요 세균성 질병의 일종인 연쇄구균증 원인균 Streptococcus iniae 및 Streptococcus parauberis에 대한 생물학적 특성을 시험하였다.온도별 성장 시험결과 S. parauberis 균주는 10℃ 배양조건에서 성장이 이루어졌으나 S. iniae 균주의 경우는 10℃에서는 성장이 확인되지 않았으며, 용혈성 시험결과에서는 S. iniae 균주의 경우에만 β용혈성을 나타내었다.생화학적특성 시험결과 acetoin production test (VP test), hippurate hydrolysis test (HIP test)에서는 S. parauberis 균주의 경우에만 양성반응을 보여 두 균주사이에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또한 α-D-glucose, D-mannose, D-psicose, D-trehalose, pyruvatic acid methyl ester, glycerol은 두 균주 모두 기질로 이용하였으나 L-lactic acid는 S. iniae 균주만이 이용하였고, β-methyl-D-glucoside의 경우는 S. parauberis 균주만이 기질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병원성 시험결과, S. iniae는 급성감염 형태를 보인 반면에 S. parauberis는 만성 감염형태를 보임으로써 차이를 나타내었다.

야생 초파리 수종의 염색체에 관한 연구 (Chromosome Studies on Several Wild Sepcies of Drosophilidae)

  • 강영선;김영진;방규환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3-18
    • /
    • 1964
  • 저자(著者)들은 경기도(京畿道) 광릉(光陵)에서 채집(採集)한 야생(野生)인 초파리 13종(種)을 aceto-lactic orcein squash 방법(方法)으로 염색체수(染色體數)와 형태(形態)를 관찰(觀察)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염색체(染色體)의 형태(形態)는 centromere의 위치(位置)를 기준(基準)으로 하여 V 형(型)(median or submedian), R 형(型)(terminal), D 형(型)(do-like)의 3종류로 분류(分類)했다. 염색체수(染色體數)는 diploid로, 핵형표시(核型表示)는 haploid로 나타냈다. 1) Leucophengo maculata의 염색체수(染色體數)는 12이고 핵형(核型)은 5V's+1D's이고 X염색체(染色體)는 V 형(型), Y도 같은 모양을 한다. 2) Scaplomyza pallida의 염색체수(染色體數)는 8이며 핵형(核型)은 2V's+1R's+1D's이고 X염색체(染色體)는 R 형(型), Y도 R형(型)이다. 3) Mycodrosophila poecilogastra의 염색체수(染色體數)는 12이며 핵형(核型)은 5R's+1D's이고 X염색체(染色體)는 R형(型), Y도 R(型)이다. 4) Mycodrosophila sp.의 염색체수(染色體數)는 8이며 핵형(核型)은 2V's+1R's+1D's이고 X염색체(染色體)는 V형(型), Y도 V형(型)이다. 5) Drosophila coracina의 염색체수(染色體數)는 8이며 핵형(核型)은 2V's+1R's+1D's이고 X염색체(染色體)는 R형(型), Y염색체(染色體)도 같은 모양을 한다. 6) Drosophila histrioides의 염색체수(染色體數)는 10이며 핵형(核型)은 1V's+3R's+1D's이고 성염색체(性染色體)는 밝히지 못하였다. 7) Drosophila malanogaster의 염색체수(染色體數)는 8이고 핵형(核型)은 2V's+1R's+1D's이고 X염색체(染色體)는 R형(型), Y는 J형(型)이다. 8) Drosophila auraria의 염색체수(染色體數)는 8이며 핵형(核型)은 2V's+1R's+1D's이고 X염색체(染色體)는 R형(型), Y도 R형(型)이다. 저자(著者)들은 경기도(京畿道) 광릉(光陵)에서 채집(採集)한 야생(野生)인 초파리 13종(種)을 aceto-lactic orcein squash 방법(方法)으로 염색체수(染色體數)와 형태(形態)를 관찰(觀察)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염색체(染色體)의 형태(形態)는 centromere의 위치(位置)를 기준(基準)으로 하여 V 형(型)(median or submedian), R 형(型)(terminal), D 형(型)(do-like)의 3종류로 분류(分類)했다. 염색체수(染色體數)는 diploid로, 核型表示(핵형표시)는 haploid로 나타 냈다. 1) Leucophengo maculata의 염색체수(染色體數)는 12이고 핵형(核型)은 5V's+1D's이고 X염색체(染色體)는 V 형(型), Y도 같은 모양을 한다. 2) Scaplomyza pallida의 염색체수(染色體數)는 8이며 핵형(核型)은 2V's+1R's+1D's이고 X염색체(染色體)는 R 형(型), Y도 R형(型)이다. 3) Mycodrosophila poecilogastra의 염색체수(染色體數)는 12이며 핵형(核型)은 5R's+1D's이고 X염색체(染色體)는 R형(型), Y도 R(型)이다. 4) Mycodrosophila sp.의 염색체수(染色體數)는 8이며 핵형(核型)은 2V's+1R's+1D's이고 X염색체(染色體)는 V형(型), Y도 V형(型)이다. 5) Drosophila coracina의 염색체수(染色體數)는 8이며 핵형(核型)은 2V's+1R's+1D's이고 X염색체(染色體)는 R형(型), Y염색체(染色體)도 같은 모양을 한다. 6) Drosophila histrioides의 염색체수(染色體數)는 10이며 핵형(核型)은 1V's+3R's+1D's이고 성염색체(性染色體)는 밝히지 못하였다. 7) Drosophila malanogaster의 염색체수(染色體數)는 8이고 핵형(核型)은 2V's+1R's+1D's이고 X염색체(染色體)는 R형(型), Y는 J형(型)이다. 8) Drosophila auraria의 염색체수(染色體數)는 8이며 핵형(核型)은 2V's+1R's+1D's이고 X염색체(染色體)는 R형(型), Y도 R형(型)이다. 9) Drosophila unispina의 염색체수(染色體數)는 12이며 핵형(核型)은 5R's+1D's이고 X염색체(染色體)는 R형(型), Y도 R형(型)이다. 10) Drosophila bizonata의 염색체수(染色體數)는 8이며 핵형(核型)은 3V's+1D's이고 X염색체(染色體)는 V형(型), Y는 보다 크기가 작은 V형(型)이다. 11) Drosophila virilis의 염색체수(染色體數)는 12이며 핵형(核型)은 5R's+1D's이고 X염색체(染色體)는 R형(型), Y도 R형(型)이다. 12) Drosophila sordidula의 염색체수(染色體數)는 10이고 핵형(核型)은 2V's+2R's+1D's이고 X염색체(染色體)는 V형(型), Y도 V형(型)이다. 13) Drosophila tenuicanda의 염색체수(染色體數)는 12이며 핵형(核型)은 1V's+4R's+1D's이고 성염색체(性染色體)는 밝히지 못하였다.

  • PDF

갈조류 다시마 유리배우체의 분리, 재생 및 성숙 유도 (Isolation, Regeneration and Maturation Induction of Free-living Gametophytes of Saccharina japonica (Phaeophyceae))

  • 황은경;유호창;김세미;백재민;박찬선
    • 환경생물
    • /
    • 제33권2호
    • /
    • pp.248-255
    • /
    • 2015
  • 본 연구는 다시마 유리배우체의 분리, 재생 및 성숙 유도 조건을 구명하기 위하여, 4개의 온도 조건 (5, 10, 15, $20^{\circ}C$), 4개의 조도조건 (5, 10, 20, $40{\mu}mol\;m^{-2}\;s^{-1}$) 및 3개의 광주기 조건 (14 : 10, 12 : 12, 10 : 14 h L : D)에서 배양을 실시하였다. 다시마 암배우체의 생장은 $15^{\circ}C$, $20{\mu}mol\;m^{-2}\;s^{-1}$, 10 : 14 h (L : D)에서 촉진되었으며, 수배우체의 생장은 $15^{\circ}C$, $5{\mu}mol\;m^{-2}\;s^{-1}$, 14 : 10 h (L : D)에서 촉진되었다. 암배우체의 성 성숙은 $5^{\circ}C$, $20{\sim}40{\mu}mol\;m^{-2}\;s^{-1}$, 10 : 14 h (L : D)에서 촉진되었으며, 수배우체의 성 성숙은 $15^{\circ}C$, $40{\mu}mol\;m^{-2}\;s^{-1}$, 10 : 14 h (L : D)에서 촉진되었다. 이러한 다시마 암수유리배우체의 재생 및 성숙 유도 조건은 다시마의 품종개발과 교잡육종을 위한 유리배우체 배양에 가장 기본적인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세리신잠(Nd-s. $Nd^H$의 발육 특성 (The Developmental Characterization of the Sericin jam(Bombyx mori), a Mutant in the Synthesis and Secretion of Fibroin)

  • 김수연;손해룡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6-9
    • /
    • 2003
  • 세리신잠의 성장발육과 실용형질 등 세리신잠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Nd-s잠과 N$d^{H}$잠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얻은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최청기간은 Nd-s잠 10일 2시간, N$d^{H}$ 잠 10일 1시간, 백옥잠은 11일 1시간이었다. 실용부화율에 있어서 Nd-s잠과 Nd.$^{H}$ 잠은 83.9%와 83.3%였고, 백옥잠은 96%였다. 전령경과일수는 Nd-s잠 20일 1시간 N$d^{H}$잠 20일 5시간, 백옥잠 22일 12시간이었다. 2. 감잠비율은 Nd-s잠 12.0%, N$d^{H}$ 잠 18.7%, 백옥잠 5.3%이었으며, 화용비율은 Nd-s잠 83.0%, N$d^{H}$ 잠 76.3%, 백옥잠 92.3%였다. 3. 단견중은 Nd-s잠 1.39 g, N$d^{H}$ 잠 1.08g, 백옥잠 2.01 g, 전견중은 Nd-s 잠 13 cg, N$d^{H}$ 잠 3 cg, 백옥잠 48 cg이였으며, 견층비율은 Nd-s 잠 9.0%, N$d^{H}$ 잠 2.8%, 백옥잠 23.9%였다. 4. 고치의 크기는 Nd-s잠 장경 30.6mm, 단경 15.8mm, N$d^{H}$ 잠 장경 24.7mm, 단경 14.9mm, 백옥잠 장경 35.8mm, 단경 20.5mm이었다.5.8mm, 단경 20.5mm이었다.

토양염농도에 따른 감자 품종들의 생장특성 (Physiological Response of Potato Variety to Soil Salinity)

  • 김선;양창휴;정재혁;최원영;이규성;김시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8권2호
    • /
    • pp.85-90
    • /
    • 2013
  • 제염중인 간척지 토양에 감자재배 가능성을 검토코자 새만금 간척지 토양을 대조구를 포함한 4수준의 염농도로 조정하여 충진한 포트에 5개의 감자 품종을 식재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1. 토양염농도에 따른 감자 입모는 4.8 dS $m^{-1}$까지 결주없이 균일하게 입모 되었다. 염농도별 감자 출현소요일수는 숙전토양 비하여 1.6 dS $m^{-1}$에서는 품종에 따라 3-4일이 지연되었고, 3.2 dS $m^{-1}$에서는 6-10일이, 4.8 dS $m^{-1}$에서는 7-13일이 지연되었다. 2. 토양염농도에 따른 경수는 숙전토양에 비해 1.6 dS $m^{-1}$에서는 품종에 따라 각각 14%-58%가 감소되었으며, 이후 토양염농도가 높아질수록 감소가 심했다. 초장은 주당 경수가 적었을 때 커지는 경향으로 염농도보다 경수의 영향을 더 크게 받았다. 3. 괴경 수량은 대조구 대비 1.6 dS $m^{-1}$일때 33.7%, 3.2 dS $m^{-1}$일때 59.5%, 4.8 dS $m^{-1}$에서는 79.3% 가 감소되었다. 4. 회귀곡선을 이용하여 수량의 감소가 시작되는 염농도를 분석한 결과 추동은 1.2 dS $m^{-1}$, 추백은 1.8 dS $m^{-1}$, 추강과 추영은 1.9 dS $m^{-1}$, 그리고 수미는 2.0 dS $m^{-1}$ 이었고, 수량의 50%가 감소되는 염농도는 추백은 2.4 dS $m^{-1}$, 추동 2.45 dS $m^{-1}$, 추강 2.81 dS $m^{-1}$, 추영 3.03 dS $m^{-1}$, 수미는 3.29 dS $m^{-1}$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간척지 재배에 적당한 감자품종은 수미로 판단된다.

갈조류 미역 유리배우체의 분리, 재생 및 성숙 유도 (Isolation, Regeneration and the Maturation Induction of Free-Living Gametophytes of Undaria pinnatifida (Phaeophyceae))

  • 유현일;김수홍;이기현;하동수;황은경
    • 환경생물
    • /
    • 제35권4호
    • /
    • pp.622-63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온도(5, 10, 15 and $20^{\circ}C$), 조도(5, 10, 20 and $40{\mu}mol\;photons\;m^{-2}\;s^{-1}$) 및 광주기(14 : 10, 12 : 12 and 10 : 14 h L : D) 조건에서 미역 배우체의 분리, 재생 및 성숙 조건을 파악하였다. 암배우체 단편은 $15^{\circ}C$, $20{\mu}mol\;photons\;m^{-2}\;s^{-1}$, 10 : 14 h (L : D) 조건에서 빠른 생장을 보인 반면 수배우체는 $15^{\circ}C$, $5{\mu}mol\;photons\;m^{-2}\;s^{-1}$, 14 : 10 h (L:D) 조건에서 빠른 생장을 보여 차이를 나타냈다. 암수배우체의 최적 성숙 조건은 각각 $5^{\circ}C$, $20{\sim}40{\mu}mol\;photons\;m^{-2}\;s^{-1}$, 10 : 14 h (L : D) 조건과 $15^{\circ}C$, $40{\mu}mol\;photons\;m^{-2}\;s^{-1}$, 10 : 14 h (L: D) 조건이었다. 본 연구 결과 확인된 미역 유리배우체의 재생과 성숙 조건은 미역의 형질개선과 교잡 육종 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다중반송파 PAPR 감소를 위한 임계치 적용 적응 부최적 PTS 기법 연구 (Multi-carriers PAPR Reduction Method using Adaptive Sub-optimal PTS with Threshold)

  • 권오주;하영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12A호
    • /
    • pp.2012-2018
    • /
    • 2001
  • 본 논문은 다중반송파로 인한 높은 최대 전력 대 평균 전력 비 감소를 위한 PTS 방식에서 시스템의 복잡도를 줄이기 위해 임계간을 활용하여 부 블록 계수를 최적화시키는 적응 부 최적 PTS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의 성능은 부 블록수가 4인 경우, $10^{-3}$에서 PAPR은 Cimini방법보다 0.4dB 향상된 8.1dB로 PTS성능과 거의 동일하였고, 평균 계산은 임계값 8dB를 적용할 경우, PTS방법에 비해 대략 22%로 감소하였으며, Cimini 방법에 비해서는 44%정도로 감소하였다. 부 블록수가 8인 경우, 10-3에서 제안방법의 PAPR은 PTS방법에 비해 0.7dB성능이 열화 되었으나, Cimini방법에 비해서는 0.4dB 성능이 향상되었다. 평균 계산은 임계값 7.5dB를 적용할 경우. PTS방법에 비해 대략 2.4%로 감소하였으며, Cimini방법에 비해서는 39%정도로 감소하였다.

  • PDF

COMBINATORIAL PROOF FOR THE POSITIVITY OF THE ORBIT POLYNOMIAL $O^{n,3}_d(q)$

  • Lee, Jae-Jin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30권3_4호
    • /
    • pp.455-462
    • /
    • 2012
  • The cyclic group $Cn={\langle}(12{\cdots}n){\rangle}$ acts on the set ($^{[n]}_k$) of all $k$-subsets of [$n$]. In this action of $C_n$ the number of orbits of size $d$, for $d|n$, is $$O^{n,k}_d=\frac{1}{d}\sum_{\frac{n}{d}|s|n}{\mu}(\frac{ds}{n})(^{n/s}_{k/s})$$. Stanton and White[7] generalized the above identity to construct the orbit polynomials $$O^{n,k}_d(q)=\frac{1}{[d]_{q^{n/d}}}\sum_{\frac{n}{d}|s|n}{\mu}(\frac{ds}{n})[^{n/s}_{k/s}]{_q}^s$$ and conjectured that $O^{n,k}_d(q)$ have non-negative coefficients. In this paper we give a combinatorial proof for the positivity of coefficients of the orbit polynomial $O^{n,3}_d(q)$.

CONSTRUCTIVE PROOF FOR THE POSITIVITY OF THE ORBIT POLYNOMIAL On,2d(q)

  • Lee, Jaejin
    • Korean Journal of Mathematics
    • /
    • 제25권3호
    • /
    • pp.349-358
    • /
    • 2017
  • The cyclic group $C_n={\langle}(12{\cdots}n){\rangle}$ acts on the set $(^{[n]}_k)$ of all k-subsets of [n]. In this action of $C_n$ the number of orbits of size d, for d | n, is $$O^{n,k}_d={\frac{1}{d}}{\sum\limits_{{\frac{n}{d}}{\mid}s{\mid}n}}{\mu}({\frac{ds}{n}})(^{n/s}_{k/s})$$. Stanton and White [6] generalized the above identity to construct the orbit polynomials $$O^{n,k}_d(q)={\frac{1}{[d]_{q^{n/d}}}}{\sum\limits_{{\frac{n}{d}}{\mid}s{\mid}n}}{\mu}({\frac{ds}{n}})[^{n/s}_{k/s}]_{q^s}$$ and conjectured that $O^{n,k}_d(q)$ have non-negative coefficients. In this paper we give a constructive proof for the positivity of coefficients of the orbit polynomial $O^{n,2}_d(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