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tural facility

검색결과 305건 처리시간 0.026초

지역커뮤니티를 위한 ICT 기반의 커뮤니티센터 디자인에 관한 연구 (Innovation of Neighborhood Community Center through ICTs Aided Intelligent Space Design Contents)

  • 안세윤;김소연;김호;번강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270-282
    • /
    • 2016
  • 커뮤니티센터란 주거지구 인근에 위치하여 지역사회의 문화 활동의 중심이 되는 각종 공공시설을 의미한다. 최근 통합적 문화 활동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커뮤니티센터가 단순 여가활동이 아닌 복지, 체육, 생활예술, 교육 등 공동체복원 및 생활편의를 증진시키는 복합적 공간으로 변모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세종시 주거지형 U-City 체험지구 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지역민의 문화 참여 접근성을 제고한다. 특히 체험위주의 공간을 제공함으로서 사회적 통합을 유도하여 궁극적으로 U-City가 만드는 소통과 체감의 도시공간으로 회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공동체 회복 기능의 커뮤니티센터를 집중 연구함으로서 주거지형 U-City 서비스 계획에 적용할 수 있는 실질적 대안을 마련할 수 있다. 이는 기존의 관람형, 강좌형의 일 방향 커뮤니티센터가 아닌 지역주민이 직접 체험하고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쌍방향 운영의 커뮤니티센터의 발전방향을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농촌의 문화여가자원 평가를 위한 척도 개발 연구 (A Study on Evaluation of Culture and Leisure Resources of Rural Areas)

  • 황정임;최윤지;윤민혜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2권3호
    • /
    • pp.355-363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ulture and leisure resources scale and examine the validity of the scale. The culture and Leisure resources scale was developed and identified its validity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culture and leisure resources scale consisted of four factors, which were 'personal resources', 'support staff resources', 'facility resources', and 'program resources'. Those four factors indicated the reasonable fit indices from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 addition, this scale showed convergent validity with the satisfaction of cultural and leisure environment and the satisfaction of one's cultural and leisure life. The result of scale score comparison between rural and urban areas showed that culture and leisure resources in rural areas were less abundant than those in urban areas. Furthermore, while the variables which affected the satisfaction of urban residents' were mainly 'personal resources', the variables in case of rural residents' were mainly 'program resources' and 'facility Resources'. The culture and leisure resources scale can be used for policymakers practicably to evaluate regional level of culture and leisure resources, to compare between regions and to find policy prioritie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eisure, especially for disadvantaged areas with less resources.

농촌지역 유.무형 자산을 활용한 마을 가꾸기 사업의 추진현황 분석 - 신문화공간조성사업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n the Project of Creating a Village by Utilizing Assets in a Rural Area - Focused on the Project for a New Cultural Space Creation-)

  • 전영미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97-202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ituation of physical and intangible assets, and to analyze the use of planning in a new cultural space creation project areas. For this study, literature survey, filed survey and participant observation methods were used for data collec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project's characteristics had a variety of space utilization's scope. It was to emphasize the organizations and participants in the human side. 2) There are the pumping stations, mokgammak, mills, barbershops, marketplaces etc in physical assets, and it was worth the historic or agricultural facility. 3) The using plans of three kinds in hardware facilities, software programs, human ware(human abilities)are linked to each other organically. 4) The problems in the project's process include the administrative and institutional factors rather than planning matters.

  • PDF

부여 관북리 유적 "나" 지구 출토 제철유물의 분석을 통한 제철유적의 성격 추론 (Characteristics of Gwanbuk-ri remains, Buyeo, inferred from the analysis of iron artifacts from District "Na")

  • 홍주현;한송이;김소진;한우림;조남철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0권1호
    • /
    • pp.4-1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부여 관북리 유적 "나" 지구에서 출토된 9점의 제철 관련 유물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여 제철유구의 성격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GB1과 GB6은 반환원괴로 확인되며, GB2, GB3, GB4, GB5는 정련 과정에서 생성된 단야재로 확인되었다. 노벽 시편인 GB7의 내측에서는 고온지시광물인 Mullite, Cristobalite가 확인되었고, $FeO-Al_2O_3-SiO_2(FAS)$ 삼원상태도에 대입한 단야재의 정출온도는 $1200{\sim}1300^{\circ}C$로 확인되었다. 덩이쇠인 GB8은 괴련강계 단조철기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철기제작을 위한 중간소재로 사용된 것으로 보이며, GB8의 내부에서 관찰되는 비금속 개재물은 단야재의 조직과 성분이 유사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부여 관북리 유적 "나" 지구의 제철유적은 직접제철법으로 생산된 괴련철의 정련을 기본으로 하는 소규모 제철시설이었던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제주도 유인등대를 활용한 해양문화공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cean Cultural Space developed on the Jejudo Manned Lighthouse)

  • 안웅희;김형준;한창수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1-29
    • /
    • 2005
  • 한국의 등대는 지난 2003년에 건립 100주년을 맞이하였다. 등대는 본래 천혜의 자연조건 속에 입지해 있고, 바다와 관련된 시적 감흥을 간직하고 있으며, 태양에너지 등을 동력원으로 하는 친환경적인 건축시설이다. 이처럼 등대는 그 잠재적 가치와 개발 가능성이 높은 시설이다. 그 가운데 적절하게 개발된 유인등대는 이제 전통적인 기능과 역할에 충실한 항로표지일 뿐만 아니라 온 국민이 향유하고 체험하는 새로운 시설이자 공간이 되었다. 제주지방해양수산청은 지난 몇 년간의 노력을 통하여 제주도의 유인등대를 적절하게 해양문화공간으로 개발함으로써 해양문화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지역관광에 공헌을 하여왔다. 본 연구는 해양수산부의 친수공간개발산업이 실시된 이래 제주도의 유인등대가 보다 더 적절하게 활용되기 위해 다각도로 검토되어야 할 논제들을 밝히고자 의도하였다.

  • PDF

경복궁(景福宮) 배수시설(排水施設)의 조성원리(造成原理)에 관한 연구 - 경복궁 발굴조사 자료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mposition Principle of the Gyeongbokgung Drainage Facility - Focused on the review of Gyeongbokgung excavation survey -)

  • 김태민;남호현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1권4호
    • /
    • pp.120-145
    • /
    • 2018
  • 본고의 목적은 유구의 발굴조사로 확인된 자료를 활용하여 경복궁의 배수시설을 파악해보는 데 있다. 궁궐의 원활한 배수를 위한 여러 노력은 창건기 경복궁에서부터 지속되었음을 사료를 통해 파악할 수 있다. 창건기 당시 경복궁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 도형은 남아있지 않지만, 영조대 이후 제작된 도형을 통해 추정해 볼 수 있으며, 중건 이후의 모습은 "경복궁전도", "경복궁도", "북궐도형"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문화재청이 고종대 중건 경복궁을 복원 기준으로 삼고 있기에, 본고 역시 고종대의 경복궁 배수 시설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중 본고에서는 침전, 태원전, 건청궁, 소주방, 함화당 집경당 영훈당, 흥복전 등 여섯 권역의 집수정과 암거를 분석해 보았다. 경복궁은 중심전각과 주변행각으로 구성된 여러 개의 권역으로 구성되는데, 배수 역시 각각의 행각과 전각에서 시작하여 권역별 중심배수로로 합수되는 방식임이 확인되었다. 기본적으로 중심배수로는 개방형 어구로 연결되고 어구로 나온 물은 최종적으로는 수문으로 출수되는 형태가 확인되는데,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경복궁의 구지형을 이용한 자연배수와 인공배수를 조화하기 위한 배치로 보인다. 배수가 시작되는 집수정은 생활하수가 다수 발생하는 지역에 설치되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행각과 행각, 행각과 담장이 접하는 모퉁이에 주로 설치되는 것이 확인 되었다. 이는 지붕의 낙수 처리와 생활하수 처리를 고려한 배치로 판단되며, 특히 생활하수의 처리를 위해 행각이 끝나는 부분에 주로 주(廚)칸을 설치하는 모습도 관찰되었다. 이러한 배수시설의 설치는 경복궁의 배수가 일련의 계획 하에 매우 치밀하게 구성되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도심지 내 명승 주변지역 거주민의 의식 연구 - 명승 제35호 성락원(城樂園) 주변 역사문화환경 보전지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Inhabitants Consciousness of Urban Residential Area Scenic Sites - Focused on Historical and Cul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Area of Seongragwon(Scenic Sites no.35) Area -)

  • 연웅;이원호;이세미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38-47
    • /
    • 2013
  • 본 연구는 도심지에 위치한 명승과 그 주변지역을 보존하기 위해 성북동에 위치한 성락원 주변 필지의 면적을 분류한 후, 주변 거주민을 대상으로 명승 지정구역에 대한 의식조사,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해당구역의 지적조사, 문헌조사, 현장조사, 설문조사를 각각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에서 회수된 설문지는 문화재 인지도에 대한 빈도분석, 문화재 주변 만족도에 대한 신뢰도 분석, 필지 면적 별 만족도 분석, 전체만족도 관계에 대한 회귀분석, 필지 면적 별 차이검증을 위한 One-way ANOVA를 각각 실시하였다. 전체적인 문화재 인지도 분석 결과, 거주지 가까이에 위치한 서울선잠단지, 성락원, 만해한용운심우장, 상허이태준가옥, 서울한양도성 순으로 알고 있었으며 문화재에 대한 방문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재 방문목적은 휴식과 산책이 가장 많았으며 문화재 보존관리의 수준은 보통 수준으로 응답하였고 문화재로 인한 불편도 크게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재 보존을 위한 규제강도에 대한 인식은 보통수준이었고 문화재가 성북동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긍정적 반응이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문화재 자체가 마을 이미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문화재에 대한 접근이 쉽지 않고 생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문화재 주변 공간에 대한 전체만족도는 필지의 규모가 클수록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성북동 거주민 대부분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소규모 필지($150m^2$ 미만) 거주자는 야간보행시 안전성, 재산 가치 상승, 사유재산권행사, 주변 환경과의 조화, 건축물 외관 상태, 문화 예술 정신 등 비물리적 고유성에 대해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대규모 필지에 비해 소규모 필지의 주거환경의 질이 낮고, 성북동 일대의 재개발로 인한 타지역 주민의 유입, 자유롭지 못한 사유재산권 행사 등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 시설물(가로등, 안내판 등)의 조화에 대해서 대체로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도심지 내 명승 주변지역의 관리전략 수립 시, 문화재 안내판 시설 확충과 문화재 교육프로그램 도입 등 마을 문화재를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하여 문화재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마을 고유성을 유지하는 것이 요구된다.

혼합설계방법을 사용한 한국거주 외국인의 의료서비스 이용만족도 비교연구 (A Comparison Study using Mixed Methods on Foreign Residents' Satisfaction with Korean Health Care Services)

  • 김금순;안정원;김진아;김희정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86-96
    • /
    • 2014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and compare satisfaction with Korean health care services for Americans, Chinese and Russians who resided in Korea. Methods: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252 participants (81 Americans, 89 Chinese, 82 Russians). Three focus group interviews were subsequently conducted in order to obtain a greater understanding of participants' experience and perspectives. Results: The average satisfaction score was 3.09, with Americans and Russians showing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Chinese. Overall, participants reported higher satisfaction in 'Facility', 'Quality of care' and 'Nursing services' as opposed to 'Information/education'. 'Care with cultural respect' as well as communication related services. Data from the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ategorized into 12 sub-categories, 7 categories and 2 themes. The two themes were common experience and contrasting experience. Common experience included 4 categories, 'Quality of care', 'Hospital facility and health care system', 'Language barrier' and 'Information and education'. Contrasting experience included 3 categories, 'Medical cost', 'Health care personnel' and 'Accessibility'. Conclusion: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basic knowledge on foreign residents' satisfaction and experience with Korean health care services. Further research is needed with foreigners from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Administrative and educational efforts are required to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and cultural competency.

퍼지논리와 가상가치법 혼합을 통한 현상적 건축미의 매력가치 - 노들섬 문화센터 시설이용료를 가치 척도로 - (Attractiveness Valuation of Phenomenal Architectural Aesthetic by Mixing the Fuzzy Logic with Contingent Valuation - Availing the Use Fares of Facility within Nodle Islet Cultural Center as Valuation Scale -)

  • 이동주;고은형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5호
    • /
    • pp.3-10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attractiveness value according to the preference level on architectural aesthetic. This research starts from the concept that aesthetic is phenomenon and from the viewpoint of 'attraction value' which affects goods. Interactive internet surveys were conducted for 500 citizens of Seoul metropolitan city who are potential users of the Nodle Islet Cultural Center. Based on the scenarios and questionnaires with fuzzy models, we have examined the evaluation of architectural aesthetic and monetary willing-to-payment, and estimated the economic value by preference level of architectural aesthetic through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conomic value of the Nodle Islet Cultural Center was estimated at ?15,683.43/person. Residents of Seoul metropolitan city were willing to accept the increase in the above-mentioned amount of the facility fares when their preferred works (average 86.81 points) were constructed. (P <0/05) Second, it is confirmed that the economic value increases dramatically as the preference level of architectural aesthetic increases. Third, it is presumed that the infinite valuation of architectural aesthetic and the problem of free riding coexist in the estimation of economic valuation of architectural aesthetic for public buildings. Fourth, by mixing the fuzzy logic with contingent valuation method, starting point bias and no response biases that happened in contingent valuation could be disappeared. bias elimination must be considered seriously because another bias could be happened in full process of the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a basis for spreading architectural aesthetic value-oriented research from the vague and obscure aesthetic-centered discussion on the existing architectural aesthetic. In addition, it will be an opportunity to draw institutional application and utilization strategy of architectural aesthetic through architectural aesthetic value research.

문화생태적 적소로서 사천 선상지 '새미'의 경쟁력 (Competitiveness of 'Saemi' in Sacheon Alluvial Fan as a Cultural-ecological Niche)

  • 김도현;정명철;서기춘
    • 환경영향평가
    • /
    • 제32권6호
    • /
    • pp.516-532
    • /
    • 2023
  • 이 연구는 사천 선상지 일대에서 2021년 9월부터 2023년 6월까지 진행된 현장연구를 토대로, 발견한 129개의 새미에 대한 분포를 민족과학과 적소이론을 통해 분석한 결과이다. 연구자는 사천 선상지 일대를 전통적인 수리시설과 근대적인 수리시설이 모두 이용되고 있는 관개의 적소로 보고, 지속가능 패러다임에 따라 생태환경에 대한 공익적인 가치가 주목되는 전통수리시설인 '새미'의 문화생태적 경쟁력을 밝힘으로써, 새미의 지속가능한 보전과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 데 기여하고자 했다. 연구 결과, 새미는 지속가능한 발전이라는 시대의 방향성을 고려하였을 때 문화생태학적 질 측면에서 경쟁력 있는 수리시설로 확인되었다. 지속가능한 농업 차원에서 환경친화적 농업기술을 전통수리시설에 접목해 나간다면, 생산성과 공익성, 그리고 지속가능성에 시너지가 발휘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