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tural ecology

검색결과 468건 처리시간 0.029초

전쟁영화에서 초록의 색채표현과 파토스 (Pathos of Color Green Expressed in Korean War Films)

  • 김종국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9권6호
    • /
    • pp.123-134
    • /
    • 2022
  • War films are a general term for films that have battlefields as their main background. Although war films as a genre directly deal with combat situations, they also deal with characters or subjects related to war. War films promote patriotism and nationalism, but they also argue against war by highlighting the disastrous war. This study is based on the color theory that the meaning of film color is temporarily and infinitely generated according to the cultural differences, with Eisenstein's creative theory on film color and pathos. I wanted to clarify the pathos effect and the meaning of color green expressed in the Korean war films. In war films, colors are visualized in art forms such as symbols, similes and metaphors. In war films, color green symbolizes life. On the battlefield, the green of nature stands against the catastrophic situation. The green of ecology, which insists on the flow of life, evokes fear in ecological crises such as war, disaster and climate change. The dark green caused by a catastrophe like war warns of the destruction of life. The connotation of color is temporarily and infinitely expands according to the cultural differences. The dark green, which visualizes the battlefield of destruction, is a form and element of pathos that indicates changes in emotions such as sadness, pity, grief and despair. Pathos as an emotional appeal is a leap from the quality to the quality of the means of expression and refers to the departure from Dasein. The green color that dominates the visuals of war films is a symbol of life and functions as a pathos that makes emotional changes take a new leap. A qualitative leap through pathos means all changes that become new.

공간분석 및 현장조사 평가 기법을 활용한 4대강 강변저류지 조성 후보지 선정 (Determining the Locations of Washland Candidates in the Four Major River Basins Using Spatial Analysis and Site Evaluation)

  • 정광석;신해수;정주철;김익재;최종윤;정인철;주기재
    • 생태와환경
    • /
    • 제43권1호
    • /
    • pp.44-5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전극 4대강 권역 6개 주요 수계(남한강, 낙동강, 남강, 금강, 영산강 및 섬진강)의 본류를 대상으로 하여 공간분석과 현장조사 및 평가를 통한 강변저류지 조성 후보지를 결정하였다. 강변저류지는 하천변에 배후습지와 연결될 수 있는 대규모 인공습지의 형태로, 홍수조절, 용수공급, 수질정화, 생태문화공간 제공 등 다기능의 목적을 갖고 있다. 또한 조성된 강변저류지는 배후습지로서의 역할 역시 수행이 가능하여, 수문학적 및 생태학적 관점에서 상당히 높은 효율성을 갖는 요소이다. 따라서 강변저류지 조성 효과를 높이기 위한 선행적 절차는 조성 후보지를 선정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리정보와 현장특성 (생태계 연결성, 교육-문화적 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파악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GIS 분석 결과, 각 수계별로 남한강 $71.5\;km^2$, 낙동강 $54.1\;km^2$, 남강 $2.3\;km^2$, 금강 $79.0\;km^2$, 영산강 $46.4\;km^2$, 섬진강 $15.7\;km^2$ 수준의 강변저류지 가능지역이 탐색되었으며, 위치상으로는 중하류부의 하천 합류부 등에서 넓게 분포하는 패턴을 보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후 총 106개 지점에 대한 현장조사를 실시한 결과, 대체로 남강, 금강 등의 수계에서 배후습지로서 양호한 기능이 기대되는 강변저류지 가능 지점이 주로 분포하였다. 특히 현장 조사 중 낙동강, 섬진강 수계의 일부 지점은 인곤 습지 서식처(우포 등)와의 연계성, 주요 생물분류군 서식처와의 인접성(수달 서식처 등), 문화재 및 생태환경 교육여건(생태학습관, 사찰 등) 이 잘 구축된 경우로 파악되어 매우 양호한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이들 지점에 대해서 정밀한 수문학적 고찰이 진행될 경우 보다 수문-생태-문화-교육 차원에서 효율적인 강변저류지의 조성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지역문화생태계와 청년예술가 - Creative Sector Holistic Model을 적용한 광주 청년예술가들의 창작 활동 저해요인에 관한 연구 - (Local Cultural Ecosystem and Emerging Artists: A Study on Hindering Factors in Creative Activities of Young Artists in Gwangju by Adopting Creative Sector Holistic Model)

  • 김미연;김인설
    • 예술경영연구
    • /
    • 제51호
    • /
    • pp.5-34
    • /
    • 2019
  • 이 연구는 지역문화생태계 내 청년예술가의 위치와 이들이 교류하는 생태계 내 주요 이해관계자들과의 역학관계를 중심으로 청년예술가들의 지속적인 창작 활동을 저해하는 환경적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실행된 질적 연구이다. 이 연구의 중심질문은 '무엇이 청년예술가의 지속적인 창작 활동을 저해하고 지역의 예술현장에서 떠나게 만드는가?'로, 청년예술가들의 경험과 시각에 중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인터뷰 자료는 2016년부터 2018년까지 국비로 광주에서 지원된 청년예술가 지원사업을 기획·실행하는 과정에서 축적된 자료이다. 이 연구는 전술한 2년간의 지원사업 진행 과정에서 만난 회화, 문학, 조각, 영상, 국악, 시각디자인, 공예 등의 분야에서 활동하는 20-34세 사이의 29명의 청년예술가와의 공식 및 비공식 인터뷰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생태계 논리를 창조산업에 적용하고 구조화시킨 Creative Sector Holistic Model(Wyszomirski, 2008)을 차용하여, 공공인프라(General Public Infrastructure)에 포함된 옹호단체(Advocacy), 전문예술기관(Professional Associations), 공공기금(Public Funding), 정책(Policy) 내 이해관계자와 지역 청년예술가들 간의 관계와 경험, 그리고 인식을 중심으로 구성된 주요 의미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경제적 어려움만이 청년예술가의 지속적인 작품 활동을 중단시키는 요인은 아니었다. 지역의 건강한 문화예술생태계의 부재 혹은 불균형에서 파생된 다양한 저해 요소들이 파악됐으며, 이는 생태계 내 근원적 문제와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사안임을 방증한다. 지역의 청년예술가 지원사업은 따라서 해당 지역의 생태학적 지형을 파악하고, 생태계 내 역학관계와 문제점을 밝혀가는 과정을 통해 해당 사업의 효과와 장기적 영향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산악형 생태탐방로 개발계획에 대한 지역주민 태도분석 - 소백산 자락길을 대상으로 - (An Analysis on the Attitudes of Local Residents to the Mountainous Ecology Trail Development Plan - Focusing on Sobaeksan Jarackgil -)

  • 박금미;정태열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71-81
    • /
    • 2013
  • 본 연구는 지역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한 산악형 생태탐방로 개발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사회교환이론을 적용하여 소백산 자락길 개발계획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의식분석 및 태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7개 마을 주민 150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방식 및 개인면접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먼저, 주민 의식분석 결과, 소백산 자락길 개발계획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지역주민들이 인식하며, 또한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은 주민 태도분석 결과, 성별에 따른 태도는 탐방객과의 교류 및 전통문화재 발굴에서 남성보다 여성이 높게 기대하였으며, 연령별 태도는 마을의 환경오염 증가, 범죄 증가, 문화 파괴, 주민갈등 유발 등에서 60세 미만 집단에서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군에 따른 태도는 농업 종사자가 생태계 파괴 부분을 우려하고 있었으며, 지역적 특성 및 경관 훼손에서는 모든 지역주민들이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개발계획의 찬성집단은 경제적, 환경적, 사회 문화적 측면 대부분의 항목에서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반대집단은 환경적 측면의 경관훼손, 환경오염 증가와 사회 문화적 측면의 주민갈등 유발 등 개발로 인한 부정적인 측면에 대해서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탄소 저장량을 이용한 국내 주요 생태계 기후 조절 서비스 지표 산정 (Quantitative Assessment of Climate Regulating Ecosystem Services Using Carbon Storage in Major Korean Ecosystems)

  • 김지수;한승현;장한나;김태연;장인영;오우석;서창완;이우균;손요환
    • 환경생물
    • /
    • 제34권1호
    • /
    • pp.8-17
    • /
    • 2016
  • 본 연구는 생태계 조절 서비스 중에 하나인 기후 조절 서비스 산정을 위한 국내 주요 생태계의 탄소 저장 지표를 산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국내에서 진행된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주요 생태계 (도시녹지, 경작지, 활엽수림, 침엽수림, 혼효림, 초지, 담수, 연안, 해양)의 탄소 저장량을 이용하여 탄소 저장 지표를 산정하였다. 또한 다양한 측정 방법으로 추정된 탄소 저장 지표의 불확실도를 국제기준에 따라 산정하였다. 국내 주요 생태계의 조절 서비스를 생태계 유형, 측정 방법 그리고 저장고별로 정량화한 결과 탄소 저장지표는 산림 생태계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서·남해안 연안습지의 수조류 군집특성 (Characteristics of Waterbird Community at Coastal Wetlands in the South and West Coasts, Korea)

  • 신용운;한승우;이시완;황인서;박치영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4권1호
    • /
    • pp.160-169
    • /
    • 2019
  • 국가해양생태계종합조사와 연안습지 기초조사를 통한 서 남해안 연안습지 10개 지역(장봉도, 무의도, 대천천하구, 서천갯벌, 유부도, 곰소만, 하의도, 증도, 도암만, 강진만)에서 서식하는 수조류의 도래현황에 대한 조사는 2008년 5월부터 2013년 3월까지 실시되었다. 관찰된 수조류 중 도요 물떼새류가 36종(37%) 193,111개체(67.1%)로 가장 우점하는 분류군이었으며, 수면성 오리류, 백로류, 갈매기류 등의 순으로 우점하였다. 우점종은 민물도요(Calidris alpina), 괭이갈매기(Larus crassirostris), 큰뒷부리도요(Limosa lapponica), 흰물떼새(Charadrius alexandrinus), 붉은어깨도요(Calidris tenuirostris)이었다. 분류군별 개체수는 도요 물떼새류가 서천갯벌과 유부도에서 가장 많이 관찰되었으며, 수면성 오리류는 도암만에서 가장 많이 관찰되었다. 잠수성 오리류는 강진만에서 가장 많이 관찰되었으며, 갈매기류는 서천갯벌에서 가장 많이 관찰되었다. 서 남해안 연안습지 10개 지역은 수조류의 유사도지수(Ro)에 의해 3개 Group으로 나뉘었다. 1 Group은 수면성 오리류와 잠수성 오리류가 우점한 지역이었으며, 2 Group은 도요 물떼새류가 우점한 지역이었다. 3 Group은 갈매기류가 우점한 지역으로 구분되었으며, 지역 간 환경에 따른 종구성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미국 디어필드 18세기 주택의 표현특징 (A Study on the Style of 18th Century House at the Historic Place of Deerfield)

  • 김정근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4권1호
    • /
    • pp.287-297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raditional American houses in eighteen century and their specific styles at the historic pace of Deerfiel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Village of Deerfield is founded by Henry Flynt and PVMA(Pocumtuck Valley Memorial Association). Their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has been achieved from the efforts of collection constantly and the concrete research of old houses. So, It should be reflected their way of approach to preserve and restore for old houses in Korea. Second, the traditional eighteen century houses in Deerfield had generally Colonial Style. Style of Colonial houses had a "L"shape exterior view and a flat facade and the front door made a symmetry with sash windows. A chimney had been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roof and it usually had a gable with natural materials in a simple manner. Third,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design houses was a front door and it had been decorated in luxury and in a display. Lastly, the traditional American houses in eighteen century had been greatly influenced not by the that of British which is commonly taken but by the various cultural backgrounds which represented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was rather simple.

현대 패션 전시의 유형별 연출 기법과 특성 연구 (A Study on Display Techniques and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Fashion Exhibitions)

  • 정다운;하지수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823-838
    • /
    • 2018
  • The article surveys the technique and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fashion exhibitions in terms of fashion museography and fashion curation. The article reviewed both a literature study on the history of fashion exhibition focused on the display technique as well as a case study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ntemporary fashion exhibitions. The results of the article is as follows. Fashion brand exhibitions are about building competitive business advantage by planning differentiated contents. It gives viewers a brand fantasy and increases brand loyalty. This type mainly displays the latest collections on the commercial purpose as well as uses diverse mediums and high technology to make a spectacular space that provides an immersive experience to the viewer. Second, the museum fashion exhibition focuses on the roles of fashion in terms of social, cultural and artistic aspects that also focus on public education. The presentation technique emphasizes careful collection conservation rather than celebrate fashion business. The article is to encourage a further scholar discourse of fashion curatorial practice and theory.

동·서양 인형의 복식에 나타난 상징성 (Symbolic Characteristics Presented in Eastern and Western Doll Costumes)

  • 손지원;김민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473-488
    • /
    • 2012
  • This study examines the origin of dolls as well as how the role and types of various dolls have changed in a comparison of the functions of dolls before and after $20^{th}$ century.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s symbolic characteristics appearing in doll costumes. First, doll costumes (used in child play) represent sexual roles and various role models that are taught to children. Second, they reflect the fashion trends of that time and appear in the most beautiful forms that pursue the ideals of the time where doll costumes symbolize the latest fashion of the time. Third, the culture of doll costumes symbolizes cultural identity that show native customs, art, culture, and ethnic characteristics. Lastly, a mania society for dolls and collector groups are formed that share individual sensitivity. Members of those groups have feelings of solidarity and homogeneity through doll costumes that they have decorated and expressed themselves that show the reinforcement of a group by doll costumes.

1980년대 중반 남성 패션에 나타난 '뉴 맨(New Man)' 이미지 (The Image of 'New Man' in Men's Fashion in the mid-1980s)

  • 염혜정
    • 패션비즈니스
    • /
    • 제15권1호
    • /
    • pp.171-184
    • /
    • 2011
  • This paper is purposed to clarify that an increase of the matter of concern about men's fashion in the mid-1980s was coincided with rapid change of images for men and diversification within the context of economy, society, culture an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 of each fashion and the meaning. Findings are as follows: 'New men' played a key role creating and communicating the new male image through the media, as a new masculine appeared in the middle of 1980s. Especially it was spreaded into with British as a center between the generations of young men described as a white-collar worker about the ages from 18 to 35 specifically and appeared by the cultural background in accordance with the spread of consumerism, materialism and post modern feminism and the development of men's fashion. There were 2 types of fashion styles for 'New men' image on the media in the mid-1980s. The First is 'power suit look style' which is self-conscious, including 'corporate formal suit look' and 'soft & sexy suit look'. The Second is 'extravagant body conscious style' which characterize the decolletage and androgynous, including 'tough sports look' and 'sexy skirt look'. Lastly, the 'New men' image means a man as a visible object and a man in the image wor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