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cal Cultural Ecosystem and Emerging Artists: A Study on Hindering Factors in Creative Activities of Young Artists in Gwangju by Adopting Creative Sector Holistic Model

지역문화생태계와 청년예술가 - Creative Sector Holistic Model을 적용한 광주 청년예술가들의 창작 활동 저해요인에 관한 연구 -

  • 김미연 (전남대학교 문화학과) ;
  • 김인설 (전남대학교 문화전문대학원)
  • Received : 2019.07.12
  • Accepted : 2019.08.20
  • Published : 2019.08.31

Abstract

This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conducted to identify environmental factors that impede emerging artists' ongoing creative activities, focusing on the local cultural ecosystem that they are part of. By doing so, we tried to understand the dynamics between key stake holders in the ecosystem that these young artists interact with and how they build and perceive their own, local cultural environment. The central research question of this study is: what factors impede the continuous creative activities of young artists and what causes them to leave local art scenes? The research was conducted thoroughly on the basis of emerging artists' experience and perspectives and applied to Creative Sector Holistic Model for analysis. The data of this research were collected based on two national-funding projects to support young artists from 2016 to 2018. The main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was interviews: official and casual interviews were executed with 29 young artists aged 20-34 who work in the fields of painting, literature, sculpture, video, korean traditional music, visual design and crafts.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the Creative Sector Holistic Model(Wyszomirski, 2008), which had applied the ecological logic to the creative industries, was applied.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economic difficulties were not the only hindering factor in their sustainable art-making process. Various impeding factors derived from the local cultural ecosystem have been identified within the Holistic Model, demonstrating that these factors are all intertwined and connected. Thus, analyzing and understanding one's local cultural ecosystem can provide keys to long-term and lasting impacts when a local authorities wish to support young artists for the future of local cultural environment.

이 연구는 지역문화생태계 내 청년예술가의 위치와 이들이 교류하는 생태계 내 주요 이해관계자들과의 역학관계를 중심으로 청년예술가들의 지속적인 창작 활동을 저해하는 환경적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실행된 질적 연구이다. 이 연구의 중심질문은 '무엇이 청년예술가의 지속적인 창작 활동을 저해하고 지역의 예술현장에서 떠나게 만드는가?'로, 청년예술가들의 경험과 시각에 중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인터뷰 자료는 2016년부터 2018년까지 국비로 광주에서 지원된 청년예술가 지원사업을 기획·실행하는 과정에서 축적된 자료이다. 이 연구는 전술한 2년간의 지원사업 진행 과정에서 만난 회화, 문학, 조각, 영상, 국악, 시각디자인, 공예 등의 분야에서 활동하는 20-34세 사이의 29명의 청년예술가와의 공식 및 비공식 인터뷰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생태계 논리를 창조산업에 적용하고 구조화시킨 Creative Sector Holistic Model(Wyszomirski, 2008)을 차용하여, 공공인프라(General Public Infrastructure)에 포함된 옹호단체(Advocacy), 전문예술기관(Professional Associations), 공공기금(Public Funding), 정책(Policy) 내 이해관계자와 지역 청년예술가들 간의 관계와 경험, 그리고 인식을 중심으로 구성된 주요 의미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경제적 어려움만이 청년예술가의 지속적인 작품 활동을 중단시키는 요인은 아니었다. 지역의 건강한 문화예술생태계의 부재 혹은 불균형에서 파생된 다양한 저해 요소들이 파악됐으며, 이는 생태계 내 근원적 문제와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사안임을 방증한다. 지역의 청년예술가 지원사업은 따라서 해당 지역의 생태학적 지형을 파악하고, 생태계 내 역학관계와 문제점을 밝혀가는 과정을 통해 해당 사업의 효과와 장기적 영향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