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ltural Event

검색결과 211건 처리시간 0.026초

문화이벤트 참여태도에 따른 문화이벤트 만족도 및 충성도 - 관여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f Cultural Event Satisfaction on Quality of Life: -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Involvement -)

  • 김은진;이희정;윤유식
    • 한국과학예술포럼
    • /
    • 제21권
    • /
    • pp.117-129
    • /
    • 2015
  • 본 연구는 문화이벤트 태도에 따른 문화이벤트 참여자의 만족도 및 충성도를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최근 다양한 문화이벤트가 이루어지고 있고 이는 문화이벤트 참여자에 대한 다양한 긍정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문화이벤트 참가자가 어떠한 생각과 태도를 보이는 가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가 부족하여 좀 더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문화이벤트 구성과 기획을 위한 활용자료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즉 융합적 연구활동을 통해 참가자의 다양한 욕구와 요구에 맞는 문화이벤트 프로그램 구성과 컨텐츠 개발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으며 어떠한 요소가 문화이벤트 참가자의 만족도와 충성도에 영향을 주는 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문화이벤트 관여도에 대한 조절효과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범위 및 방법으로 서울지역 문화이벤트 참여자를 대상으로 실증 분석하여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 문화이벤트의 태도에서 자기성찰과 지식습득, 자부심과 성취감, 스트레스 해소 및 도전 등이 문화이벤트 참여만족도 및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며 문화이벤트 관여도의 조절효과를 설명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문화이벤트 기획과 운영, 프로그램 구성과 컨텐츠 개발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스포츠 이벤트 개최로 인한 사회문화적 영향분석 - 2005 제천 산악마라톤대회를 중심으로 - (Residents' Perceptions of Social and Cultural Impacts of the Sport Event - Focus on the Kumsu Mountains Marathon Race 2005 in Jecheon -)

  • 최상수;이관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5호
    • /
    • pp.161-169
    • /
    • 2006
  • 본 논문은 스포츠 이벤트(2005 제천 산악마라톤 대회) 개최로 인한 사회문화적 영향요인분석을 실증분석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요인분석결과 긍정적 영향에 대한 19개의 질문 항목이 5개의 요인으로 나타났고, 부정적 영향에 대한 9개의 질문 항목이 2개의 요인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20\sim30$대의 젊은 연령층과 서비스산업종사자들은 긍정적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스포츠 이벤트의 긍정적 영향 요인이 나이와 직업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스포츠 이벤트에 대한 사회 문화적 특징은 지역사회 구성원에게 서로 다른 영향을 미치고 있다.

  • PDF

시스템다이내믹스를 이용한 메가이벤트 개최 효과 분석: 대장경문화축전에의 적용 (Analysis of Mega Event effect using System Dynamics : Application in Millennial Anniversary of the Tripitaka Koreana)

  • 박경열;최승담;김동환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 /
    • 제14권1호
    • /
    • pp.31-53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impact of hosting mega event using the system dynamics and to establish the model for analysis of the impact of hosting mega ev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growth of inbound tourists have influenced long term effect. Second, the export has increased for a limited period only after the hosting mega event, but the increase in export returned to the previous state in terms of economic impact of mega event. Third, nation brand has been improved for a limited period only such as the economical impact in terms of socio-cultural impact of mega event. Last, citizenship consciousness has been improved after hosting mega event. Further researches have to be carried out to modify and reinforce the model.

  • PDF

『로드 짐』의 낭만적 편력에 대한 해체론 독법: 모방적 욕망의 사건을 중심으로 (Deconstructive Reading to Jim's Itinerary through Lord Jim: Focusing on Events of his Mimetic Desire)

  • 최수
    • 영미문화
    • /
    • 제18권3호
    • /
    • pp.115-170
    • /
    • 2018
  •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Jim's itinerary journey in terms of both Girald's concept of triangular desire and Derrida's concept of event. According to the Girard's mimetic desire theory, human being's desire is not spontaneous like Romanticism thought, but mimetic to the mediator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 Thus there is no romantic desire understood as one's own desire except mimetic desire. In this regard, mimetic desire is compatible with the conception of Derrida's thinking of an event that is resistant to its absolute singularity. Because both mimetic desire and event cannot be defined by the fact of each spatio-temporal specificity, they can not be understood by a traditional metaphysics of presence. In this paper, by using Girard's concept of mimetic desire theory, I showcase why the tragic journey of Jim's telos as a mythic quest for his romantic ego(ipse) cannot help but face his death and by using deconstructive thinking of iterability, this paper analyzes why Jim's romantic ego imitated by the mimetic desire through a mediator cannot be encountered happily with his ipseity until his end. As a victim of triangluar desire, Jim's romantic ego is nothing but a notion of an ipsiety that has been defined in terms of presence central to metaphysics. This paper also makes an attempt to re-interpret some articles contaminated with post-colonial perspectives from Derridean views with deconstructive rigorous reading to those papers to uncover an essential ground of presence.

문화유산정보 말뭉치 구축을 위한 개체명 및 이벤트 부착 도구 (Named Entity and Event Annotation Tool for Cultural Heritage Information Corpus Construction)

  • 최지예;김명근;박소영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29-38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문화유산정보 말뭉치 구축을 위한 개체명 및 이벤트 부착 도구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도구를 이용하여 말뭉치 구축자는 문화유산정보 관리에 유용한 시간, 장소, 인물, 사건을 중심으로 개체명과 이벤트를 부착할 수 있다. 이 때, 개체명과 이벤트 부착이 용이하도록, 제안하는 도구에서 줄번호나 어절번호와 같은 개체명이나 이벤트의 위치정보를 자동으로 부착하며, 구축된 개체명이나 이벤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면 해당 문자열을 원문에서 진한 이탤릭체로 표시하여 올바르게 부착되었는지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안하는 도구는 말뭉치 구축자의 수작업을 줄이기 위해서 개체명 자동인식 패턴을 활용한다. 학습말뭉치가 거의 없다는 점을 고려하여 단순한 규칙 패턴을 학습한다. 또한, 오류 전파를 차단하기 위해서, 제안하는 개체명 자동인식 패턴은 개체명 부착 말뭉치에서 추가적인 분석처리 없이 바로 추출한다. 실험결과 제안하는 개체명 및 이벤트 부착 도구는 말뭉치 구축자의 수작업량을 절반이상 줄여주었다.

음색 기반 뇌파측정 및 분석기법 개발 (Development of EEG Signals Measurement and Analysis Method based on Timbre)

  • 박승민;이영환;고광은;심귀보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388-393
    • /
    • 2010
  • 문화콘텐츠기술(CT, Culture Technology)은 문화 산업 발전을 위한 기술로 문화콘텐츠 기획과 상품화, 미디어탑재, 전달의 가치사슬 과정 등 문화상품의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해 소용되는 모든 형태의 유무형의 기술이다. 문화콘텐츠 기술(CT)분야에서 음악의 특징을 분석하여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연구 중 EEG를 측정하고 그 결과에서 음악적 자극에 대한 반응을 검출하여 활용하는 연구가 주목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EEG에서 음악적 자극에 대응되는 반응신호들을 증폭시켜 평균화 하는 방법인 ERP(Event-Related Potentials) 실험을 기반으로 음색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ICA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음색 추출 및 노이즈 제거 결과에 따른 EEG의 특성을 분석하여 적용한다.

민속축제 활성화에 따른 무형문화재의 변용 - 강릉단오제를 중심으로 (Transfiguration of intangible cultural assets due to activation of Folk Festival - Gangneung Danoje as the pivot -)

  • 황루시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36권
    • /
    • pp.299-312
    • /
    • 2003
  • Gangneung Danoje does not only have the longest history but also is the largest folk festival in Korea. However, during its long history Gangneung Danoje has not always been the way as it is today. As records reveal, since the Chosun dynasty and through Japanese rule, it has gone through numerous variations and registration processes in order to become a national designated major intangible cultural asset. Especially after it has been appointed as a national major intangible cultural asset Gangneung Danoje has under gone through variety of transformations. First of the few changes is the citizen-lead characteristic. As Gangneung Cultulral Center took charge of Danoje this trait has become prominent. Hereby Chosun dynasty's government lead system has transformed into a civilian lead festival. Second alteration is the enormous scale of expansion and the variations of the characteristic of the festival because of it. Dano event has increased annually from 12 events in 1974 to 58 events by 1999. As the scale of Danoje enlarged the promoters found solutions by providing diversified events in order to satisfy peoples' various aspirations from the festival. However this solution lead to a diversion - from participating festival to a spectating festival. And the last change that occurred is the awareness of the need to develop Danoje into an international festival. This is rather a desire from the government than of the people. In 1994, Korea visiting year as an opportunity this consciousness grew active. For instance, the invitation of mass foreign folk performance in 1999 seems to conform to this policy. The intention to make Gangneung Danoje not only to represent Gangneung but also to represent Korea's folk event can be witnessed. As we enter 21st Century this inclination for international festival has strengthened. Gangneung government has shown enthusiasm to find the future of Danoje by inviting external service corps to assess Danoje. The current inclination appears to be increase its value as an international festival through UNESCO cultural property registration and having this as a foundation make Danoje become an international cultural tourist product. The judgment of this will be made after Gangneung International Folklore Festival 2004.

문화유산 관광동기에 따른 시장세분화와 문화재활용 만족도 비교연구 - 중국 대명궁과 병마용을 중심으로 - (The Market Segmentation Study in Accordance with Cultural Heritage Tourists' Motivation and A Comparative study of Satisfaction toward Cultural Heritage Utilization - Focused on The Daming Palace and The Terra Cotta Warriors in China -)

  • 팽수;교만;곽홍하;정강환;김주호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44-164
    • /
    • 2017
  • 본 연구는 중국 문화유산관광지 대명궁과 병마용을 방문한 중국관광객들을 대상으로 관광동기를 분석하였고 동기에 따른 시장세분화를 연구하였다. 그리고 대명궁과 병마용의 문화재활용 만족도 차이를 조사하였다. 관광동기 요인분석에 대한 측정변수로 사용된 14개의 문항에 대하여 요인분석 검증과 '체험성, 문화매료성, 여가신기성, 사교성' 등 총 4개 요인을 추출하였다. 그 도출된 4개의 방문동기요인은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결국 2개의 군집(문화체험동기집단, 여가사교동기집단)을 지정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라 문화유산관광객은 관광지에 대한 문화체험성을 더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문화유산관광지 문화체험성에 대해 투입한 노력이 필요하다. 대명궁과 병마용의 문화재활용 만족도 차이를 검정하기 위하여 22개의 측정항목에 대해 T-test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통해 문화재의 보존, 복원상태, 사실성, 유형문화유산 가치, 문화재에 관련 체험프로그램, 해설서비스, 안내문, 휴게시설, 기념품의 상징성, 입장료, 주변 식당과 숙박시설은 문화재활용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문화유산관광지의 관리자들이 문화재를 잘 보존하고 편의시설과 직원들의 전문성을 높이고, 방문객들이 문화재를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해설에 더욱 중점을 두어 방문경험에서 교육적인 효과를 얻었다고 느낄 수 있도록 만들 때 문화재활용의 만족도를 더욱 높일 것이다.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주부 참여가 가족에게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ousewives' Participations of a Public Library Cultural Programs Influence Their Family)

  • 홍민희;남태우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17-139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도서관에서 수행하고 있는 문화프로그램에 주부들이 참여함으로써 가족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지역의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참여 주부들을 대상으로,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주부 참여가 가족에게 미친 영향에 대한 23개의 설문항목을 통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이것을 기반으로 공공도서관의 주부대상 문화프로그램의 활성화 및 더 유용한 문화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삼고자 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 PDF

엑스포 파빌리온 공간개념의 변화에 관한 연구 - 상하이 엑스포 전시테마와 공간적 커뮤니케이션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nge of Spatial Concept in Expo Pavilions - Focus on the Space Communication with Shanghai Expo Exhibition Theme -)

  • 김경진;이경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0권3호
    • /
    • pp.33-40
    • /
    • 2011
  • The World exposition is considered as a great event to promote the cultural exchanges of their own urbanism and share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s among the various countries across the all over the world. So many countries in the world desired to host and take part in the EXPO, so far only few countries have had the chance to hold the event and show their uniqueness of urban culture, but we might say the past exhibition as those for display and publication of matters of science, technology and trade, now we must say expositions of the 21th century has come under variations on cultural and informational interchange and humanism from the global issue and problem. What makes possible to maximize the effort of reciprocal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and the public can be the EXPO event as a means of the public information of the theme and this kind of event should suggest the public a message of the topic, message, image and even more the EXPO spirits and theme as an international event gives as much considerably spreading effect as its big scale. In that aspect, the pavilion for the exhibition of EXPO and public information should be recognized as a place for smoothly forming the activities of reciprocal communication between the society and the public, with such a aspect this study, as its purpose of improving as well as communication, concerns the process in projecting the space paradigm of pavilion in the EXPO and public message and information as a means of the communication of the global the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