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ultural Capital

검색결과 353건 처리시간 0.027초

미술문화자본이 자아이미지, 관용적 태도, 관람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rtistic Cultural Capital on Self-Image, Tolerant Attitude, and Viewing Loyalty)

  • 엄명용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487-497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자본이 개인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문화자본과 관람 충성도 사이의 인과관계를 실증하는 것이다. 문화사회학적 관점에서 수행된 기존 연구들은 문화자본을 주로 사회적 불평등 문제와 연결하였기 때문에 개인적 삶과 사회적 삶에서 문화자본의 역할은 관심을 받지 못했다. 이러한 문헌적 공백을 메우고자 본 연구는 미술 영역을 중심으로 문화자본의 역할을 탐색하였다. 연구가설을 검정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이 사용되었고, 서울지역 3개 대학의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데이터가 수집되었다. 연구결과, 개인적 삶의 영역에서 미술문화자본은 자아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삶의 영역에서 미술문화자본은 관용적 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미술관 방문에 대한 호의적인 태도와 행동을 가리키는 관람 충성도는 미술문화자본에 의해서 유의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문화자본의 실제적 역할을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가진다.

외식 소비자의 문화적 자본에 따른 서비스 품질 지각과 만족 정도의 차이 연구 (A Study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erception of Service Quality and Satisfaction by the Cultural Capital of Food-Service Consumers)

  • 김재곤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144-158
    • /
    • 2009
  • 본 연구는 외식업체 이용 고객을 대상으로 획득된 문화자본의 양과 서비스 품질 지각 정도, 만족도의 차이를 규명하고, 서비스 품질과 만족도의 영향 관계를 살펴봄으로서 소비자가 원하는 서비스 품질을 제공하고, 만족도를 높이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고객 만족은 문화적 자본의 보유 정도에 많은 영향은 받지 않으나, 제도화된 문화적 자본보다 부모나 가정의 문화적 자본의 영향을 받음을 알 수있다. 둘째, 대체로 객관화된 문화적 자본의 보유 정도가 많은 집단이 적은 집단에 비해 유형성, 신뢰성, 공감성을 더 낮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체화된 문화적 자본의 보유 정도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유형성과 확신성을 더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도화된 문화적 자본의 보유 정도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모든 서비스 품질의 요인을 낮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체 서비스 품질 요인의 지각정도가 높으면 높을 수록 만족도도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패밀리 레스토랑의 고객으로 젊은 20~30대가 주 고객층을 이룬다. 따라서 외양과 분위기는 물론 고객이 공감할 수 있고, 신뢰할 수 있는 서비스 제공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또한 외식업소를 이용하는 고객에게 레스토랑의 서비스에 만족하고 재방문 욕구를 발생시켜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전문적인 지식을 갖춘 종사원들과 서비스 품질의 향상을 위해 종사원에 대한 서비스 교육을 꾸준히 해야 할 것이다.

  • PDF

문화사회학적 시각에서 본 패션의 전략적 사용 (Strategic Use of Fashion: A View from Sociology of Culture)

  • 최샛별;진기남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1권9_10
    • /
    • pp.1342-1351
    • /
    • 2007
  • Using a data set drawn from 1419 college students, this study analyzes what implications clothing or fashion has on self-expression or image management in Korean society and who are more likely to use fashion as a image management tool in the process of interacting with others. Employing Pierre Bourdieu's concept of capital, we discuss three theories concerning correspondence between class and fashion: the theory focusing on economic capital in emphasizing the correspondence; the theory focusing on cultural capital in emphasizing the correspondence and the theory emphasizing relationships between fashion and other factors rather than class. Based on the theoretical examination, we select independent variables that can be grouped into status/class variables, or economic capital variables(such as subjective status, income, father's education, father's occupation) and socio-cultural variables, or cultural capital variables(such as possession of cultural capital, desire for upward mobility). Upon regressing strategic use of fashion on independent variables, we find that both status/class variables and socio-cultural variable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explaining the strategic mobilization of fashion for one's image production or social success. It shows that class as a form of economic capital has important effects on the strategic use of fashion, and cultural capital also has effects independent of economic capital.

가정외보호아동의 사회적 자본과 문화적 자본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s of Social and Cultural Capital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Children in Out-of-Home Care)

  • 강현아;우석진;강현주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50권5호
    • /
    • pp.25-38
    • /
    • 2012
  • Drawing on social and cultural capital theory, the study investigates the influences of social capital and cultural capital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children in out-of-home care. We collected data from 494 children living in out-of-home services, including institutional care facilities, foster care homes, and group homes.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thod was used. In addition, the IV (instrumental-variables) estimation was utilized to rule out the possibility of reverse causality. The level of children's social capital was measured through children's relationships with parents and friends, parental monitoring, etc. The level of children's cultural capital was measured by their cultural activities, such as going to museums, and playing musical instruments. Children'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placement history in out-of-home services were used as control variables. We found that among personal characteristic variables, self-esteem, depression and anxiety, and delinquency affected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children. Cultural capital, but not social capital, positively affected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of the children. Based on the study results, implications for child welfare practice were discussed.

A Study on Cutural Capital Influencing Organization Performance

  • Yookyung Kim;Myoenggil Choi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9권6호
    • /
    • pp.95-122
    • /
    • 2022
  • The rapid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 spread of information,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government's start-up support policy exponentially increase the number of start-up compan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ach company's cultural capital's effect on organization performance by promoting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and forming organization habitus based on Cultural Reproduction Theory and Cultural Mobility Theory. As a result of the study, it confirm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capital,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habitus, and organization performance was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academic implications as follows: First, the field of research has expanded by studying the effects of cultural capital on business administration, which is less active than existing education and sociology. Second, it accepts and supports Cultural Reproduction Theory and Cultural Mobility Theory from different perspectives.

문화자본 격차 해소를 위한 공공도서관의 역할 (Roles of Public Libraries in Closing Disparities of Cultural Capital)

  • 이승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81-101
    • /
    • 2022
  • 일반적으로 문화자본은 개인의 문화 활동을 촉진하는 문화적 환경을 통해 형성된다고 알려져 왔다. 공공도서관은 사람들이 다양한 문화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문화자본의 형성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해 왔지만, 현재의 진화하는 문화 환경에서도 공공도서관이 여전히 문화자본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한 논란이 제기되어 왔다.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문화자본 형성에 있어 공공도서관이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문화기관으로서의 공공도서관은 문화자원에 대한 접근 및 활용, 다양한 문화 활동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다양한 유형의 문화자본 형성으로 이어지고 있다. 또한 공공도서관은 커뮤니티 구성원들이 문화자본을 형성할 수 있는 평등한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문화적 격차와 사회적 격차를 해소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소비자본, 문화자본과 문화산업 기술추격: 문화산업 기술추격의 경제이론 (Consumption Capital, Cultural Capital and Technology Catch-up in Cultural Industries: An Economic Model of Catch up in Cultural Industries)

  • 옥성수
    • 기술혁신연구
    • /
    • 제17권1호
    • /
    • pp.205-221
    • /
    • 2009
  • 1990년대 중반이후 한국의 문화산업콘텐츠 수출이 증대되는 "한류" 현상이 대두되어 세계적인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전통적인 문화산업 무역이론은 이러한 후발국으로부터 문화상품의 수출을 설명하지 못한다. 본 연구에서는 Becker의 소비자본이 기호의 형성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생산성의 향상에 기여하는 인적자본으로서의 속성을 지니고 있다는 점을 이용하여 문화산업에서 후발국의 "기술추격"을 합리화하는 이론모델을 제시하고 있다(rationalize), 본 연구는 공식모델의 비교정태 분석을 통하여 문화산업에서 후발국의 "기술추격"을 가능하게 하는 조건들을 설명하고 있다.

  • PDF

Human Capital as a Development Factor for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ies

  • Horban, Yurii;Dolbenko, Tetiana;Yaroshenko, Tetiana;Sokol, Oleksandr;Miatenko, Natalii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12spc호
    • /
    • pp.604-610
    • /
    • 2021
  • Human capital is the defining value of the national economy under market conditions. The manifestation of human capital is realized as an intellectual and creative capital, theoretically grounded and proven. The realization of intellectual capital is realized through the research creativity of scientists and researchers, and creative capital is manifested through artists and thinkers. Accordingly, creativity in market conditions forms a separate source of income and is an essential article in the formation of the GDP of the national economy.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human capital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ies. Research methods: systematization; comparative analysis of individual indicators of advanced countries of the world on the training system; statistical, taking into account macroeconomic indicators to assess the level of national creativity potential; system and logical analysis; method of information synthesis. Research results. The structural and quantitative composition of the factors of intellectual and creative capital formation has been systematized. The article proves that the unique properties of human capital, knowledge, creativity, experience and professional skills are the push factors of creativity development of the national economy and provide the priority development of creative and cultural industry that allows generating the added value on the national scale. The functions of creativity in the sphere of cultural industries are highlighted. It is noted that education and creativity of both intellectual and creative capital are the forming basis. The research of the world's advanced countries on the creativity index has pointed out the Netherlands as the leading country in the quantitative measurement of creativity. The economic development factors of the Netherlands were analyzed from the position of economic creativity, which allowed the formation of a two-factor model providing priority development of creativity in the cultural and creative industries.

Extending the Theory of Intercultural Public Relations: Influence of Power in the Intersection of Cultural Identity, Social Capital and Social Control for Korean American professionals

  • Jang, Ahnlee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6권2호
    • /
    • pp.51-64
    • /
    • 2020
  • Interviews with 17 Korean American professionals living in Korea reveal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status, cultural identities, social capital, and conflicts that arise between their understanding of American and Korean social norms. The findings indicate that social capital for Korean Americans in Korea largely comprises of their English community in Korea and the Seoul Global Center; and that their access to social capital in the Korean society, in general, is limited. As result of limited availability and accessibility of social capital, with a sense of superiority, they maintained their American identity. In terms of social control, their lack of motivation to adopt and follow Korean social norms, as well as them being from the U.S., limited changes occurred in their cultural identity. Extending previous research on the Theory of Intercultural Public Relations, the public's power allows them to maintain their cultural identity, which in turn, effect their communication process.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are discussed.

온라인 RPG에서의 문화자본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플레이 경험을 중심으로 - (Cultural Capital in Online-RPG - Focusing on experience of 'World of Warcraft' play -)

  • 최한정;유승호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95-110
    • /
    • 2019
  • 본 연구는 'World of Warcraft'를 플레이, 분석을 통하여 계급 생산/재생산을 경제적 차원에서 문화적 차원으로 확장시킨 부르디외의 문화자본 관점에서 유저 사이의 상호작용 특성을 파악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게임 능력은 체화된 객관화된 제도화된 상태의 문화자본적 속성을 보이고 있었다. 둘째, 문화자본 차이에 따른 상호작용 유형은 잠복관찰, 호혜성, 배제의 방식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게임의 공간에서 플레이 능력이 문화자본적 속성을 지니고 있으며, 게이머 간의 구별짓기적 속성으로 인해 개인의 플레이 행위가 권력축적과정과 연결되어 게임장에서의 계급재생산에 기여함을 밝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