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curbita maxima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31초

단호박 흰가루병의 약제방제 (Chemical Control of Powdery Mildew of Sweet Pumpkin in Korea)

  • 장석원;김성기;김희동
    • 식물병연구
    • /
    • 제7권1호
    • /
    • pp.31-36
    • /
    • 2001
  • 단호박 재배지별 흰가루병 발생은 1999년과 2000년 모두 정식후 80일경에 발생하기 시작하였고, 지역별 발병정도는 대구>연천>청원>여주 순이었으며, 품종간에는 단비스에서 발생이 약간 많았다. 재배형태간에는 노지재배보다 덕재배에서 병발생이 심하였다. Difenoconazole등 4약제 모두 80% 이상의 방제효과를 보였으며 특히 triforine과 triflumizole이 각각 88.5%, 89.9%로 우수한 방제효과를 나타냈다. 10a당 상품수량은 무처리 2,995kg에 비하여 triforine, triflumizole이 각각 14%, 13% 증수하였다. Triflumizole 3회, 4회 처리에서 각각 방제가 92.0%, 94.65로 높은 방제효과를 나타냈다. 10a 당 상품수량은 무처리 2,616kg에 비하여 3회, 4회 처리구에서 각각 7%, 9% 증수하였으나 3회 처리와 4회 처리간의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다.

  • PDF

한국에서 흰가루병에 대한 중복기생균 Ampelomyces quisqualis의 새로운 기주 (New Hosts of Ampelomyces quisqualis Hyperparasite to Powdery Mildew in Korea)

  • 이상엽;김용기;김홍기;신현동
    • 식물병연구
    • /
    • 제13권3호
    • /
    • pp.183-190
    • /
    • 2007
  • 우리나라에서 1994년부터 2004년까지 73 식물체의 흰가루병균으로부터 중복기생균 Ampelomyces quisqualis를 308 균주 분리하였다. 그중에서 A. quisqualis의 새로운 균기주(mycohost)와 식물기주(plant host)는 38 식물체에서 흰가루병균 8 속(Erysiphe, Sphaerotheca, Microsphaera, Phyllactinia, Podosphaera, Uncinula, Uncinuliella, Oidium) 13종이 발견되었다. A. quisqualis의 새로 발견된 기주는 어수리의 흰가루병균(Erysiphe heraclei), 꽃향유의 흰가루병균(E. hommae), 콩의 흰가루병균(E. glycines), 싸리의 흰가루병균(E. lespedezae), 모시물퉁이의 흰가루병균(E. pileae), 녹두의 흰가루병균(E. pisi), 토대황과 소리쟁이의 흰가루병균(E. polygoni), 쑥의 흰가루병균(Golovinomyce artemisiae), 삼잎국화의 흰가루병균(G. cichoracearum), 꼭두서니의 흰가루병균(G. rubiae), 쥐오줌풀, 가는잎왕고들빼기, 두메담배풀, 흰까실쑥부쟁이, 수세미오이, 씀바귀, 풀협죽도, 도깨비바늘과, 담쟁이덩굴의 흰가루병균(Oidium sp.), 갈참나무의 흰가루병균(Microsphaera alphitoides), 댕댕이덩굴의 흰가루병균(M. pseudolonicerae), 쥐똥나무의 흰가루병균(Podosphaera sp.), 딸기의 흰가루병균(Sphaerotheca aphanisi), 물봉선의 흰가루병균(S. balsaminae), 국수호박, 쥬키니호박, 단호박, 관상용호박, 곰취, 가지, 박, 참외, 깨풀, 코스모스와 참취의 흰가루병균(S. fusca), 찔레꽃의 흰가루병균(Uncinuliella simulans)과 배롱나무의 흰가루병균(Uncinula australiana)이다.

호박분말 효소가수분해물의 항산화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in Enzymatic Hydrolysates of Pumpkin Powder (Cucurbita spp.))

  • 오창경;김명철;오명철;양태석;현재석;김수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72-178
    • /
    • 2010
  • 본 연구는 늙은호박, 단호박 및 애호박을 다양한 탄수화물 분해효소로 소화하여 조제한 효소가수분해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조회분, 조단백질 및 조섬유는 애호박이 높았으며, 탄수화물은 단호박이 높았고, 조지방은 서로 비슷하였다. 애호박 분말의 모든 효소처리군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늙은호박과 단호박의 가수분해물에 비하여 좀 더 높았다. 애호박 분말의 AMG와 Termamyl 소화로 조제된 효소가수분해물의 DPPH 유리기 소거활성 또한 늙은호박 및 단호박에 비하여 매우 높게 나타났다. 한편, Visozyme 처리 가수분해물을 제외한 늙은호박과 단호박의 대부분 가수분해물은 애호박보다 더 높은 superoxide anion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애호박 가수분해물(Ultraflo 예외)의 hydrogen peroxide 소거활성은 다른 호박의 효소 분해물 보다 약간 높았으나, hydroxyl radical 소거활성은 모든 호박 품종에서 14% 미만으로 낮았다. Nitric oxide 소거활성은 단호박 및 애호박의 Viscozyme 분해물에서 매우 효과적이었으며, 다른 효소가수분해물의 경우에도 BHT보다는 낮았으나 $\alpha$-tocopherol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농업유전자원센터 호박속 자원의 구분 및 특성 (Historical Classification and Evaluation Character of Pumpkin and Squash Genetic Resources (Cucurbita spp.) Reserved in National Agrobiodiversity Center)

  • 유은애;조규택;현도윤;이경준;장익;이승범;이정윤;김성훈;이수경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9-39
    • /
    • 2020
  • 호박(Cucurbita spp.)은 박과 호박속 식물로 원산지는 열대 남아메리카로 추정되며 1년생 혹은 다년생 초본으로서 우리나라를 포함한 전 세계에서 널리 분포하고 있다. 호박은 비타민A와 비타민C가 풍부하고 이뇨작용 효과가 탁월해 피부를 좋게 하고 부기를 빼주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유전자원센터에서 보유한 호박속 자원의 내력과 형태적인 특성을 그룹화하여 자원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농업유전자원센터에서 보유한 호박속 등록자원은 총 5종(C.pepo, C. moschata, C.maxima, C.argyrosperma, C .ficifolia) 1,640자원으로 주요 원산지는 한국 589자원(35.9%), 미국 122자원(7.4%), 러시아 79자원(4.8%), 멕시코 49자원(4.2%), 터키 56자원(3.4%)이었으며 국내 원산의 경우 강원도에서 수집된 자원이 66자원으로 가장 많았다. 전체 1,640 자원 중 재래종은 733자원(44.7%)을 차지하였으며 다음으로는 육성품종이 133자원(8%)으로 많았다. 생장형이 조사 된 301자원 대부분이 덩굴성이며 준왜성 16자원, 왜성 14자원이 있었다. 호박은 과실 모양과 색, 잎 모양, 줄기 모양 등 생육 특성이 매우 다양하게 조사 되었으며 과경 등 몇 가지 특징은 완벽하지 않지만 종(species)을 구분하는 간이적인 지표로 사용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흰가루병 저항성 자원은 조사 된 1,170 자원 중 우리나라 재래종인 참호박(IT104575)을 포함한 7자원이 조사되었다. 293개 자원의 과실당도는 2.2~15.4brix까지 다양했으며 당도 12brix 이상 자원은 IT200650을 포함하여 6자원이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호박속 자원의 내력 및 생육 특성은 육종소재의 기초 정보로서 이용되고 있으며 자원 내력정보의 보완, 형질과 기능성 물질 분석 등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연구소재의 기초 정보로서 활용의 가치가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 PDF

Effects of Dietary Fiber Extracted from Pumpkin (Cucurbita maxima Duch.) on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Reduced-Fat Frankfurters

  • Kim, Cheon-Jei;Kim, Hyun-Wook;Hwang, Ko-Eun;Song, Dong-Heon;Ham, Youn-Kyung;Choi, Ji-Hun;Kim, Young-Boong;Choi, Yun-Sa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309-318
    • /
    • 2016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reducing fat levels from 30% to 25, 20, and 15% by substituting pork fat with water and pumpkin fiber (2%) on the quality of frankfurters compared with control. Decreasing the fat concentration from 30% to 15% significantly increased moisture content, redness of meat batter and frankfurter, cooking loss, and water exudation, and decreased fat content, energy value, pH, and lightness of meat batter and frankfurter, hardness, cohesiveness, gumminess, chewiness, and apparent viscosity. The addition of 2% pumpkin fiber was significantly increased moisture content, yellowness of meat batter and frankfurter, hardness, cohesiveness, gumminess, chewiness, and apparent viscosity, whereas reduced cooking loss and emulsion stability. The treatment of reduced-fat frankfurters formulated with 20 and 25% fat levels and with pumpkin fiber had sensory properties similar to the high-fat control frankfurters.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when the reduced-fat frankfurter with 2% added pumpkin fiber and water replaces fat levels can be readily made with high quality and acceptable sensory properties.

감자와 단호박에서 분리한 Verticillium tenerum의 동정 (Identification of Verticillium tenerum Isolated from Potato and Pumpkin in Korea)

  • 현익화;허노열;류경열;김종태;장서연
    • 한국균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45-49
    • /
    • 2004
  • 2003년 4월부터 11월에 수집한 감자와 단호박 시료에 발생하는 진균을 조사한 결과,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발생기록이 없었던 Verticillium tenerum이 검출되었다. 이 균은 강원 평창과 전북 김제지역에서 수집한 감자괴경 시료와 연천지역에서 수집한 단호박 과실 및 종자 시료에서 검출되었다. V. tenerum의 분생포자경은 주로 $3{\sim}5$개의 피알라이드를 윤생으로 형성하였다. 피알라이드는 플라스크형으로 가늘었으며 무색이었고, 크기는 $10{\sim}26{\times}2{\sim}5\;{\mu}m$이었다. 분생포자는 난형 또는 장타원형으로 크기는 $2.5{\sim}7.5{\times}2{\sim}4\;{\mu}m$였고 slimy head를 형성하고 연한 적갈색을 띠었다. 그리고 감자와 호박 시료 위에 적갈색을 띠는 독특한 균총을 형성하였다.

최소가공 단호박 (Cucurbita maxima Duchesne) 제품의 저장 중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inimally Processed Sweet-pumpkin during Storage)

  • 이진숙;박연주;황태영;김인호;김수일;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6-10
    • /
    • 2003
  • 각종 전처리 및 진공포장이 최소가공한 단호박 제품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ascorbic acid, citric acid, NaCl, MgC1$_2$및 이들의 혼합조성물(1:1:1:1)을 슬라이스와 채썰기로 최소가공한 단호박에 처리하여 진공 포장한 후 저온저장 하였다. 최소가공 처리에 따른 저장 중 중량감소율은 모든 처리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슬라이스 처리시 보다 채썰기한 경우 더욱 크게 나타났다. 한편 ascorbic acid 처리구는 전 시료 중에서 가장 큰 중량감소율을 나타내었으며 저장 10일경에 가장 현저한 중량감소율을 보였다. 갈변저해 효과는 슬라이스의 경우 ascorbic acid와 NaCl 및 MgC1$_2$로 처리한 구가, 채썰기의 경우 혼합조성물과 ascorbic acid가 가장 효과적이었다. 저장 중 과육의 경도는 증감을 반복하고 있으나 결론적으로 저장 후기에는 저장 초기에 비해 경도가 감소하였으며 절단 형태에 따라 다른 양상을 나타내어, 슬라이스의 경우 전처리를 행한 경우 오히려 경도가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으나 채썰기한 경우 전처리를 행할 경우 경도가 감소가 현저하였다. 최소가공 단호박의 호흡 양상을 살펴보면 이산화탄소의 발생량은 citric acid를 처리한 경우 가장 많았으며 이는 산소 소모량도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ascorbic acid의 경우 저장 초기에는 호흡률이 높았으나 저장 후기로 갈수록 오히려 완화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전라북도 지역의 주요 특산물 중 식품에 대한 조사 (A Survey on Foods of Principal Products in Jeollabukdo Area)

  • 김정옥;최차란;신말식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5권5
    • /
    • pp.493-503
    • /
    • 2005
  • This surve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specialities which cultivated importantly in Jeollabukdo area in order to understand food culture of this area. Foods in speciality were divided into 4 groups, agricultural, aquatic, animal and the others products. Total number of 93 species of specialities, including 40 species of agricultural products, 29 species of aquatic products, 8 species of animal products and 16 species of the miscellaneous products, were identified from Jeollabukdo area. Especially, there were various fruits and vegetables among agricultural products and fishes among aquatic products in this region. Rice, pepper, pear, Mandarin fish, beef, pine mushroom, lentinus edodes and honey were determined as specialities in Jeollabukdo area. Various aquatic products were specialities in Gochang, Gunsan, Buan and Gimje region. Fruits, mushrooms, wild edible greens and animal products were specialities in Muju, Jangsu, Jeongeup and Jinan. Sweet fish, cat fish and freshwater crab were caught off in Sumjin river region only such as Namwon, Sunchang and Imsil, Recently, pumpkin(Cucurbita maxima) and paprika were determined as specialities in Jeollabukdo. In case of aquatic products, mushrooms and wild edible greens, their wild type products decreased, while cultivated type increased Commercialization by brand naming of agricultural and animal products were rapidly increasing. The kinds of specialities in Jeollabukdo area were changing by the influence of geographical, religious and social factors.

  • PDF

Effects of Pumpkin (Cucurbita maxima Duch.) Fiber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hicken Frankfurters

  • Choi, Yun-Sang;Kim, Hyun-Wook;Hwang, Ko-Eun;Song, Dong-Heon;Park, Jae-Hyun;Lee, Soo-Yeon;Choi, Min-Sung;Choi, Ji-Hun;Kim, Cheon-Jei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74-183
    • /
    • 2012
  • The effects of dietary fiber extracted from pumpkin (pumpkin fiber)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textural propertie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hicken frankfurters were investigated. Chicken frankfurter was supplemented with pumpkin fiber at levels of 0, 1, 2, 3, and 4%. Adding different levels of pumpkin fiber affected the proximate composition of the chicken frankfurters (p<0.05), except for protein content. In addition of different levels of pumpkin fiber influenced the physicochemical and textural properties of the chicken frankfurters (p<0.05). The yellowness, viscosity, and hardness were higher in chicken frankfurters samples containing pumpkin fiber than those in the control (p<0.05). The results showed that chicken frankfurter samples with higher pumpkin fiber levels had lower lightness values (p<0.05), as well as less cooking loss, emulsion stability, and lower color scores (p<0.05) compared to those control without pumpkin fiber treatment. The chicken frankfurters with 2% and 3% pumpkin fiber had higher overall acceptability than that of the control (p<0.05). The results show that adding pumpkin fiber produced acceptable chicken frankfurters and improved their quality characteristics.

식용식물 추출물로부터 콜레스테롤 합성 저해제의 검색 및 분리 (Screening and Characterization of Anticholesterogenic Substances from Edible Plant Extracts)

  • 박정로;박종철;최성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36-241
    • /
    • 1997
  • 일부 식용식물 추출물의 HMG-CoA reductase 저해 활성을 탐색한 결과 파, 마늘, 호박의 물 추출물에서 $10{\sim}14%$의 저해활성이 관찰되었고 그외 부추, 생강 등의 물 추출물도 약간의 저해활성을 보였다. Methanol 추출물의 경우는 참취, 마늘, 생강, 미나리, 신선초 등에서 $51{\sim}29%$의 강한 저해활성이 관찰되었고, 그 외 느타리, 호박, 양송이, 고추, 토란줄기, 부추, 당근 등에서도 $12{\sim}3%$의 저해활성이 나타났다. 저해활성이 비교적 높은 신선초의 methanol 추출물을 극성의 차이에 따라 chloroform, ethyl acetate, n-butanol, 물층의 순서로 분획하여 각 분획별로 HMG-CoA reduct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ethyl acetate 분획에서 가장 높은 저해 활성이 관찰되었으며 n-butanol, chloroform, 물층에서도 비교적 높은 저해 활성이 보였다. 신선초의 methanol 추출물 분획 중 HMG-CoA reductase 저해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난 ethyl acetate 분획을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hyperoside와 luteolin $7-O-{\beta}-D-glucoside$를 순수 분리하여 HMG-CoA reduct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luteolin-7-O-glucoside는 $30{\mu}M$ 농도에서 65.5%의 강한 저해활성을 보였고 hyperoside는 14.8%의 비교적 약한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