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eative Convergence

검색결과 855건 처리시간 0.033초

최신 분산 그래프 처리 시스템에서의 PageRank/BFS 질의 처리 성능 평가 (Experimental Evaluation of PageRank/BFS Queries on Distributed Graph Processing Systems)

  • 이경준;김현지;이유경;이준영;김강수;한욱신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826-828
    • /
    • 2017
  • 그래프는 객체와 객체 간의 관계를 표현하는 데에 있어 효과적인 데이터 표현 방법이다. 그래프 데이터는 웹 그래프, 사회 관계망 서비스, 신약 개발, 생명정보학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그래프 마이닝 응용에서 활용되기 위한 효율적인 처리 기술을 필요로 한다. 최근까지 그래프 데이터의 처리 및 분석을 위한 많은 시스템들이 개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최신 분산 그래프 처리 시스템 중에서 대표적인 그래프 분석 질의인 페이지랭크(pagerank)와 너비 우선 탐색(breadth first search)를 수행하고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한다.

간호대학생을 위한 창의성기반 창의융합교과목 개발 (Development of Creativity-based Creative and Convergence Subject for Nursing University Students)

  • 최미정;진상우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83-91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을 위한 창의성 기반 창의융합교과목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Bobbitt의 교육과정 개발 모형에 의해 요구분석, 교육목표 설정, 교육목표 세분화, 교육내용 선정 및 조직의 과정을 거쳐 교과목 내용을 선정하고 전문가의 타당도 검증과정을 거쳐 창의융합교과목을 개발하였다. 창의융합교과목은 이론적 검토를 통해 창의성을 중심으로 다른 분야와 융합하는 교육내용을 구성하였으며 2학점의 교양교과목으로 제시하였고, 교육방법으로서 블랜디드 러닝을 활용한 온라인 수업과 팀별활동 중심의 오프라인 수업을 제시하였다. 또한, 교과과정을 이해, 적용, 종합·심화로 구분하여 학생들이 창의 융합적 사고의 개념을 이해하고 사고기법 및 전략학습 과정을 통해 적용하고 팀별 프로젝트를 통해 창의융합적 사고력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하였다.

Metabolomic analysis of healthy human urine following administration of glimepiride using a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 Do, Eun Young;Gwon, Mi-Ri;Kim, Bo Kyung;Ohk, Boram;Lee, Hae Won;Kang, Woo Youl;Seong, Sook Jin;Kim, Hyun-Ju;Yoon, Young-Ran
    • Translational and Clinical Pharmacology
    • /
    • 제25권2호
    • /
    • pp.67-73
    • /
    • 2017
  • Glimepiride, a third generation sulfonylurea, is an antihyperglycemic agent widely used to treat type 2 diabetes mellitus. In this study, an untargeted urinary metabolomic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endogenous metabolites affected by glimepiride administration. Urine samples of twelve healthy male volunteers were collected before and after administration of 2 mg glimepiride. These samples were analyzed by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LC-MS/MS), and then subjected to multivariate data analysis includ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orthogonal partial least squares discriminant analysis. Through this metabolomic profiling, we identified several endogenous metabolites such as adenosine 3', 5'-cyclic monophosphate (cAMP), quercetin, tyramine, and urocanic acid, which exhibit significant metabolomic changes between pre- and posturine samples. Among these, cAMP, which is known to be related to insulin secretion, was the most significantly altered metabolite following glimepiride administration. In addition, the pathway analysis showed that purine, tyrosine, and histidine metabolism was affected by pharmacological responses to glimepiride. Together,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pharmacometabolomic approach, based on LC-MS/MS, is useful in understanding the alterations in biochemical pathways associated with glimepiride action.

대학의 융복합 수업이 학습자의 창의적 발상에 미친 사례 연구 : '우디'의 인디게임 개발 일지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f University Convergence Classes on Learners' Creative Ideas : Focusing on the development journal of the indie game of 'Woody')

  • 김성희;이경욱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53-160
    • /
    • 2021
  • 최근 대학에서는 뉴노멀(new-normal)시대, 빅데이터를 기초로 AI시대에 필요한 융복합적 사고, 창의적 사고를 하는 학습자 양성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대학의 교육적 필요가 충족되기 위해 필요한 과학교양교육의 확대방안을 제안하려고 한다. 이를 위해서 첫째 대학의 융복합 교육현황과 학습자의 창의적 발사에 필요한 요소를 살펴보았다. 둘째, 대학의 융복합 강좌를 수강한 학습자가 융복합적 사고, 창의적 사고, 게이미피케이션이 구현된 의 개발 사례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대학의 융복합 수업이 학습자의 창의적 발상과 그 역량 강화를 제고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과학교양교육의 교육과정을 재구성해서 운영하는 방법이 있다.

커뮤니케이션 융합플랫폼의 크리에이티브 전략과 개인적 성향에 따른 광고효과 (Ads Impact of Communication Convergence Platform's Creative Strategy and Personal Attributes)

  • 김재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99-107
    • /
    • 2020
  • 밀레니얼 하이 테크 미디어의 개인화된 특성은 기존의 정형화된 크리에이티브 문법을 깨트리고 있다. 파괴적인 하이 테크 미디어의 정보 형태는 소비자의 성향이나 특성에 따라 상이하게 수용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하이테크 미디어의 효율적인 크리에이티브 전략 수립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탐색해 보는데 있다. 소비자의 심리적 성향에서 소비자 혁신성은 하이 테크 미디어의 크리에이티브를 평가하는데 핵심적인 요인이다. 소비자의 혁신성과 하이 테크 미디어의 크리에이티브 유형에 대한 설득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알아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구체적(추상적) 크리에이티브 유형은 혁신성이 낮은 소비자보다 혁신성이 높은 소비자에게 광고에 대한 태도, 브랜드 태도, 구매의도 그리고 구전의도에서 높게 나타났다.

미디어 융합 환경 하에서 창의적인 콘텐츠 생산그룹의 구성에 관한 연구 (Constructing Content Producing Group with Creativity under Media Convergence Environments)

  • 김중규;이창훈;장영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7권3호
    • /
    • pp.137-146
    • /
    • 2009
  • This paper aims to propose a framework of content creating group with creativity under new convergence environments. The framework is built based on content concept hierarchy(deep/surface) relating with the creativity of group members. The diversity of group members(potential creativity) decrease and change into creative abilities in one unified view at each content concept hierarchy in time. To do this, three methods of building a creative group(interaction-base, direction-base, hybrid) are proposed. Cooperating processes and operators are designed to promote creative abilities in the content producing group. These cooperations are considering new media convergence industry's job road map(IPTV) and fundamental content attributes(semantic, narrative, discourse). In the framework, creative content is produced with the help of member's cultural openness, media richness and synchronicity, hierachical adaptability on dissimilarity. Deep level creativity of cognitive semiotics on moving image content is composed of psychological, transformational, situational creating abilities in the structure of group members. Designing analogy, metaphor, symbol operators help members to traverse deep structure of content concept hierarchy. Our framework has strong points to relate fundamental content deep structure with structure of content producing group and to induce creativity on cognitive structure of human being.

  • PDF

Role of polyethylene glycol (PEG) linkers: trends in antibody conjugation and their pharmacokinetics

  • Kondapa Naidu Bobba;Abhinav Bhise;Subramani Rajkumar;Woonghee Lee;Jeongsoo Yoo
    • 대한방사성의약품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55-164
    • /
    • 2020
  • Polyethylene glycol (PEG) has been the most commonly used polymer for the past few decades in the field of biomedical applications due to its gold standard stealth effect. PEGylation of antibody-drug conjugates, liposomes, peptides, nanoparticles, and proteins is done to improve their pharmaceutical efficacy and pharmacokinetic properties. PEGylation of antibodies with various PEG linkers improves targeting ability by increasing the blood circulation time and thus enhances the biodistribution profiles. It also assists in minimizing the immediate capture by the reticuloendothelial system. In this review, we summarize the effect of PEG linkers in an antibody conjugation and their pharmacokinetics in the field of biomedical imaging.

사이징제에 따른 유리섬유/폴리디사이클로펜타디엔 복합재료의 계면물성 및 기계적 물성 평가 (Evaluation of Interfaci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GF/p-DCPD Composites with Different Sizing Agents)

  • 김종현;권동준;신평수;박하승;백영민;박종만
    • Composites Research
    • /
    • 제31권2호
    • /
    • pp.57-62
    • /
    • 2018
  • 순수한 유리섬유와 두 가지 사이징제가 코팅된 유리섬유/폴리디사이클로펜타디엔(p-DCPD) 복합재료의 계면물성 및 상온($25^{\circ}C$)과 저온($-20^{\circ}C$)에서의 기계적 물성을 평가하였다. 섬유의 사이징제를 용출하기 위하여 아세톤을 이용하였고, 용액을 건조 후 각각의 용출물에 대하여 적외선 분광 분석을 통해 비교하였다. 동적접촉각 측정을 통하여 섬유와 p-DCPD의 표면에너지를 분석하였고 이를 통하여 접착일을 계산하였다. 서로 다른 유리섬유의 기계적 물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단섬유 인장실험을 진행하였고, 단섬유와 p-DCPD의 계면적 물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반복인장하중실험을 진행하였다. 상온 및 저온에서의 기계적 물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인장, 굴곡, 아이조드 충격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결과 표면의 인자에 따라 계면 및 기계적 물성이 달라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열 성형 온도 및 시간에 따른 탄소섬유 강화 재활용 PET 복합재료의 계면 및 기계적 물성 비교 (Comparison of Mechanical and Interfacial Properties of Carbon Fiber Reinforced Recycled PET Composites with Thermoforming Temperature and Time)

  • 백영민;신평수;김종현;박하승;권동준;박종만
    • Composites Research
    • /
    • 제30권3호
    • /
    • pp.175-180
    • /
    • 2017
  • 탄소섬유 강화 복합재료는 가볍고, 우수한 물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 수요는 급격하게 증가되고 있다. 그에 따라, 탄소섬유 강화 복합재료의 기지로 재활용이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한 복합재료 연구를 많이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재활용 PET를 이용하여 재활용 복합재료에 대한 활용성 평가를 하였다. PET는 음료수 병으로 활용되는 폐기물을 수집하여 PET 필름을 제조하는 과정을 거쳤으며, PET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성형 온도와 시간의 차이에 따른 기계적 물성을 비교하여 최적의 성형온도와 시간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재활용 PET 필름과 탄소섬유 매트를 이용하여 CF/PET 복합재료를 최적으로 성형하기 위한 변수를 관찰하였다. 성형 조건에 따른 기계적 물성을 굴곡시험으로 확인하였고, PET 필름이 탄소섬유 매트 내에 함침 되는 정도를 단면 사진으로, 그리고 계면 성질을 층간전단강도로 평가하였다. 궁극적으로 최적의 기계적 물성을 가지는 CF/PET 복합재료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 조건이 $270^{\circ}C$와 5분임을 확인했다.

경화제의 분자량에 의한 가교밀도 차이에 따른 복합재료의 계면 물성 및 RTM 성형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terfacial Properties and RTM Process of Composites with Different Cross-linking Density by Molecular Weight of Hardener)

  • 박하승;신평수;김종현;백영민;권동준;박종만
    • Composites Research
    • /
    • 제30권3호
    • /
    • pp.169-174
    • /
    • 2017
  • 유리섬유(GF) 강화 복합재료는 금속에 비해 경량화의 장점으로 인해 기체 부품 산업의 높은 성장률과 방산 산업의 발전으로 수요는 증가되고 있으며 제품의 형태를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는 RTM 공정으로 산업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화제의 분자량에 의한 가교 밀도 차이에 따라 변화되는 RTM의 성형성과 복합재료의 기계적 물성 및 계면 물성의 차이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동일한 에폭시를 사용하였으며 유사한 화학 구조의 경화제를 이용하였다. 시편은 RTM 공법으로 제작하였으며 기지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점도 측정 및 기지 주입시간을 측정하였다. 유리 섬유/에폭시 복합재료의 기계적 물성을 실험하여 굴곡 강도를 측정하였으며 계면 물성을 평가하기 위해 층간전단강도(ILSS)와 계면전단강도(IFSS)를 측정하였다. RTM 공정 시 기지의 점도에 의해 섬유의 함침정도에 따라 복합재료의 섬유 무게 분율(wt %)은 변화되고 이에 따라 유리섬유/에폭시 복합재료의 기계적 물성의 차이가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