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smeceutical activity

검색결과 217건 처리시간 0.031초

Persicae semen의 화장품 약리활성에 관한 연구 (Cosmeceutical activities of Persicae semen)

  • 조우아;안봉전;이창언;장민정;천순주;성지연;최은영;강보연;정연숙;김영선;이진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9권2호
    • /
    • pp.135-139
    • /
    • 2006
  • 본 논문은 도인(桃仁)(Persicae semen)의 화장품 약리활성으로 항산화 효과, tyrosinase 억제효과, 아질산염 소거능를 살펴보았다. 도인(桃仁)은 도인 전체, 껍질, 껍질을 제외한 알맹이로 각각 나누어 사용하였다. 도인(桃仁) 껍질 열수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은 1,000 ppm에서 각각 89%, 87%이상의 전자 공여능을 나타내어 같은 농도의 BHA에 비해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SOD 유사활성실험에서 10,000 ppm의 BHA가 89%, 도인(桃仁) 껍질 열수 추출물은 93%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Xanthine oxidase 억제실험에서는 1,000 ppm의 BHA가 27%의 효과를 나타내었고, 도인(桃仁) 껍질 에탄올 추출물은 62%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Tyrosinase 억제실험에서 도인(桃仁) 전체, 껍질, 알맹이 에탄올 추출물 10,000 ppm에서 모두 98%이상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1,000 ppm의 도인껍질 에탄올 추출물에서 96%의 아질산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통해 도인(桃仁)의 화장품 천연소재로써 응용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정금나무(Vaccinium oldhami) 열매의 항산화 효과 (The Anti-Oxidant Effect of Extracts from the Vaccinium oldhami)

  • 채정우;공혜진;이미지;박정연;김지향;김영훈;이창언;김경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8호
    • /
    • pp.1235-1240
    • /
    • 2010
  • 천연물들은 현재까지 합성 항산화제들을 대체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천연 항산화제로서 화장품과 바이오산업에 적용하기 위해 정금나무 열매 70% 아세톤 추출물의 항산화능을 측정하였다. 정금나무 열매의 항산화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폴리페놀의 함량을 측정, 전자공여능, $ABTS{\cdot}^+$, nitric oxide, hydrogen peroxide들의 소거 측정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폴리페놀의 총 함량은 55.972 mg TAE/g로 정량 되었다. 전자공여능 실험에서는 농도 의존적으로 DPPH radical 소거능이 증가 하였으며 500 ${\mu}g/ml$에서 98%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어 양성 대조군인 BHA의 활성을 초과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BTS{\cdot}^+$에 대한 소거활성은 500 ${\mu}g/ml$에서 66.7%의 결과로 나타났고, nitric oxide radical 소거능은 100 ${\mu}g/ml$에서 57%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정금나무 열매 70% 아세톤 추출물의 hydrogen peroxide의 소거활성은 50 ${\mu}g/ml$에서 정금나무 열매 추출물은 70% 이상의 활성을 나타났으며, BHA 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천연물의 산업화 가능성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재료의 영속적인 수급과 적은 농도를 첨가하여도 높은 효과를 나타내는지의 여부이다. 매년 수확이 가능한 정금나무 열매를 이용한 본 연구의 결과에서 열매의 항산화능 확인 및 화장품 등 바이오산업에 천연항산화제 원료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지-청열소독음(淸熱消毒飮)의 항산화 및 항염 효능에 관한 연구 (Study on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Eggplant-cheongyeolsodokum)

  • 윤종문;김동인;이지혜;한소정;김하은;김현정;남규우;박지연;지경엽;안봉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25-135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8가지 한약재(가지, 금은화, 감초, 천궁, 당귀, 황련, 치자, 연교)로 구성된 가지청열소 독음의 항산화 효과와 항염증 효과를 검증하여 효과적인 화장품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한약재의 구성과 비율은 동의보감에 수록된 청열소독음(淸熱蘇毒飮) 처방을 변형시켜 사용하였고 추출은 열수와 70% 에탄올로 하여 동결건조 분말화하였다. 항산화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라디칼 소거능력(DPPH, $ABTS^+$, superoxide), superoxide dismutase (SOD)유사활성능력, 총 폴리페놀 화합물 함량을 조사하였고 항염증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LPS (lipopolysaccharide)로 염증반응을 유도시킨 RAW264.7 대식세포에서의 nitric oxide(NO)생성 저해력과 western blot 분석을 통한 염증 관련 단백질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와 cyclooxygenase (COX-2)의 발현 저해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가지청열소독음은 뛰어난 항산화 효과와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었고 화장품을 위한 효과적인 성분으로 사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소엽(蘇葉)의 화장품 천연소재 활용(活用)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Application for Cosmetics Natural Materials of Folium Perillae)

  • 조우아;최은영;정수현;강보연;손준호;안봉전;이창언;정연숙;최경임;손애량;이진태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7
    • /
    • 2005
  • Objectives : In this study, Folium Perillae were examined the possibility to apply as the cosmetics natural materials. Methods : Normal skin softener containing Folium Perillae extracts was manufactured and then its physiological activities function was experimented on. And emollient lotion containing Folium Perillae extracts was manufactured and then it was left under the condition of $-10^{\circ}C,\;0^{\circ}C$, room temperature and $37^{\circ}C$ for a month. Then its stability and safety were tested. Results :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function of the normal skin softener was almost same with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SOD like activity and xanthine oxidase inhibitory effect of Folium Perillae extracts. To find the changes of emollient lotion containing Folium Perillae extracts, the emollient lotion was left under the condition of $-10^{\circ}C,\;0^{\circ}C$, room temperature and $37^{\circ}C$ for a month. Then, when the emollient lotion was observed with the naked eye, pH, viscosity and particle diameter were measured, its changes were not nearly found. Futhermore, as a result of doing patch test to identify the safety of emollient lotion containing Folium Perillae extracts, there was no stimulus on skin. Conclusions :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expected that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Folium Perillae extracts can be maintained when cosmetics containing Folium Perillae extracts are manufactured. And it was proved that Folium Perillae extracts didn't affect the change of cosmetic when they were applied to cosmetic materials. And it was concluded that emollient lotion containing Folium Perillae extracts was safe for skin.

  • PDF

코스메슈티컬 적용을 위한 흑호두 과피의 생리학적 연구 (Physiological Study of the Extract of Junglans nigra Shells for the Cosmeceutical Application)

  • 이현주;옥승호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29-36
    • /
    • 2021
  • 천연물 중 시판되지 않고 대부분 버려지는 흑호두(Juglans nigra) 과피를 추출하여 화장품 적용 가능성과 생리 활성 및 효능을 조사하였다. 흑호두 과피 열수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300㎍/mL에서 76.06%였으며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1000 ㎍/mL에서 61%로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흑호두 과피 추출물을 피부 각질 세포인 HaCaT 세포에 적용했을 때 250 ㎍/mL에서 92.6%로 세포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이 현저히 낮았고 500 ㎍/mL 농도에서 67.35%의 nitric oxide(NO) 생성이 억제되었으며 100 ㎍/mL 농도에서 비타민 C보다 31배 더 높은 Hyaluronidase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흑호두 과피 추출물은 코스메슈티컬 응용 및 식품, 향료, 헬스 케어, 제약 등 다양한 산업에서 고부가 가치 천연 소재로 활용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재활용 플라스틱 펠렛과 벨벳콩(Mucuna pruriens)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 상관관계 검증 (Verification of Recycled Plastic Pellets and Mucuna pruriens Extracts Correlation of Antioxidant Efficacy)

  • 한동근;배민준;갈격;김현정;김세기;안봉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29-38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재활용 플라스틱 펠렛과 벨벳콩(Mucuna pruriens)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 안정도에 대한 상관관계를 검증하였다. 재활용 플라스틱 펠렛을 벨벳콩 추출물에 침지 시킨 다음 다양한 온도 조건에서 30일간 보관한 후 DPPH radical 및 ABTS+ radical 소거능, SOD 유사 활성,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기존 효능에 대비하여 DPPH radical 소거능은 ECOTRIA, PCR-PP 펠렛에서 30% 미만의 활성변화를 나타내었으며, Grico 펠렛에서 46.06%의 가장 큰 활성 감소가 확인되었다. ABTS+ radical 소거능 측정결과, 모든 펠렛에서 5% 미만의 효능 변화가 확인되었다. SOD 유사 활성을 측정한 결과, 모두 30% 이상의 활성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결과, 모든 펠렛에서 기존 함량 대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재활용 플라스틱 펠렛에 의한 벨벳콩 추출물의 생리활성 감소 및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재활용 플라스틱 펠렛은 벨벳콩 추출물이 지닌 기존 효능 및 활성의 안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산벚나무(Prunus sargentii R.) 수피의 화장품활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smeceutical activities of Prunus Sargentii R.)

  • 박정미;이진영;박태순;현석준;김한혁;조영제;권오준;손애량;김동석;안봉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1권1호
    • /
    • pp.70-78
    • /
    • 2008
  • 산벚나무는 장미과에 속하는 것으로, 수피인 화피의 radical 소거능과 항염증 효과가 보고되고 있어, 이를 이용하여 화장품 원료로 이용하고자 생리활성을 검증하였다. 전자공여능은 에탄올추출물 500 ppm에서 92%의 효능을 보여 열수추출물 59% 보다 우수하였고, SOD 유사활성의 경우 열수추출물 1,000 ppm에서 에탄올추출물의 경우는 50%의 활성능을 나타내었다. xanthine oxidase 저해능은 500 ppm의 농도에서 열수추출물의 경우 40%, 에탄올추출물의 경우 60%의 저해능을 나타내었다. 지방산패 억제능 측정의 경우 $Cu^{2+}$에 의한 저해 효과는 열수추출물보다 에탄올추출물의 효과가 높았으며, $Fe^{2+}$에 의한 저해 효과는 열수와 에탄올추출물 모두 500 ppm에서 80% 이상의 저해능을 보였다. 피부미백과 관련된 tyrosinase 저해능의 경우 1,000 ppm에서 열수추출물의 경우는 26%, 에탄올추출물의 경우 20%의 저해능을 보였다. 항염증과 관련된 hyaluronidase 저해능의 경우 500ppm에서 에탄올추출물의 경우 96%의 효능을 보였다. 산벚나무 수피추출물의 피부상재균인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epidermidis, Escherichia coli 및 Propionibacterium acne에 대한 저해환형성을 관찰한 결과 열수추출물보다 에탄올추출물의 효능이 더 우수하였다.

청태전(Chungtaejeon Tea)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 (Analysis of Antioxidant Activity, Total Phenol Content, and Flavonoid Content of Chungtaejeon Tea Extracts)

  • 갈 격;한동근;김현정;최은영;안봉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57-364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청태전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관련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가치를 검증하고자 항산화 효능을 분석하였다. 열수와 70% 에탄올을 용매로 청태전을 추출, 농축, 동결건조하여 시료를 제조한 다음 ABTS+ radical 소거능, 전자공여능, SOD 유사 활성능, 환원력, FRAP 환원성 항산화활성,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을 진행하였다. ABTS+ radical 소거능 분석 실험의 경우, 청태전 열수 추출물(CTW), 청태전 70% 에탄올 추출물(CTE) 모두 1,000 ㎍/mL의 농도에서 98% 이상의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전자공 여능 분석 실험의 경우, CTW, CTE 각각 42.20%, 78.82%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SOD 유사 활성능 측정 결과, CTW, CTE 각각 39.73%, 67.39%의 활성이 확인되었다. FRAP, Reducing power 실험의 경우, CTW, CTE 모두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고,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 결과, CTW, CTE 모두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청태전 추출물은 항산화 관련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산돌배나무(Pyrus ussuriensis) 잎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Anti-oxidant Effect of Extracts from Pyrus ussuriensis Leaves)

  • 이창언;김영훈;이병근;이도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4호
    • /
    • pp.546-552
    • /
    • 2010
  • 본 연구는 산돌배나무 잎 추출물의 화장품 약리활성인 항산화활성과 항염증활성을 검증하고, 화장품 산업적 응용을 위하여 산돌배나무 잎 추출물의 화장품 천연소재로써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시료는 산돌배나무 잎을 물과 70% 에탄올, 60% 아세톤으로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소거능은 50 ppm의 농도에서 열수추출물이 70%, 에탄올 추출물이 80%, 아세톤추출물이 85% 이상의 높은 전자공여능(electronic donating ability, EDA)을 나타내었다. Xanthine oxidase 저해능과 Superoxide dismutase(SOD) 유사활성능은 열수, 에탄올, 아세톤추출물 모두 500 ppm농도에서 30%이상의 저해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SOD 유사활성능은 시료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항염증 효과로 Nitric Oxide(NO)량을 측정한 결과 lipopolysaccharide(LPS)군에서는 12시간 후부터 대조군에 비교하여 NO의 생성량이 LPS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산돌배추출물을 처치한 군에서는 12~24시간 후 유의성 있게 NO의 생성량이 억제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산돌배나무 잎 추출물이 항산화효과와 항염증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써 이용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Antioxidant effects and tyrosinase and elastase inhibitory activities of mountain ginseng adventitious roots extracts at different ethanol concentrations

  • Ko, Hyun Min;Eom, Tae Kil;Kim, Kyeoung Cheol;Kim, Chul Joong;Lee, Jae Geun;Kim, Ju-Sung
    • 농업과학연구
    • /
    • 제45권3호
    • /
    • pp.499-508
    • /
    • 2018
  • To use mountain ginseng adventitious roots (MGAR), which is superior in functionality compared to ginseng, and to mass produce raw materials as a functional cosmetic material, the antioxidant and cosmeceutical activities of the extracts of MGAR at different ethanol concentrations (0, 20, 40, 60 and 80%) were compared and analyzed. At first, different ethanol concentrations were compared to determine the best solvent for the extraction of phenolic compounds from MGAR. An 80% ethanol extract with 10.07 mg of gallic acid equivalents/g sample and 0.94 mg of quercetin equivalents/g sample was the best solvent in the extraction of phenolic compounds. However, the 60% ethanol extract ha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evident by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35.01 mM Trolox/g sample) and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460.94 mM $FeSO_4/g$ sample). However, the inhibitory activities of the 80% ethanol extract from the MGAR against tyrosinase and elastase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extra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extract of MGAR can be used as an easily accessible source of natural antioxidant and as a possible cosmetic ingredient in the cosmeceutical industry. However, the components responsible for the antioxidant and cosmeceutical activities of the MGAR extracts are currently unclear.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further studies should be carried out to isolate and identify the antioxidant and cosmeceutical components in MG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