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operative Education

검색결과 903건 처리시간 0.027초

K-Pop과 실용음악의 상호보완적 역할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Cooperative Roles between K-Pop and Applied Music)

  • 류은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412-425
    • /
    • 2017
  • 신(新)한류의 재조명으로 K-Pop음악 산업의 흥행은 지속되는 한편, 대부분이 아이돌 댄스 음악이라는 획일적인 장르적 한계를 이유로 한류 지속가능성 여부에 대한 논란은 계속되고 있다. 연구자들은 실용음악교육의 체제의 변화를 통해 음악적 질의 향상을 이룩해야한다고 하였다. 하지만, 실제로 실용음악 교육이 K-Pop음악 산업의 지속적 성공에 조력할 수 있는지, 서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미비하였다. 그리하여 본 논문에서는 K-Pop과 실용음악의 의미와 연관성을 파악하고, 두 영역의 상호보완적 역할 수행을 위한 방안은 무엇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2013년부터 3년간 국내공인가요차트인 가온차트에서 디지털종합순위의 100위내에 진입했던 곡에 관여한 인물들 즉, 가수, 작 편곡가, 작사가 및 연주자들을 K-Pop인재로 간주하여 조사하고, 그들 중 얼마만큼 실용음악 전공과 관련 있는지 파악한 결과, 41.74%로 확인되었다. 한국 대중음악이라는 큰 공통적 분모 아래에서 지속적인 한류를 위해 서로 협업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는 다양한 K-Pop음악에 대한 소비자의 지속적인 니즈 증대와 이를 위한 국내외 사회적 분위기 형성, K-Pop산업이 요구하는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제도의 변화 등이 있다.

교육과정 개발 체제 및 총론과 과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 (Analysis of Curriculum Development Process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Statements of the Curriculum and Science Curriculum)

  • 이양락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468-480
    • /
    • 2004
  • 우리 나라 교육과정은 총론과 각론이 괴리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총론과 각론의 괴리가 나타나는 주요 이유는 총론 연구개발팀이 순수 교육학 전공자 중심으로 구성되어 각론의 특성을 반영한 총론 및 교과 교육과정 개발 지침 개발, 개발된 각론의 검토 및 피드백 제공이 어렵고, 또한 교육과정 개발 기관이 사안 발생 때마다 임시로 지정되기 때문에 교육과정 개발을 대비하여 사전에 기초 연구를 하기 어려우며, 교육과정 개발 기간도 지나치게 짧아 각론팀에서 총론의 취지와 교사의 요구를 충분히 반영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 결과 (1) 제7차 교육과정의 주요 변화 내용인 심화 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 적용 시기에서 총론과 각론의 불일치 현상이 나타나고, (2) 심화 과정의 성격, 지도 및 평가 등에 대해 명확한 설명이 없어 교과서 집필 및 학습 지도에서 혼선이 유발되고, (3) 교과서 집필자나 교사가 교육 내용의 범위나 수준을 파악하기 어려워 학습량 적정화의 취지가 제대로 구현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교육과정개발센터'를 지정 운영하여 교육과정에 대한 상시 연구 체제를 구축하고, 총론연구팀과 각론연구팀의 유기적 협조체제를 구축하여야 한다. 또한 과학과 교육과정 연구 개발 기간을 최소한 2년 이상으로 하고, 교육과정 개발 과정에 주요 전공별 과학자를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교육과정은 교과서 집필자나 교사가 중요한 사항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현행보다 구체화되어야 하며, 교육과정 해설서는 최소한 교과서 개발 시작 이전까지는 집필되어야 한다.

'한국 역사 속 과학탐방'에 대한 교사의 인식 (Teachers' Perception about 'Science Field Trip to Korean Historical Sites')

  • 오경진;조광희;박상우;박승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61-470
    • /
    • 1999
  • 본 연구는 한국 역사 속 과학탐방에 대하여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교육적 가치, 지도방식, 어려운 점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데 있다. "98 과학교육자 큰모임"에 참석한 현직 교사 및 과학교육자 97명을 대상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검사도구는 본 연구자들에 의해 개발되어 과학교육전문가 4인으로부터 안면 타당도를 검증받았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한국 역사 속 과학탐방은 교육적으로 매우 가치 있다고 응답하였다. 응답자의 다수가 한국 역사 속 과학탐방이 한국 문화를 이해하고, 탐구과정기능의 습득에 기여할 것이라고 하였다. 또한 발산적 탐구와 협동학습의 기회를 제공하며, 통합교과적이고 종합적인 사고능력을 기르는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반응하였다. 정규 과학교과 내용과 밀접한 관련이 있고, 과학관련 진로지도 및 생활지도로 활용할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기존 과학탐방의 지도경험에 대한 조사를 통해 볼 때, 탐방 전 활동이 거의 없었고 탐방 중에는 교사설명 중심의 활동이 이루어졌으며 탐방 후에는 과학기사나 일기 형식의 작문을 주로 하였다. 이에 비해 교사들이 생각하는 바람직한 한국 역사 속 과학탐방의 지도방식은 학생용 탐방자료나 비디오를 통한 탐방 전 활동, 간단한 안내 후 조별 탐구로 이루어진 탐방 중 활동, 탐방결과에 대하여 발표 토론하는 탐방 후 활동을 강조하였다. 한국 역사 속 과학탐방의 어려운 점으로 교사들은 교수학습자료의 부족과 거리 비용 및 교통문제, 교사의 경험부족 등을 언급하였다. 또한 한국 역사 속 과학탐방이 잘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과학탐방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과 탐방활동에 대한 정규 교사 연수 과정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 PDF

학급상담 전략이 배척아동의 대인문제 해결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Counseling Strategy in Classroom on the Interpersonal Cognitive Problem Solving Ability of Rejected Elementary School Children)

  • 강하영;안이환
    • 초등상담연구
    • /
    • 제8권1호
    • /
    • pp.51-66
    • /
    • 2009
  • 본 연구는 초등학교의 배척아동을 대상으로 교사가 학급상담 전략을 실시하여 대인문제 해결력이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B시 소재 H초등학교 5학년 4개 학급 130명을 대상으로 또래지명법(peer nomination)을 이용한 안이환(2007)의 사회성측정 검사를 실시하여 배척아동 21명을 선발하였다 이들 중 16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8명씩 배치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교사의 학급상담 전략은 배척아동의 대인문제 해결력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자기훈육, 협동, 상호존중, 책임분담, 사회적 평등으로 구성된 Dreikurs(1971)의 학급상담전략(the counseling strategy in classroom)을 참고하여, 학급의 구조적 환경 설정, 학급활동, 상담활동, 협동학습의 네 가지 측면에서 5주 동안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학급상담 전략은 배척아동의 대인문제 해결력 향상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대안적 해결사고, 원인적 해결사고를 제외한, 결과 예측사고, 수단-목적 사고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교사가 학급상담 전략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그렇지 않은 통제집단의 학급 내 사회적지위(social status) 및 사회적지위에 따른 5가지 아동유형별 변화를 비교 분석한 결과, 두 집단 간에는 의미 있는 변화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본 연구의 학급상담 전략은 배척아동의 대인문제 해결력을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사회적 기술 훈련이 초등학교 아동의 학급응집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ocial Skill Training on the Class Cohesivenes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 지혜영;홍종관
    • 초등상담연구
    • /
    • 제8권1호
    • /
    • pp.95-107
    • /
    • 2009
  • 본 연구는 사회적 기술 훈련이 초등학교 아동의 학급응집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은 총 12회기로 구성하여 매회 40분간 주 2회씩 5주간에 걸쳐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적용을 위해 경상북도 G시에 위치한 D초등학교 5학년 6개 반 중 2학급을 무선으로 선정하였다. 이들 가운데 한 학급은 실험집단(N=30, 남=18명, 여=12명), 다른 한 학급은 통제집단(N=29, 남=15명, 여=14명)으로 무선 할당하였으며, 총 59명(남 33명, 여 2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강신석(2000)이 초등학교 수준에 맞게 20문항으로 재구성한 학급응집력 검사도구를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4.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동질성 여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평균의 차이, 실험집단의 전-후 검사간의 평균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설계는 사전-사후 통제집단 설계이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회적 기술 훈련을 받은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학급응집력 총점 및 하위요인 점수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 는 사회적 기술 훈련이 학생들의 학급응집력(학급분위기, 상호신뢰, 사기, 일체감, 의사소통)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침을 시사해준다. 따라서 사회적 기술 훈련은 학급응집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측면에서 초등학교 아동이 학급구성원들과 친밀하게 지내고 도우려는 마음을 지닐 수 있게 하는데 효과적인 전략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 PDF

어획어종의 다변량분석에 의한 1인승 연안어선의 분류 (Classification of One-Crewmen Coastal Fishing Boats by the Fish Species caught with A Multivariate Analysis)

  • 정동근;최찬문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9권2호
    • /
    • pp.222-235
    • /
    • 1997
  • 천엽현암화전(千葉縣岩和田)어업협동조합에 소속하는 1인승어선이 어획한 7어종항목에 대해서 어획금액이 높은 어종항목으로 어선을 분류하여, 다시 이들을 판별함수로 분류한 결과, 6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들 그룹은, 방어류를 주어종으로 하는 G1그룹, 넙치류를 주어종으로 하는 G2그룹, 가다랭이 참치류를 주어종으로 하는 G3그룹, 오징어류를 주어종으로 하는 G4그룹, 저서어류를 주어종으로 하는 G5그룹, 기타어류를 주어종으로 하는 G6그룹이다. 1인승어선 총척수의 대부분의 평균어획금액은 10년동안 400만엔에 미치지 못하는 G1, G2 및 G6그룹에 속하고, 전업어업에 종사하지 않는 어선들이었다. 그리고, 7어종의 어획금액에 관해서 주성분분석을 행하여, 제1주성분에서 제4주성분의 주성분득점으로 각 그룹을 고찰한 결과, 끌낚시어업에 의한 방어류와 넙치류를 주어종으로 하는 G1 G2그룹, 가다랭이 참치류와 오징어류를 주어종으로 하는 G3 G4그룹과 저서어류를 포함하는 G5그룹, G1 G2그룹과 유사하지만 자망에 의한 어획이 주된 G6그룹의 3그룹으로 다시 크게 분류할 수 있었다. 그러나, G1 G2그룹과 G3 G4 G5그룹의 일부분이 중복된 것에 대해서의 해석은 앞으로의 연구과제라 할 수 있다.

  • PDF

학생의 논변활동을 강조한 개방적 과학탐구활동 모형의 탐색 (The Exploration of Open Scientific Inquiry Model Emphasizing Students' Argumentation)

  • 김희경;송진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1216-1234
    • /
    • 2004
  • 전통적인 학교 과학 실험은 실제 과학 활동, 즉 참과학 탐구의 특징을 적절히 반영하고 있지 못하며, 특히 토론이나 논변적 실제가 부족하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의 목적은 학생들의 동료간 논변활동을 강조한 개방적 탐구 활동을 제안하기 위해, 그 조건 및 특징을 알아보고 적절한 모형을 제안하는 것이다. 문헌 분석 및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논변활동을 촉진시키기 위해서 논변적 과학탐구 활동이 가져야 할 조건에 대하여 살펴 본 결과, 인지적 측면에서는 '다양한 견해가 가능한 문제 상황', '학생 자신의 주장 펼치기', '효과적으로 조직된 논변 구성의 기회'가 필요하며, 사회적 측면에서는 '수펑적 관계', '경쟁과 협력의 공동체 활동'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논변적 과학 탐구 활동은 실험활동과 논변활동으로 구성되며 논변활동은 동료 검토용 보고서 쓰기와 비판적 토론으로 조직되었다. 논변활동은 조 내부와 조 별간에, 그리고 쓰기와 토론을 통해서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며 되먹임을 통해 실험활동과 연계되어 있으며 전체 탐구 과정은 순환적인 특징을 갖는다.

대학 교양무용 수업의 반성적 실천 사례 (The Case Study of Reflective Practice of the Liberal Dance Class in University)

  • 박지원;김제영;김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626-635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의 교양교육으로 이루어지는 무용 수업에서 교육내용 설계와 개선을 위한 실천적인 사례 연구이다. 이 연구는 15주간의 무용 강좌에서 40명이 참여한 생활무용 프로그램에 관하여 다루고 있다. 학생들의 인터뷰 내용과 보고서, 수업을 진행한 강사의 평가서를 토대로 수업사례에서의 실천적 의미를 탐구하고 과정을 중시하는 질적 연구로 이루어졌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측면의 경험적 의미를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생각하는 춤'의 경험이다. 기능적인 움직임에 그치지 않고, 춤의 매력과 감성과 문화를 모두 경험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이다. 둘째, '소통하는 춤'의 경험이다. 새로운 동료와의 교제, 소극적인 성향의 극복, 상대를 배려하는 춤의 매너에서 춤을 통한 사회성을 경험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셋째, '함께 만드는 춤'의 경험이다. 모둠활동의 구성원으로써 성실함과 책임감 있는 태도, 협동적인 과제 수행에서의 보람을 언급했다. 교사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수업의 반성적 평가는 다음과 같다. 교양교육으로써 무용교육은 학생들의 표현적 개성과 잠재력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기초안무를 그대로 답습하고 기능만을 강요하는 것은 오히려 학생을 지치게 할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교양교육으로써 무용교육은 움직임 활동을 통해 자신을 새롭게 발견하고, 창의적인 생각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중등학교 조리실습에 대한 현황과 효율화방안 (The Present Situtation and Efficient Way of Cooking Practice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 김정미;주정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53-62
    • /
    • 1989
  • Cooking practice is keenly related to not only the betterment of family health but to the improvement of dietary life. Cooking is a kind of practical skill and one is skill in it by repeated practice. The aim of cooking practice in school is to fix cooking method practically and scientifically, to acquire cooking skill. To achieve this aim there are many unrecognized or unsolved problems in the first-line schools. The problems and efficient ways of cooking practice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are as follows; 1. The aim of cooking practice: It should be first of all remembered that the practice is so practical that the knowledge and skill of cooking should be related to the future domestic life. Second, the practice should be able to serve the communal and national life by scientifying and improving life. 2. The content of the practice: First, it should be so arranged step by step that the content of each year should not be repeated. Second, the ratio of Korean cooking practice should be increased and the material of the practice should be chosen in consideration of the peculiarity of the community, seasons and economical problems so that it may be applied to the very day life. Third, to improve dietary life, the practice should be a way of the simplification of dietary life, of the nutritional efficiency. Forth, for the betterment of physical condition of the family the practice should involve balanced dietary plans and dietary therapy. 3. Teaching method: First, the practice should be scientific and comprehensive in consideration of not only cooking skills but also knowledge of nutrition. Second, micro-class system should be adopted, and practice labor should be allotted each student to develop cooperative attitude and the sense of responsibility. Third, in addition to the practice conducted in a body, comparative cooking, applicable cooking and experimental ability and the content of the text. Fourth, teachers should let the students examine and find problems by bringing them to a focus on the basis of theory. 4. Administration method: First, the practice schedule should be planned that a class has practices at least more than twice a semester. Second, two hours of class should be continued without cessation after beforehand survey and theory study. Third, facilities and utensils for practice should be enlarged. That is, cooking practice rooms, tools, utensils should be prepared. Fourth, enough cost of practice should be secured. The above mentioned points show the present situation and problems with which cooking practice teaching is confronted. In order to normalize cooking practice teaching, the first-line schools should give the above mentioned problems their careful consideration and improve the present situation so that efficient, creative, practical cooking practice will be possible.

  • PDF

보육실습 개정안에 따른 어린이집 원장, 보육교사, 예비보육교사의 인식 및 요구 (Perception and need of directors, child care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on revised child care practicum)

  • 최석란;서원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2호
    • /
    • pp.79-93
    • /
    • 2017
  • 본 연구는 2017년부터 본격적으로 적용되는 보육실습 개정안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 보육교사, 예비보육교사의 인식 및 요구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안면타당도와 문항의 내적 신뢰도를 구한 설문지를 어린이집 원장, 보육교사, 4년제 관련학과 재학생인 예비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배부하고 독립표본 ⅹ2-검정과 t-검정,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어린이집 원장, 보육교사가 예비보육교사보다 보육실습 개정안에 대한 인식이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어린이집 원장의 경우 경력과 상관없이 소지자격, 학력 수준이 높을수록 보육실습 개정안에 대해 자세히 인식하고 있었고 보육교사의 경우는 소지자격보다 개정과 관련된 재교육이 인식을 좌우하였다. 어린이집 원장, 보육교사, 예비보육교사 모두 보육실습 기간 연장에 긍정적이라고 하였다. 다만, 기간 연장에 따른 보육교사 및 예비보육교사의 실습지도와 실습 과정 수행의 부담감을 해소하기 위한 양성기관과 보육실습기관의 사전교육 및 협의체계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또한 보육실습기관의 질을 선별할 수 있는 방안 마련에 대한 추가 요구가 있는 바, 이와 관련한 정책적 대안이 필요하겠다. 본 연구는 보육실습 개정안의 성공적인 실행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는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추후 개정안의 보육현장 적용과 관련된 연구가 병행된다면 보다 더 실제적인 해결책을 제시해 주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