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Curriculum Development Process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Statements of the Curriculum and Science Curriculum

교육과정 개발 체제 및 총론과 과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

  • Published : 2004.06.30

Abstract

It has been criticized that there are discrepancy between 'general statements' of the curriculum and subject-matter curricula. The possible reasons for this are as follows: The developers of the general statements were educational curriculum specialists. These specialists were not good enough to develop general statements and guidelines of subject matter curricula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science contents, to examine developed science curriculum, and to give feedback to science curriculum developers. Under the present curriculum developing system where curriculum is developed in ten months or less by the research team commissioned unpredictably and imminently, it might be difficult to develop valid and precise science curriculum reflecting the purport of the general statements and teachers' needs. The inadequacy of these curriculum development processes resulted in (1) inconsistent statement about the school year to be applied to differentiated curriculum, (2) abstract and ambiguous stating about the characteristics, teaching-learning and assessment guidelines of enrichment activities, and (3) failure to reduce science contents to a reasonable level. Therefore curriculum development centers should be designated in advance to do basic research at ordinary times, and organized into a cooperative system among them. Two years or more of developing time and wider participation of scientists are recommended to develop more valid and precise science curriculum. In addition, commentaries on science curriculum should be published before textbook writing begins.

우리 나라 교육과정은 총론과 각론이 괴리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총론과 각론의 괴리가 나타나는 주요 이유는 총론 연구개발팀이 순수 교육학 전공자 중심으로 구성되어 각론의 특성을 반영한 총론 및 교과 교육과정 개발 지침 개발, 개발된 각론의 검토 및 피드백 제공이 어렵고, 또한 교육과정 개발 기관이 사안 발생 때마다 임시로 지정되기 때문에 교육과정 개발을 대비하여 사전에 기초 연구를 하기 어려우며, 교육과정 개발 기간도 지나치게 짧아 각론팀에서 총론의 취지와 교사의 요구를 충분히 반영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 결과 (1) 제7차 교육과정의 주요 변화 내용인 심화 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 적용 시기에서 총론과 각론의 불일치 현상이 나타나고, (2) 심화 과정의 성격, 지도 및 평가 등에 대해 명확한 설명이 없어 교과서 집필 및 학습 지도에서 혼선이 유발되고, (3) 교과서 집필자나 교사가 교육 내용의 범위나 수준을 파악하기 어려워 학습량 적정화의 취지가 제대로 구현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교육과정개발센터'를 지정 운영하여 교육과정에 대한 상시 연구 체제를 구축하고, 총론연구팀과 각론연구팀의 유기적 협조체제를 구축하여야 한다. 또한 과학과 교육과정 연구 개발 기간을 최소한 2년 이상으로 하고, 교육과정 개발 과정에 주요 전공별 과학자를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교육과정은 교과서 집필자나 교사가 중요한 사항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현행보다 구체화되어야 하며, 교육과정 해설서는 최소한 교과서 개발 시작 이전까지는 집필되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곽영순(2002). 과학과 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 - 좋은 수업 사례에 대한 질적 접근- (연구보고 RRC 2002-4-5). 서울: 한국교육과정명가원
  2. 교육부(1977).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별책 9).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3. 교육부(1998).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IV)-수학. 과학. 실과-.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4. 교육부(1999).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III)-수학. 과학. 기술.가정-.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5. 교육부(2000a). 초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자료.(I)-해설과 문답
  6. 교육부(2000b). 제7차 교육과정지원장학협의단 시.도 중학교 교과요원 워크숍 자료
  7. 교육인적자원부(2001). 중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자료(III)-수준별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실제
  8. 김범기, 권재술, 김효남, 백성혜, 정완호, 정진우, 최병순(1997).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 개정 시안 개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과 교육과정개정연구위원회
  9. 김재복, 김경자, 김규환, 김두정, 김용식, 박순경, 이용숙(1996). 현행 교육과정의 분석. 평가 연구-제6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교육과정개정연구위원회
  10. 김재춘(2003). 국가 교육과정 개정 담론의 비교 분석(I): 제4차에서 제7차에 걸친 '교육 내용의 적정화' 담론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21(2), 105-122
  11. 김주훈, 이범홍, 이양락(2000).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성취기준과 평가기준 개발 연구-중학교 과학-.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2. 김찬종, 김희백, 박시진, 오차환, 양채철, 장홈식, 정진문, 조현수, 최후남, 한송희, 현종오, 홍경희(2001). 중학교 과학1. 서울: 도서출판 디딤돌.
  13. 박순경, 강창동, 김경희, 이광우, 이미숙, 손민호, 이희영(2003). 제7차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평가 연구(III) (연구보고 RRC 2003-2).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4. 이광만, 허동, 이경운, 정문호, 방태철, 이기성, 안태근, 전상윤, 복완근, 정익현, 박병훈, 박정일, 정수도, 박지극, 송양호, 이천기(2001). 중학교 과학 l. 서울: 지학사
  15. 이돈희, 곽병선, 최석진, 허경철, 조난심, 박순경, 홍후조, 김재춘(1997). 제7차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교과 교육과정 개발 체제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교육과정개정연구위원회
  16. 이성묵, 채광표, 김기대, 노태희, 정지오, 서인호, 김영수, 김윤택, 이세영, 이문원, 권석민, 손영운(2001). 중학교 과학1. 서울: (주)금성출판사
  17. 이양락, 홍미영, 정은영, 곽영순, 김은숙, 전경문(2002). 초등학교 교과용 도서 체제 개선 연구(IV)- 과학-(연구보고 RRC 2002-12-2).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8. 조난심, 김재춘, 박순경, 소경희, 조덕주, 홍후조(1999). 국가 수준 교육과정 개발 및 적용 체제 개선을 위한 기초 연구(연구보고 RRC 1999-8).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 조난심, 김재춘, 허경철, 박순경, 홍후조(1997). 제7차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수준별 교육과정 편생 및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교육과정개정연구위원회
  20. 한명희, 곽병선, 김신복, 김재복, 허경철(1991). 제6차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의 체제 및 구조 개선 연구. 교육과정개정연구위원회
  21. 허명(2003). 학습량과 학습 경험 심도의 조절. 지식 기반사회에 대비한 과학과 교육 목표 및 내용 체계의 방향 모색(연구자료 ORM 2003-9), 151-163.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2. AEC(1994a). A statement on Science for Australian schools. Curriculum Corporation
  23. AEC(1994b). Science - a curriculum profile for Australian schools. Curriculum Corporation
  24. National Research Council(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