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vergent research

검색결과 1,000건 처리시간 0.029초

융합적 중재를 기반으로 한 심리운동프로그램이 ADHD아동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sychomoto Program Based on Convergent Intervention on Attentional Concentration of Children with ADHD)

  • 유진호;강유석;채정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6호
    • /
    • pp.463-470
    • /
    • 2018
  • 본 연구는 융합적 중재의 심리운동프로그램의 참여가 ADHD 아동의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규명하고자 한다. ADHD 아동을 대상으로 한 Kiphard의 6단계의 심리운동 적용에 따른 시각과 청각의 주의집중력에 하위요인 중 누락오류와 오경보오류를 반복측정 분석하였다. ADHD 아동의 심리운동 중재에 따른 분석결과 시각주의력의 하위요인인 누락오류와 오경보오류는 실험집단에서만 오류가 감소하였으며 청각주의력의 하위요인인 누락오류와 오경보오류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에서 감소하지 않으며 중재에 따른 유의미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후 분석결과를 토대로 융합적 중재를 기반으로 심리운동의 후속 연구는 주의집중력 뿐만이 아닌 다양한 중재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ADHD 아동을 위한 융합적 중재에 새로운 패러다임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Testing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Person-centered Climate Questionnaire-staff version in Korean for Long-term Care Facilities

  • Hae, Sagong;Kim, Da Eun;Bae, Soyoung;Lee, Ga Eon;Edvardsson, David;Yoon, Ju Young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1-20
    • /
    • 2018
  • Purpose: To tes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erson-centered Climate Questionnaire-staff version (KPCQ-S) in long-term care institutions. Methods: A total of 297 staff in long-term care institutions including nine nursing homes (NHs) and 4 long-term care hospitals (LTCHs) were included. The KPCQ-S was developed following the WHO guidelines of the process of translation and adaptation of instruments. An internal consistency using Cronbach's ${\alpha}$ was tested for reliabilit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was used to examine the construct validity.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examined using Pearson correlation. Results: EFA demonstrated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14-item KPCQ-S with three-factor solutions, specifically three factors (safety, everydayness, and community) in NHs and four factors (safety, everydayness, community, and comprehensibility) in LTCHs. Convergent validity was found in the correlation with the work satisfaction (r=.55). The KPCQ-S showed satisfactory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Cronbach's ${\alpha}=.91$). Conclusion: The KPCQ-S is found to be a reliable and valid tool for measuring staff perceptions of the person centeredness of long-term care environments.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간호학생의 의사소통능력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Assessment Tool for Measuring Communication Skills in Nursing Simulation Education)

  • 양희모;황선영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95-105
    • /
    • 2016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whether Health Communication Assessment Tool (HCAT) developed by Campbell et al. in 2013 can be applied to assess Korean nursing students' communication skills in simulation education. Methods: The content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HCAT (K-HCAT) was evaluated through expert's assessment and 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as conducted for testing construct validity. The convergent validity was tested by measuring relationship between the K-HCAT and those of existing communication assessment tool for standardized patient instruction. The evaluation was done by surveying 154 senior students from four different nursing colleges. Results: The K-HCAT was condensed into 15 items from the original 22 HCAT items. Four factors were extracted from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factor loadings ranged from .50 to .83; cumulative explained variance was 62.65%. Four factors were entitled as 'relationship building', 'empowering', 'empathy/response', and 'education/feedback'. Cronbach's ${\alpha}$ for sub-dimensions ranged from .73 to .84. An evaluation of convergent validity showed that the scores of the K-HCAT were moderately correlated with those of an assessment tool for standardized patient instruction. Conclusion: The K-HCAT can be used as an effective tool for assessing nursing students' communication skills in various kinds of simulation educations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test the consistency of the K-HCAT.

디자인 혁신을 위한 창조적 발상지원 시스템 연구 (A Computer Mediated Design Development System for Design Innovation - the Focus on the Creative Thinking System for Idea Development in Product Design)

  • 우흥룡
    • 디자인학연구
    • /
    • 제14권3호
    • /
    • pp.77-85
    • /
    • 2001
  • 본 논문은 아이디어 전개를 종합(synthesis)에 의해 처리되는 디자인 업무의 중심부분으로, 자시 말하면, 디자인 문제에 대한 발상(abduction)과 변환(transformation)이 야기되는 부분으로 보고, 이에 대한 창조적 디자인 사고의 형식을 밝히고, 이를 토대로 디자인 발상지원 시스템의 기초를 마련하는 데 이 연구의 목표가 있다 연구방법으로 디자인 사고에 대한 고찰을 토대로 디자인 사고(design thinking)의 모형을 설정하고, 디자인 직무분석(job analysis)으로 이 연구모형을 검토하여 디자인 사고의 형식과 그 구조를 밝히는 것이다. 창조적 디자인사고의 전개는 디자인 문제해결에서 새롭고 유용한 착상을 이루어 가는 과정으로서 발산(Divergence)/변형(Transformation)/수렴(Convergence)의 과정을 가지며, 추상적 개념으로부터 시작하여 구체적인 결과에 도달한다.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아이디어 스케치와 같은 디자인 전개의 직무는 D-T-C 발상이 집중되는 직무군으로 난이도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D-T-C 발상의 추상-구체의 조합적 전개가 가능하도록 직무분석에 의해 디자인 발상지원 시스템(Computer Mediated Creative Thinking System: CMCTS)을 설계하였다.

  • PDF

융합적 관점의 중학교 보건교과서 삽화분석 (Analyzing illustration in health textbooks of middle school in the convergent point of view)

  • 최경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8호
    • /
    • pp.461-468
    • /
    • 2016
  • 교과서에 제시되어 학습 자료로 활용되는 삽화는 그 자체로서의 의미보다는 학습의 기본 요소를 해설 설명하기 위한 자료로서 이용되고, 지식을 알게 되는 과정에 따라 적절하게 제시될 때 교육적 가치를 지니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보건교과서 4종을 대상으로 외형적 및 내용적 분석을 위한 분석기준을 새롭게 구성하고, 융합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그 실태를 알아보았다. 이는 삽화가 보건교육 해설서에 제시된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요구되는 개선점 등을 파악하여 향후 교과서 개발에 도움을 주는 정책적인 제언을 하고자 함이다. 그 결과 다음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외형적(frame)인 측면에서는 건강 및 보건활동의 원리를 설명하는데 적합한 기능을 갖는 도해의 빈도가 높아져야 하겠다. 둘째, 내용적인 측면에서는 단순한 자료제공이나 장식기능의 삽화 빈도는 줄이고 실험결과 등의 삽화 빈도는 늘림으로써 보건 교과서가 보건교육의 목표에 더욱 부합되도록 재구성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정신건강 증진과 자살예방을 위한 ICT 융합 국내외 사례 연구 (Domestic and Foreign Case Studies on ICT Convergence for Mental Heath Improvement and Suicide Prevention)

  • 김호경;신동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592-606
    • /
    • 2015
  • 전 연령층에 걸친 우울증 및 정신질환과 꾸준한 자살률 증가는 정부경쟁력을 크게 떨어뜨리는 심각한 사회문제이다. 정부는 정신건강을 증진시키고 자살을 예방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실시하고 있으나 시행과정 및 연계 관리 체계 등에서 여러 문제점들이 제기된다. 본 연구는 정신건강분야에 있어 ICT 융합방안의 실태와 방향성을 파악하기 위해 국내외 사례를 살펴보았다. 미국과 영국에서는 ICT를 융합한 원격 정신치료서비스를 지역노인, 소아청소년, 취약계층 등에 제공하고 있다. 국내는 노인자살을 방지하기 위해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응급알림 장치를 설치하거나 우울증과 치매 완화를 위한 기술이 개발 중에 있다. 고령화시대에 사회경제적 비용을 줄이고 보편적 복지실현을 위해 ICT 융합 정신건강관리 서비스가 필요하다. 이에 원격정신진료와 관련하여 첨예하게 갈등을 보이는 의료법과 의료기기에 대한 사회적 합의, 생애전주기에 걸쳐 이용자의 정신적 특성을 고려한 효과성 연구, 인구 밀집도와 의료접근성이 낮은 지역 중심의 특화된 정책 등이 제고되어져야한다.

드럼 브레이크에서의 열응력에 의한 내구성을 통한 융합적 분석 (Convergent Analysis through Durability by Thermal Stress at Drum Brake)

  • 오범석;조재웅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139-144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드럼자체와 브레이크에 대한 시뮬레이션 해석을 하였으며 열해석 결과와 구조 해석을 통한 내구성을 고찰하여 그 해석 결과를 얻었다. 브레이크 실린더로 인하여 힘을 받는 라이닝,라이닝의 확장으로 인하여 힘을 받는 드럼 내부, 축의 회전으로 인하여 힘을 받는 드럼에 대한 열응력 및 구조 해석을 통하여 어느 부분에 등가응력과 변형량이 큰지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브레이크 디스크설계에 응용한다면 열변형 방지 및 그 내구성을 증대시키는데 활용성이 클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 결과는 실제적으로 드럼 브레이크에서의 열응력에 견딜 수 있는 내구성 있는 설계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계절별 기차선로 이음새에서의 내구성 해석을 적용함으로서 본 연구 결과가 미적인 설계에 응용되는 융합 연구에 유리하다고 보여진다.

유체클러치 터빈 날개의 유형별 유동해석에 대한 융합연구 (A Convergent Investigation on Flow Analysis by Type of Turbine Blade of Fluid Clutch)

  • 오범석;조재웅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195-200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8개의 터빈 날개면들이 각각 추진축상에서 45°, 40°, 35°의 각도로 기울어져 있는 Model 1, 2 및 3인 3가지 Model의 유체클러치 터빈 날개 형상에 대한 유동 해석들을 수행하였다. 터빈 날개면이 추진축상에서 각도가 크게 기울어질수록 터빈 날개의 뒷면 이후에서의 흐름에서 Model들 중에서 가장 유동 압력을 크게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에 터빈 날개면이 추진축상에서 각도가 작게 기울어질수록 유동 속도가 작게 된다. 터빈 날개면이 추진축상에서 각도가 작게 기울어질수록, 즉 유체의 흐름과 수직에 가까운 날개 형상이 효율적으로 유체클러치에 동력을 연결하고 차단하는데 있어서 적합함을 알 수 있다. 유체클러치 터빈 날개 유형별 유동해석을 적용함으로서 본 논문에서의 연구 결과는 미적인 설계를 적용할 수 있는 융합 연구자료로서 유리하다고 여겨진다.

한국어판 단축형 만성질환관리 자기효능감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Version of the Self-Efficacy for Managing Chronic Disease 6-Item Scale)

  • 김숙남;이현주;김소영;이나윤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1권5호
    • /
    • pp.617-629
    • /
    • 2021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elf-efficacy for managing chronic disease 6-item scale (SECD-6-K). Methods: The English version of the Self-Efficacy for Managing Chronic Disease 6-item Scale first underwent forward and backward translation procedures. The SECD-6-K was then used to collect data from 350 adults diagnosed with chronic diseases. Content, construct, convergent, discriminant, and criterion validity were all evaluated. Reliability was assessed using Cronbach's α. SPSS 25.0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MOS 26.0 software. Results: The SECD-6-K consists of six items in two domains: disease management and health behavior. The results for construct,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goo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produced eigen values between 2.27 and 3.28, with factors total explained cumulative variance of 91.1%.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upported goodness of fit and reliability for the modified SECD-6-K model. The criterion validity also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both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and 12-item Short-Form Health Survey version 2. Finally, reliability was found to be excellent. Conclusion: This study identified the high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ECD-6-K. The SECD-6-K is an appropriate tool for determining Korean patients' self-efficacy in managing their chronic conditions. Therefore, this scale may be used in clinical settings as well as in educational and research settings.

스포츠이벤트 프로세스 관리시스템 표준 프레임워크 개발 (The Development of the Standard Framework of Sports Event Process Management System)

  • 김주학;조선미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815-824
    • /
    • 2019
  • 스포츠이벤트의 운영 환경은 크기, 종류, 지역에 따라 다양하고, 단위업무별 업무가 독립적이지 않고 상호 유기적인 관계를 이루고 있으며, 복잡한 이해관계자가 매트릭스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일반화된 운영 모델을 구축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은 아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포츠이벤트 관리의 개념 및 프로세스의 지침을 제공하는 '표준'을 제안한다. 표준개발을 위해 산업분야 및 활동의 품질경영을 위한 국제 표준 규격인 ISO 9001:2015에서 제시하는 프레임을 따라 표준화를 진행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안하는 표준의 구성은 적용범위, 인용표준, 용어와 정의, 조직의 상황, 리더십, 계획수립, 지원, 운용, 성과평가, 개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스포츠이벤트 프로세스 관리 시스템 표준은 스포츠이벤트의 형태 또는 규모에 관계없이 스포츠이벤트를 유치하고, 준비하여, 운영하고자 하는 모든 조직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스포츠이벤트의 생애주기 단계별 프로세스 관리에 초점을 맞춘 접근방법을 시도하여, 프로세스와 프로세스 간 상호 관련성과 의존성을 관리 할 수 있도록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