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vergence security

검색결과 3,286건 처리시간 0.023초

융합보안 공급자 자기 적합성 제도 (Convergence Security Provider Self-Conformity System)

  • 백남균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53-61
    • /
    • 2019
  • In this paper, we propose 'a self - conformance system of convergence security provider' to provide basic data for security and reliability of convergence industrial technology, system and service. It is difficult to evaluate convergence security systems, limited to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s, unable to check convergence security items, burden of submission documents, difficulty in measuring convergence security service level and we will summarize product and service-based requirements that can be integrated and systematically measure the level of convergence security and define renewed life cycle-based convergence security information and content security and assurance requirements. On the basis of this, each convergence security company declares conformity with the standard itself without the certification of the certification body, and introduces the provider conformity certification system which can manufacture and sell. This will enable the company to strengthen its competitiveness through timely launch and implementation of products and services and cost reduction.

IoT시대의 기업 융합보안 전략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nterprise security convergence strategy in the IoT(the Internet of Things) Era)

  • 노종호;이종형;권헌영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33-39
    • /
    • 2017
  • 사물인터넷(IoT) 시대의 본격화와 더불어, 융합보안이라는 개념은 어디서나 쉽게 접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융합보안이라는 개념이 IoT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고 있다고 보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다. 이에, 기존의 융합보안 개념을 IoT 특성을 고려하여 보완된 개념을 제시하였다. 더불어, 융합보안의 개념 모델 재정립과 기업의 융합보안전략을 수립하는 데 있어 필요한 거버넌스 체계와 기술적 요인에 대해 기술하였다.

융합보안관제시스템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d Convergence Security Monitoring System model)

  • 이동휘;하옥현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3-12
    • /
    • 2011
  • 국가정보원 자료에 의하면, 산업기술 유출로 인한 피해액은 수십 조원에 이르고 있고, 피해유형은 내부자 유출, 공동 연구, 해킹, 불법유출, 위장합작 등으로 나눌 수 있으나 그 중 80%가 물리적인 보안과 연계된 내부자 유출로 나타나고 있다. IT와 비IT의 융합이 가속화되고 영역간의 경계 및 구분이 불명확해지면서 정보보호산업은 점차 지식정보보안산업으로 확대되는 개인정보보호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성장해왔으나, 향후 정보보호산업은 IT 보안기술 및 제품간 융합, IT 보안과 물리 보안간 융합, IT 융합산업보안으로 집중된다. 본 논문에서는 기업 정보유출 방지를 위해서 논리적 보안과 물리적 보안이 모두 동일 수준에서 관리되어야 하며, 특히, 물리적인 보안시스템(출입통제시스템, 영상보안시스템 등)과 IT 통합보안관제시스템의 융합으로 외부 공격 및 내부자 유출의 예방, 차단, 분석의 시너지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융합보안관제시스템 개선 모델을 제안한다.

산업융합환경을 위한 보안 거버넌스 프레임워크 설계 (A Design on Security Governance Framework for Industry Convergence Environment)

  • 이효직;나원철;성소영;장항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33-40
    • /
    • 2015
  • 산업과 ICT 기술간의 융합으로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융합환경이 도래되어짐에 따라 경제성장과 더불어 우리의 삶의 질이 향상 되고 있지만 이러한 융합환경은 다수의 이익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융복합적인 보안 위협이 발생됨에 따라 다양한 보안문제를 발생시켰다. 이러한 보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기술적인 접근으로 단편적인 보안 문제 해결방식이 아닌 통합적인 관점에서 보안문제를 접근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전략적 관점, 관리적/운영적관점, 기술적 관점 등 다차원적인 관점에서 신뢰성 있는 보안 거버넌스 관리를 할 수 있도록 인적측면이 고려되어진 보안 거버넌스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였다. 그래서 이 프레임워크를 통해 보안 관리에 대한 단일 기준을 제시함으로서 최고 경영진들의 직접적인 관여가 가능하고 조직구성원들이 스스로 보안활동을 수행하고 책임 질수 있는 신뢰성 있는 보안관리체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융합보안 서비스 사이언스를 위한 기상정보 활용모델 연구 (A Study about Practical Model of Meteorological Information for Convergence Security Service Science)

  • 최경호;이동휘;김민수;김종민;김귀남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79-8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보안서비스 제공과정을 비즈니스 프로세스로 살펴보고, 여기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융합보안기술의 적용 및 이의 프로세스화를 통한 개선된 서비스 혁신모델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표적으로 시설관리, 무인경비 등을 제공하는 물리보안 분야를 살펴보고, 여기서 나타나는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해 적용 가능한 융합보안기술로 기상정보를 활용하는 방법을 서비스 사이언스 관점에서 제안한다. 본 연구의 기여도는 첫째, 서비스 혁신 관리를 통해 융합보안기술을 기반으로 위험관리 방법을 개선했다는 것이며, 둘째, 서비스의 효과를 계량화하여 위험관리 활동을 정량적 수치로 평가할 수 있다는 것이며, 마지막으로, 기상정보를 활용한 물리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론을 체계적으로 프레임워크화 했다는 것이다.

융합보안전문가의 핵심과업 요구분석 - 방위산업체 보안전문가를 중심으로 - (A need assessment on the key tasks of convergence security specialists)

  • 우광제;송해덕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6권3_1호
    • /
    • pp.87-98
    • /
    • 2016
  • 지식 정보화 사회가 심화되면서 지능화, 첨단화, 복잡화 되어가는 기술 유출에 전략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방안으로 융합보안이 대두되고 있다. 융합보안이 실효성을 기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융합보안 전문인력의 양성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서는이들 전문인력의 핵심직무에 대한 규명이 선행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대표적인 융합보안 전문가인 방위산업체 보안전문가를 대상으로 그들의 직무를 규명하고, 직무 수행에 필요한 핵심과업과 교육적 요구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7개의 책무와 49개의 과업이 도출되었고 핵심과업에 대한 교육적 요구 수준이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융합보안전문가의 역량 개발과 학교기관 및 실무교육기관의 융합보안전문가 교육과정 개발에 기여할 것이다.

융합보안 관점에서 방위산업보안 개념 정립과 연구동향 분석 (Resaerch Trend and Cocentualization of Defense Industry Security From Convergence Security Perspective)

  • 우광제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5권6_1호
    • /
    • pp.69-78
    • /
    • 2015
  • 산업스파이에 의한 핵심기술 유출이 점차 지능화, 첨단화, 복잡화 되어가고 있으며 이로 인한 피해 또한 심각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는 방안으로 융합보안이 대두되었고 모든 산업분야에 점차 확대되고 있다. 특히 국가적 핵심기술과 인력 및 시설을 포함하고 있는 방위산업은 융합보안이 더 요구되는 산업분야이다. 방위산업은 국가의 안전보장에 필요한 방위산업물자를 연구, 개발, 생산하는 산업이다. 방위산업은 군사기밀, 산업비밀, 핵심기술인력, 방위산업물자, 국가중요시설, 정보통신체계 등 다양한 보안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방위산업보안은 군사보안과 산업보안의 복합체이며 방위산업의 모든 보안요소를 통합하는 융합보안이다. 따라서 방위산업보안은 융합보안의 대표적인 실천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방위산업보안에 대한 연구는 일반적인 다른 산업분야에서의 보안과 관련된 연구에 비해 미흡한 실정이다. 방위산업의 핵심기술 유출을 방지하고 기술인력 및 시설을 보호하기 위해서, 방위산업보안을 융합보안의 개념에서 연구하고 실천하는 노력이 절실한 시점이다.

IT 융합보안에서의 위협요소 분석 (Analysis of Threats Factor in IT Convergence Security)

  • 이근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권1호
    • /
    • pp.49-55
    • /
    • 2010
  • 정보통신기술 발전에 따라 많은 장치들간의 통신과 네트워킹의 수용이 이뤄지고 있다. 장치간의 통신을 위한 융합 사업이 빠르게 발전되어지고 있다. IT 융합 통신은 무선통신에서 차후 개척분야의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IT 융합 구조에서 M2M, 지능형 자동차, 스마트그리드, U-헬스케어에 대한 보안 위협요소를 분석하였다. 임베디드 시스템 보안, 포렌식 보안, 사용자 인증과 키관리 기법에 대한 IT 융합 보안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Design and Load Map of the Next Generation Convergence Security Framework for Advanced Persistent Threat Attacks

  • Lee, Moongoo
    • IEIE Transactions on Smart Processing and Computing
    • /
    • 제3권2호
    • /
    • pp.65-73
    • /
    • 2014
  • An overall responding security-centered framework is necessary required for infringement accidents, failures, and cyber threats. On the other hand, the correspondence structures of existing administrative, technical, physical security have weakness in a system responding to complex attacks because each step is performed independently. This study will recognize all internal and external users as a potentially threatening element. To perform connectivity analysis regarding an action, an intelligent convergence security framework and road map is suggested. A suggested convergence security framework was constructed to be independent of an automatic framework, such as the conventional single solution for the priority defense system of APT of the latest attack type, which makes continuous reputational attacks to achieve its goals. This study suggested the next generation convergence security framework to have preemptive responses, possibly against an APT attack, consisting of the following five hierarchical layers: domain security, domain connection, action visibility, action control, and convergence correspondence. In the domain, the connection layer suggests a security instruction and direction in the domains of administrative, physical and technical security. The domain security layer has consistency of status information among the security domain. A visibility layer of an intelligent attack action consists of data gathering, comparison and decision cycle. The action control layer is a layer that controls the visibility action. Finally, the convergence corresponding layer suggests a corresponding system of before and after an APT attack. The administrative security domain had a security design based on organization, rule, process, and paper information. The physical security domain is designed to separate into a control layer and facility according to the threats of the control impossible and control possible. Each domain action executes visible and control steps, and is designed to have flexibility regarding security environmental changes. In this study, the framework to address an APT attack and load map will be used as an infra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next generation security.

의료 ICT융합 환경에서 안전한 사용자 관리를 위한 인증시스템 설계 및 구현: 중소형 의료기관을 중심으로 (Design and Implement of Authentication System for Secure User Management for Secure on Medical ICT Convergence Environment)

  • 김양훈;최연정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29-36
    • /
    • 2019
  • 전통적인 산업과 ICT의 융합은 ICT에서 나타나는 보안 위협 및 취약점과 기존 산업의 특수한 산업 종속적인 문제점이 혼합되어 새로운 보안위협 및 취약점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의료ICT융합산업에서는 의료정보시스템을 중심으로 사용자 인증에 대한 다양한 문제가 파생되어, 오남용, 보안취약점에 악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의료 ICT 융합환경에서 안전한 사용자 관리를 위한 사용자 인증시스템을 설계하고 프로토타입을 구현하였다. 구체적으로, 의료정보시스템을 중심으로 개인화 기기를 활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ID 공유로 나타나는 오남용과 보안 취약점을 해결하고, 개별 ID/PW 방식 인증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을 설계 및 프로타입을 구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