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aerch Trend and Cocentualization of Defense Industry Security From Convergence Security Perspective

융합보안 관점에서 방위산업보안 개념 정립과 연구동향 분석

  • 우광제 (중앙대학교 인적자원개발학과)
  • Received : 2015.09.25
  • Accepted : 2015.10.20
  • Published : 2015.10.30

Abstract

Methods that industrial spies use to smuggle core technology out are becoming more intelligent, technological, and complex, thus resulting in more serious damages. In particular, defense industries in which involve national core technology as well as institutions including labor force are industries that are in a greater need of the convergence security. Defense Industry develops, experiments, and produces defense security supplies for national security protection. Defense industry involves a number of security elements such as military secret, industrial secret, core technology labor force, defense industry supply, critical national facility,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Defense industry security is a complex of military security and industrial security which is convergence security that integrates all security elements of defense industry. Therefore, defense industry security is a typical ideal model for convergence security. Research on defense industry security is relatively insufficient compared to research of security in other industrial fields. In order to prevent core technology of denfese industry from leaking and to protect technical professionals and institutions, research and action on defense industry security from convergence security perspective are therefore essential at this point of time.

산업스파이에 의한 핵심기술 유출이 점차 지능화, 첨단화, 복잡화 되어가고 있으며 이로 인한 피해 또한 심각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는 방안으로 융합보안이 대두되었고 모든 산업분야에 점차 확대되고 있다. 특히 국가적 핵심기술과 인력 및 시설을 포함하고 있는 방위산업은 융합보안이 더 요구되는 산업분야이다. 방위산업은 국가의 안전보장에 필요한 방위산업물자를 연구, 개발, 생산하는 산업이다. 방위산업은 군사기밀, 산업비밀, 핵심기술인력, 방위산업물자, 국가중요시설, 정보통신체계 등 다양한 보안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방위산업보안은 군사보안과 산업보안의 복합체이며 방위산업의 모든 보안요소를 통합하는 융합보안이다. 따라서 방위산업보안은 융합보안의 대표적인 실천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방위산업보안에 대한 연구는 일반적인 다른 산업분야에서의 보안과 관련된 연구에 비해 미흡한 실정이다. 방위산업의 핵심기술 유출을 방지하고 기술인력 및 시설을 보호하기 위해서, 방위산업보안을 융합보안의 개념에서 연구하고 실천하는 노력이 절실한 시점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국가정보원, '첨단산업기술보호동향 제10호', 2009, http://www.service4.nis.go.kr 에서 2014년 3월 1 일 검색
  2. 국방부, '방위산업보안업무훈령', 대한민국정부. 2012.
  3. 국방부, '방위사업법', 대한민국정부, 2014.
  4. 김영수, "방위산업의 보안 관련 법률 검토 - 형사 처벌 법규를 중심으로", 산업보안연구학회지, 제2권, 제2호, pp. 49-90, 2011.
  5. 김정덕, 김건우, 이용덕, "융합보안의 개념 정립과 접근방법", 정보보안학회지, 제19권, 제6호, pp. 68-73, 2009.
  6. 두산백과사전, http://www.doopedia.co.kr 에서 2014년 5월 1일 검색.
  7. 미래창조과학부, "보도자료: 정보통신기술 융합보안 시장 활성화를 위하 첫걸음 내딛어 - 안전한 정보통신기술 융합 발전을 위한 융합보안 시범사업 착수", http://www.misp.go.kr 에서 2014년 5월 1일 검색.
  8. 산업기술보호센터, "소리없는 경제전쟁, 기술유출: 산업스파이 적발통계 인포그래픽", http://www.service4.nis.go.kr 에서 2014년 3월 1일 검색.
  9.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융합촉진법', 대한민국정부, 2014.
  10. 안황권, "시큐리티 환경변화에 따른 융합보안의 대두와 물리보안업체의 대응", 정보.보안 논문지, 제11권, 제5호, pp. 31-40, 2011.
  11. 우광제, 송해덕, "DACUM기법을 이용한 방위산 업체 정보통신보안실무자 직무분석", 융합보안논문지, 제14권, 제4호, pp. 73-84, 2014.
  12. 이근호, "IT 융합보안에서의 위협요소 분석",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1권, 제1호, pp. 49-55, 2010.
  13. 이창무, "산업보안의 개념적 정의에 관한 고찰". 산업보안연구학회논문지, 제2권, 제1호, pp. 73-90, 2011.
  14. 이창훈, 하옥현, "기밀유출방지를 위한 융합보안 관리체계", 정보.보안 논문지, 제10권, 제4호, pp. 61-67, 2010.
  15. 정병수, 류상일, 김화수, "산업보안의 연구경향 분석 - 학술연구정보서비스(2000년-2011년)를 중심으로", 한국치안행정논문, 제9권, 제2호, pp. 195-215, 2012.
  16. 지식경제용어사전, http://www.terms.naver.com에서 2014년 5월 1일 검색.
  17. 최경호, 이동휘, 김민수, 김종민, 김귀남, "융합보안 서비스 사이언스를 위한 기상정보 활용모델 연구", 융합보안 논문지, 제13권, 제3호, pp. 79-84, 2013.
  18. 최진묵, 권정옥, "융합보안시장 동향 보고", 삼성 SDS저널, 제7권, 제2호, pp. 13-29, 2010.
  19. 하옥현. "산업보안을 위한 융합보안관제시스템에 관한 연구", 정보.보안 논문지, 제9권, 제4호, pp. 1-6, 2009.
  20.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www.encykorea.aks.ac.kr 에서 2014년 5월 1일 검색.
  21. 한국산업보안연구학회, '산업보안학', 박영사, 2011.
  22. ASIS, 'Convergence of security risks', ASIS International, Retrieved May 4, 2014 from http://www.asis.org.uk/documents.
  23. K. E. Anderson, "Convergence: A holistic approach to risk management". Network Security, Vol. 2007, No. 5, pp. 4-7, 2007. https://doi.org/10.1016/S1353-4858(07)70033-8
  24. E. G. Booz, J. L. Allen, and C. L. Hamilton, 'Convergence of Enterprise Security Organization', The Alliance for Enterprise Security Risk Management, 2005.
  25. B. T. Contos, S. Hunt, and C. Derodeff, 'Physical and logical security convergence: Powered by enterprise security management', Syngress Publishing, 2007.
  26. Deloitte. 'The convergence of physical and information security in the context of enterprise risk management', AERSM, 2007.
  27. J. Fay, 'Contemporary security management', Elsevier, 2010.
  28. A. Jones, "Convergence", Information Security Technical Report, Vol 12, pp. 69-73, 2007. https://doi.org/10.1016/j.istr.2007.04.001
  29. J. Kang, J. Lee, C. Hwang, and H. Chang, "The study on a convergence security service for manufacturing industries", Telecommunication Systems, Vol. 52, No. 2, pp. 1389-1397, 2013.
  30. S. Kim and C. S. Leem, "Enterprise security architecture in business convergence environments", Industrial Management & Data Systems, Vol. 105, No. 7, pp. 919-936, 2005. https://doi.org/10.1108/02635570510616111
  31. S. M. Rahman and S. E. Donahue, "Convergence of corporate and information security",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and Information Security, Vol. 7, No. 1, pp. 63-68, 2010.
  32. E. E. Schultz, "Risks due to convergence of physical security systems and information technology environments", Information Security Technical Report, Vol. 12, pp. 80-84, 2007. https://doi.org/10.1016/j.istr.2007.06.001
  33. D. Slater, 'Security convergence, Defined', CSO online, 2005, Retrieved May 4, 2014 from http://www.csoonline.com/article/2118703/security-leadership/security-convergence--defined.html.
  34. D. Tyson, 'Security convergence: Managing enterprise security risk', Butterworth-Heinemann, 2007.
  35. H. S. Venter and J. H. P. Eloff, "A taxonomy for information security technology", Computer & Security, Vol. 22, No. 4, pp. 299-307, 2003. https://doi.org/10.1016/S0167-4048(03)00406-1
  36. Wikipedia, "Defense industry", Retrieved May 4, 2014 from http://en.wikipedia.org/wiki/Defence_Indus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