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vergence Factors

검색결과 5,113건 처리시간 0.037초

청소년의 식생활 안전관리역량과 식생활 영역을 활용한 융합의 가치 인식 및 효능감, 역량과의 상관성 연구 (Correlation between adolescents' dietary safety management competency and value recognition, efficacy, and competency of convergence using dietary area: a descriptive study)

  • 김윤화;이연경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17-328
    • /
    • 2023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adolescents' dietary safety management competency, value recognition, efficacy, and competency of convergence using the dietary area (CUDA).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48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Daegu, Gyeongbuk and Seoul, Gyeonggi using a self-administered five-point Likert scale questionnaire from May to July 2021. A questionnaire was used to investigate dietary safety management competency, awareness of convergence, recognition of the benefits, efficacy, and competency of CUDA. Results: We conducted factor, reliability,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using SPSS 25. The average scores for each factor were: dietary significance (3.68); dietary safety management knowledge (3.34); food selection and cooking (3.72); nutrition management (3.38); weight management (3.28); risk dietary management (3.13); CUDA interest (2.98); convergence necessity (3.50); benefits in specialized areas (3.31); benefits in everyday life (3.48); efficacy of science and technology convergence (3.35); convergence efficacy with humanities, social science, and arts (3.31); and CUDA competency (3.41). The score for interest in CUDA was lower than that for the recognition of CUDA benefit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all factors except between risk dietary management and both nutrition and weight management (P < 0.01). Interest in CUDA and recognition of the need for convergence exhibited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all factors of the perception of CUDA benefits and efficacy. The subgroup factors of dietary safety management competency and the recognition of CUDA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UDA competency (P < 0.001, R2= 0.58). Conclusions: Strengthening dietary safety management competency and increasing the awareness of CUDA can enhance adolescents' convergence competency. Therefore, CUDA and targeted education must be actively promoted among adolescents.

The study on Analysis of factors of restaurant start-ups using big data

  • JINHO LEE;Sung woo Park;Gi-Hwan Ryu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2권3호
    • /
    • pp.163-167
    • /
    • 2023
  • The restaurant industry is an industry with low entry barriers, and furthermore, it is an indispensable industry in life. However, for the restaurant industry, it is necessary to start a business considering many factors. In particular, the comparative group for each restaurant industry is different, and the commercial area analysis should be analyzed differently. Moreover, counseling for restaurant start-ups is still sticking to how to start a restaurant by meeting with each franchise supervisor or counselor. Therefore, a restaurant start-up chatbot is needed for prospective restaurant founders, and a food tech chatbot is needed to collect basic data. Therefore, in this study, factors for restaurant start-ups were divided into youth, preliminary start-ups, menus, taste, and food. In the case of restaurant start-ups with low entry barriers, it was confirmed as the most preferred start-up by young people. However, indiscriminate restaurant start-ups not only increase the closing rate but als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household debt, so accurate consulting should be used to lower the closing rate and increase the success rate. Furthermore, theories and measures for food technologies such as chatbots should be further developed to obtain accurate information on franchise start-ups.

지식기반 데이터 방법론을 이용한 비즈니스 정보시스템 프로세스 융합 (Convergence of Business Information System Process using Knowledge-based Method)

  • 김영준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65-71
    • /
    • 2015
  • 기업에서의 비즈니스 전략 및 정보시스템의 역할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는 정보기술 환경으로 인하여 다양한 변화 및 융합을 시도하고 있다. 특히 빅 데이터의 등장과 더불어 지식기반 분석은 비즈니스 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전략적인 계획분야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 다수의 연구들과 실제적인 응용을 통해서 정보시스템 전략 프로세스에 영향을 주는 조직적, 기술적, 환경적 요인들이 구체적으로 소개되고 있다. 이러한 정보시스템 계획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입력, 프로세스, 출력의 절차적인 계획 프로세스에 포함시키고 있다. 본 연구는 정보시스템 계획을 수립하는 데 있어서 요인들과 정보, 프로세스 사이에 존재하는 의사소통 구조 요소를 발견하고 그 융합에 대해 연구한다. 비즈니스 정보시스템 프로세스 융합을 통하여 전략 목표를 평가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분석한다.

융합 IT 환경의 물리적 취약요인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hysical vulnerability factors in the convergence IT environment)

  • 전정훈;안창훈;김상춘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59-68
    • /
    • 2016
  • 최근 국내 외 여러 산업분야에서는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과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cloud computing service), 빅 데이터(big data) 등과 같은 융합 IT기술들의 등장으로 보안에 대한 중요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산업 보안(Industrial Security) 시장은 점차 커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보안 기술의 진화뿐만 아니라 취약성 또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IT 환경으로의 진화로 인한 물리적 취약요인의 증가는 여러 산업분야들의 보안성을 결정짓는 잣대가 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에 대해 본 논문은 융합 IT환경에서의 물리 보안 기술들과 적용 사례, 물리적 취약요인들에 대해 조사 및 분석해 봄으로써, 향후, 물리적 침해 및 공격에 대한 대응 방안 마련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기업지원서비스의 융복합 요인에 관한 연구 : 충남·세종 기업을 대상으로 (A Study on Corporate Support Service Convergence Factors that Influence Corporate Performance: Targeting Corporations in Sejong City and Chungnam)

  • 노희경;이상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193-200
    • /
    • 2017
  • 본 연구는 지역산업진흥정책의 기업지원서비스 수혜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지원사업을 통해 제공받은 서비스의 융복합 요인이 종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종합만족도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기업지원 서비스 품질 요인 중 지원품질을 제외한 지원과정 및 지원결과 요인은 종합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종합만족도는 기업성과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업지원 서비스 품질 중 종합만족도 및 기업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보완되어져야 하는 서비스의 융복합 요인의 판단 근거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니고 있다.

융합과정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Satisfaction by Characteristics of Processes Established in the Integration Curriculum)

  • 이경숙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198-204
    • /
    • 2019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로 각 대학과 우리나라 정부는 이러한 패러다임의 변화의 시대에 능동적으로 적응하고 창의적 역량을 키울 수 있는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일환으로 다양한 융합교육과정을 개설하고 있다. 새로운 교육과정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교육과정의 지속적 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사업내용이 차이가 있는 3개의 세부과정으로 구성된 융합교육과정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측정도구는 SERVQUAL을 기반으로 한 만족도 조사도구를 사용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지역학부분은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이 인문융합과정과 인문심화 과정은 교수자의 자질 및 신뢰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불쾌증상이론을 융합한 간경변증 환자의 삶의 질 예측요인 (Factors Influencing on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Convergence on the Theory of Unpleasant Symptoms)

  • 김지숙;서영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4호
    • /
    • pp.271-281
    • /
    • 2015
  • 본 연구는 간경변증 환자의 삶의 질의 예측요인을 알아보고자 불쾌증상이론을 융합하여 시도하였다. 연구방법은 간경변증 진단을 받은 환자 198명을 대상으로 증상경험과 생리적 요인, 심리적 요인, 상황적 요인, 삶의 질 등을 설문조사하였다. 자료수집은 2014년 4월부터 5월까지 이루어졌으며, 자료분석은 PASW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s와 multiple regressions analysis하였다. 분석결과, 간경변증 환자의 삶의 질은 질병기간(${\beta}=.19$, p<.001), 증상경험(${\beta}=.19$, p=.032), 생리적 요인(${\beta}=.15$, p=.008), 심리적 요인(${\beta}=.39$, p<.001), 상황적 요인(${\beta}=.32$, p<.001) 등이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이들 변인은 삶의 질에 51.8% 설명하였다(F=15.57, p<.001). 간경변증 환자의 삶의 질은 불쾌증상이론의 요인과 관련성이 높았으며, 이들 변인을 고려한 맞춤형 중재프로그램을 제안한다.

신장이식환자의 자가간호이행 영향 요인 및 경과기간별 이행정도 (Self-care adherence in kidney transplant recipients: Convergence factors and elapsed time analysis)

  • 배수정;김민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3호
    • /
    • pp.259-266
    • /
    • 2017
  • 본 연구는 신장이식 대상자의 자가간호이행에 영향을 주는 융복합 요인 및 경과기간에 따른 자가간호이행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신장이식을 받은 대상자 235명이며, 2014년 9월부터 10월까지 자료수집을 실시하였다. 자가간호이행도에 영향을 주는 융복합 요인으로는 나이가 많을수록(B=.007), 여자일수록(B=.157), 이식 후 경과기간이 짧을수록 (B=-.001) 자가간호이행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신장이식 후 1년 이상~5년 미만군부터 자가간호이행의 감소가 크게 나타났으며, 지속적으로 감소되었다. 신장이식 후 합병증 발생을 최소화 하고, 이식 신장을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자가간호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자가간호이행이 낮아지는 경과기간을 파악하여 자가간호를 강화시킬 수 있는 지속적이고 구체적인 자가간호 강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

융합교육 핵심요인과 기대효과에 대한 델파이 분석 (A Study of the Key Factors and Expected Outcomes of Convergence Education using a Delphi Technique)

  • 조은별;이선영;신종호;홍윤정
    • 영재교육연구
    • /
    • 제25권1호
    • /
    • pp.37-58
    • /
    • 2015
  • 본 연구는 개념적 혼란이 지속되고 있는 융합교육의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융합교육의 현장경험을 가진 교사 19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총 3차의 델파이 연구가 실시되었으며, 융합교육의 특성으로서 핵심요인과 기대효과를 도출하였다. 융합교육의 전제 조건인 핵심요인은 학습자의 다양한 질적 경험을 위해 교육내용과 교육방식의 개방적이고 융통적인 활용을 강조하는 '교육설계', 교사, 교사-동료 간, 교사-학습자 간의 관계 속에서 발휘되는 교사의 역량을 의미하는 '교사전문성', 다양한 교육주체의 심리적 지원을 통해 융합교육을 가능하도록 하는 '교육환경'으로 유형화되었다. 융합교육의 기대효과는 '학습자의 인지적 특성', '학습자의 정의적 특성', '교사 및 교육체제' 차원에서의 변화를 포함하였으며, 융합교육이 교육 본연의 가치를 실현하는 하나의 틀로서 인식되었다. 본 연구에서 융합교육은 다수의 일반적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교육적 가치 실현을 지향하며, 다양한 교육내용과 교육방식을 적용하고 교사의 전문성을 비롯한 관련 교육주체의 심리적 요인이 중요한 핵심요인으로 다루어진다는 특성을 나타냈다. 연구의 결과는 융합교육의 실체를 다각적인 이해의 틀을 가지고 교육 현장의 맥락에서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유즈 케이스 기반의 융.복합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을 위한 요소 기술 분석 및 서비스 모델 개발 (Analysis of Technical Factors for Multidisplinary Cloud Service Model and Development of Service Model based on Use Case)

  • 서광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0호
    • /
    • pp.545-550
    • /
    • 2012
  • 세계 IT 융합산업의 시장은 규모는 더욱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며 클라우드 컴퓨팅은 산업간 융합 환경을 지원하기 위한 유용한 솔루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와 같이 클라우드 컴퓨팅이 일반화되고 그 서비스가 재편됨으로써 기존의 다른 응용 기술과의 융 복합된 서비스 구조 및 형태를 예측하고 개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필수적인 일이다. 본 연구에서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한 기술 요소뿐만 아니라 효율적인 서비스 모델링을 위하여 지금까지 많은 시스템들이 구축에 활용되었던 유즈 케이스(Use Case)를 활용하여 다양한 융 복합 서비스 모델을 위한 요구사항 및 요소기술을 도출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실제로 융 복합 클라우드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유즈 케이스 기반의 영역간의 서비스 통합을 통하여 새로운 부가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다양한 융 복합 모델을 제시를 위한 기반자료로써 활용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