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tinuous use intention

검색결과 352건 처리시간 0.029초

이모티콘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모바일 메신저 서비스를 중심으로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Continuous Usage Intention of Emoticon : Focused on Mobile Messenger Service)

  • 이소라;장정빈;김광회;최정일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89-308
    • /
    • 2014
  • Mobile instant messaging (MIM) has been widely used in modern society due to its portability, speed and ease of use. In addition to simple text-based messaging, mobile instant message has now expanded to include graphics, images, and video. Many instant message service providers attempt to differentiate their service by providing an unique emoticon. Therefore, understanding the factors that affecting the continuous usage of emoticon is essential to capture users' interest. There is relatively little study on emoticon in information systems field. Hence,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continuous usage of emoticon through exploring the property of emoticon and usage motivation of emoticon.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attempts to demonstrate practical implication of marketing on understanding user interest to mobile instant messenger service provider.

온라인 커뮤니티 사이트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Factors Affecting the Continuous Usage Intention of Online Community Sites)

  • 정다미;이충권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4권1호
    • /
    • pp.44-51
    • /
    • 2015
  • 온라인 커뮤니티는 개인과 개인 사이의 관계를 가지고 있는 사랑들 간에 존재하는 연결선으로 볼 수 있다. 온라인 커뮤니티에 대한 관심이 날로 커지면서 전 세계적으로 온라인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하는 웹 사이트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커뮤니티의 개념을 체계적으로 정립하고, 온라인 커뮤니티 사이트의 특성요인을 파악하여 커뮤니티에 대한 몰입과 사이트에 대한 만족도가 지속적인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SNS 피로감 유발요인: 지속사용의도 및 중단의향에 미치는 영향 (The Antecedents of SNS Fatigue: Influences on Intention to Continuous Usage and Discontinuing Intention)

  • 이은지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21-29
    • /
    • 2018
  • SNS 사용자의 폭발적인 증가와 함께 최근 이에 따른 여러 가지 부작용이 대두되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은 'SNS 피로감(SNS Fatigue)'으로 이는 SNS를 이용하며 느끼는 스트레스와 피로감을 의미한다. SNS 피로감은 사용자를 SNS 중단 및 전환에 이르게 하며, 정신적 그리고 신체적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에 따라 최근 국내에서는 SNS 역기능과 관련된 연구들이 이루어졌지만 세부적인 SNS 피로감 유발요인과 지속 및 중단의향과의 관계에 대한 규명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1) SNS 피로감을 유발하는 요인을 구체적으로 알아보고 (2) 각 피로감 유발 요인들이 SNS 지속사용의도와 중단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 결과 SNS 사용자의 피로감을 유발하는 요인은 세부적으로 7가지; 상대적 박탈감, 관계부담, 관리부담, 정보 과부하, 프라이버시 염려, 평판걱정(게시 후), 평판걱정(게시 전);로 추출되었다. 또한 지속사용의도에는 상대적 박탈감 요인이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관리부담과 평판걱정(게시 전)요인이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반면 중단 의향에는 상대적 박탈감과 정보 과부하 요인이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평판 부담(게시 전)요인이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게시물에 노출되는 독자 입장에서 발생하는 피로감 유발요인이 SNS 중단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게시물을 작성하는 작가 입장에서 발생하는 피로감 유발요인은 SNS 지속사용에 영향을 미침을 조명하였다.

  • PDF

이용자의 혁신저항이 모바일 건강 앱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novation Resistance of Users on Intention to Use Mobile Health Applications)

  • 김동훈;이용정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5-20
    • /
    • 2020
  • 본 연구는 건강관리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많은 양의 건강 앱이 생산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이용 수준이 낮은 원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즉, 이용자가 지닌 혁신저항(사용 장벽 정도, 가치 장벽 정도, 위험 장벽 정도, 전통 장벽 정도, 이미지 장벽 정도)이 건강 앱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378개의 유효한 응답을 얻었다. 연구 결과, 이용자의 이미지장벽 정도가 높을수록 건강 앱에 대한 혁신저항 정도가 높아지며, 혁신저항 정도가 높을수록 지속적 이용의도 정도와 추천의지 정도가 낮게 나타났다. 또한, 사용장벽 정도, 가치장벽 정도 그리고 전통장벽 정도는 혁신저항 정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건강 앱의 이용행태를 혁신저항이론으로 설명함으로써 신기술의 수용 및 지속적 사용에 대한 학문적 논의를 심화시켰다. 연구 결과는 건강 앱의 수용 및 지속적 이용을 위해서는 사용장벽, 가치장벽 그리고 전통장벽보다는 이미지장벽을 낮추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라는 실질적 함의를 제공한다.

Investigation of Floss Preference by Types and Future Use Intention according to Floss Experience

  • Kim, Myoung-Hee;Yun, Hae Yeon;Park, Ji Hyeon;Hwang, Young Sun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48-155
    • /
    • 2022
  • Background: The use of dental floss along with a toothbrush is a well-known oral hygiene product that effectively removes dental plaque and reduces the risk of dental caries and periodontal disease. Despite the fact that various types of floss are being used, flossing methods based on the thread type are being taught. In addition, personal preference according to the floss types has not been investigated. In this study, individual preferences according to the floss types were investigated by experiencing various types of dental floss to both floss users and non-users. In addition, the change in intention to use dental floss in the future after flossing experience of non-users was investigated. Methods: General public participated in the individual interview survey (n=419). Subject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after using all of the thread type, Y-type, and C-type floss. All statistics were expressed frequencies and percentages for categorical variables, and the chi-squared test was used to determin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associations between the variables.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preference of C-type floss was highest in both floss users and non-users. The biggest reason for not using dental floss was not knowing the necessity of flossing (36.4%). In addition, both floss users and non-users responded that C-type floss was suitable for flossing in the anterior and posterior regions. The change in the positive future intention to use dental floss after flossing experience of non-use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ge. Conclusion: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re is a need to provide education on how to use dental floss in various forms. Based on this, it will be possible to lead a change in individual's attitude for future oral health through active and continuous flossing experience.

온라인 무용교육의 교육서비스품질이 사용자만족, 지속사용의도, 학업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Education Service Quality of Online Dance Education on User Satisfaction, Intention to Continue Use, and Intention to Continue Study)

  • 김규진;나윤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호
    • /
    • pp.401-410
    • /
    • 2021
  • 코로나 사태 이후, 대학 및 평생교육원의 예체능 수업은 온라인으로 주로 실시하고 있다. 대면 수업을 통한 실기 연습이 중요한 무용 역시 온라인 교육의 한계 등으로 학생들의 만족도가 떨어지고 있다. 따라서 온라인 수업을 듣는 무용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느끼는 교육서비스품질을 측정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이들의 불만이 가중되어 휴학 등 학업이탈 역시 늘고 있는 상황이므로 온라인 교육과 관련한 사용자 만족, 지속사용의도, 학업지속의도를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 모형적합도 및 타당성 검증, 경로분석을 거쳐 이들 4개 변수들 간 인과관계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총 6개의 가설 중에서 3개가 채택되었고 세부적으로 교육서비스 품질은 사용자 만족과 지속사용의도에, 사용자 만족은 지속사용의도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끼쳤다. 반면, 학업지속의도를 종속변수로 하는 가설들은 모두 기각되었다. 이를 종합하면 교육서비스품질은 온라인 무용교육에서도 만족과 사용 등에 긍정적 영향을 끼치는 중요한 변수라는 것을 확인했다는 점과 그럼에도 불구, 학업지속의도에까지는 영향을 끼치지 못하는 한계점을 확인하였다. 일시적 사용자 만족 이상의 중장기 교육문제인 학업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온라인 교육 품질 개선 외에 다양한 사회적 변수를 고려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유전자은행의 운영성과 제고를 위한 유전자원이용촉진 판별요인의 탐색 (Discriminant Factors Influencing Utilization of Genetic Resources)

  • 성봉석;조원권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5권3호
    • /
    • pp.95-113
    • /
    • 2016
  • 본 연구는 유전자은행을 통한 유전자원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맥락에서 유전자은행의 유전자원이용에 대한 만족과 지속적 이용의 정도차이를 판별할 수 있는 요인, 즉 유전자원이용자(=연구자)가 유전자원에 부여하는 유용성 속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문헌 고찰을 통해 연구자들이 유전자원에 부여하는 유용성 속성을 연구 활동에의 부합성, 유용특성정보, 활용가치, 연구 활동의 촉진성, 신규성으로 도출하고, 미생물유전자원을 이용하는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유전자원이용정도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유전자원이용에 대한 만족과 지속적 이용에 기초하여 분류)을 판별할 수 있는 유용성 속성의 파악을 위해 판별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5개의 유용성 속성 중에서 유전자원의 활용가치와 연구 활동에의 부합성이 판별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용특성정보와 연구 활동의 촉진성은 판별력이 그리 높지 않았으며, 신규성은 판별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유전자원의 활용촉진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였으며, 본 연구의 한계점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향후 연구방향도 제시하였다.

  • PDF

틱톡의 수준별 추천 서비스에 따른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프라이버시계산 모델을 중심으로 (Effect of TikTok's Level-specific Recommendation Service on Continuous Use Intention: Focusing on the Privacy Calculation Model)

  • 장열;진정숙;박주석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4권3호
    • /
    • pp.69-91
    • /
    • 2022
  • 짧은 동영상의 대표서비스인 틱톡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프라이버시 계산 모델을 이용하여 틱톡의 추천서비스 유형(추천서비스 정도에 따라서 3단계로 구분함)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인지된 위험, 인지된 혜택, 지속적 사용의도)과 인지된 위험과 인지된 혜택이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뿐만 아니라 지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조절하는 호기심의 역할이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인지된 혜택(인지된 정보성)요인과 지속적 사용의도는 추천서비스 유형중에서도 고, 저, 중 추천 서비스정도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인지된 혜택(인지된 오락성)과 인지된 위험(프라이버시 심각성, 프라이버시 침해 가능성)은 고, 중, 저의 추천 서비스정도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인지된 혜택(인지된 정보성, 인지된 오락성)은 지속적 사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나, 인지된 위험(프라이버시 심각성, 프라이버시 침해 가능성)은 지속적 사용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프라이버시 계산모델에서 호기심은 조절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사용자들은 추천서비스의 프라이버시에 대한 우려와 서비스에 대한 혜택 모두를 인지하고 있으며, 추천서비스에 대해서 위험과 혜택이 모두 있지만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이용할 것으로 나타났다. 더 많은 연구를 통해서 추천시스템의 긍정적인 효과와 부정적인 반응을 비교하여 사용자들의 프라이버시 허용정도에 대해서 좀 더 알게 되었을 때 추천서비스를 염려없이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스마트폰 채택 및 지속사용에 있어 사용자 저항과 사회적 영향력의 역할에 대한 탐색연구 (Exploring the Roles of User Resistance and Social Influences on Smartphone Acceptance and Continuous Usage)

  • 최새솔;유재흥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19권4호
    • /
    • pp.41-59
    • /
    • 2012
  • This study examines the roles of user resistance and social influences on the acceptance and continuous usage of smartphones at different stages of adoption. The responde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ir innovation adoption stage : non-user group, the potential user group and the trial user group. Theories relevant to user resistance, social influences including normative social influences and informational social influences, as well as user adoption and continuance behavior were reviewed and integrated into our research model. In order to verify the proposed structured equation model, we conducted an online survey by targeting mobile phone users and collected data to be analyzed through a partial least squares (PLS) test. This study tested whether there exists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user resistance and different types of social influence on user's adoption or continuance intetion among these three groups. The results showed that user resistance exists in all adopter groups and that it has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s on intention to use a smartphone. The findings also revealed that user resistance can be enhanced or resolved by two types of social influence; informational social influence resolves user resistance regardless of the adopter category, while normative social influence enhances the user resistance of potential users. Furthermore, the findings show that social influence regardless of the type positively affects user intention. Several theoret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pertaining to the results are discussed.

스마트홈 대화형 인터페이스의 의인화 효과 음성-채팅 인터랙션 유형에 따른 실험 연구 (Effects of Anthropomorphic Conversational Interface for Smart Home: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Voice and Chatting Interactions)

  • 홍은지;조광수;최준호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5-23
    • /
    • 2017
  • 이 연구는 인간성의 개념과 구성 요인들을 스마트 홈 맥락에서 대화형 에이전트에 적용하여, 의인화의 수준과 인터랙션 유형이 사용자 감성 경험과 향후 이용 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연구를 통한 분석 결과 의인화의 고-저 수준과 인터랙션의 음성-채팅 유형은 친밀도, 호감도, 향후 이용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의인화 수준이 높고, 음성 인터랙션인 경우 대화형 에이전트를 더 친밀하고 호감이 가며 향후에도 계속해서 이용하고 싶은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의인화의 고-저 수준과 관계없이, 채팅에 비해 음성 인터랙션이 심리적 저항감이 낮았다. 향후 이용 의도에 대해서 의인화 수준과 인터랙션 유형의 상호작용 효과가 발견되었다. 즉, 채팅 인터랙션은 의인화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음성 인터랙션의 경우 의인화의 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음성 대화형 스마트홈 에이전트는 의인화 수준을 높이는 방향으로 설계가 되어야 사용자들의 지속적 이용을 기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