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tainer Shipping Company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7초

외항 화물운송업의 재무분석 및 성과에 미치는 요인 연구 (Financial Analysis and Effects on Performance of Offshore Freight Shipping Companies)

  • 장승욱;안우철
    • 해운물류연구
    • /
    • 제34권4호
    • /
    • pp.615-635
    • /
    • 2018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외항 화물운송기업을 대상 2008년부터 2017년까지의 자료를 이용하여 보유 선박 유형에 따른 기업의 재무적 특성과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을 위하여 보유 선박 유형을 LNG선, LPG선, 벌크선, 원유석유제품류운반선, 일반화물선, 풀컨테이너선 등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외항 화물운송기업의 전체 부채비율이 다소 증가하고 있으며, 보유 선박유형별 재무적 특성과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LPG선은 기업규모와 부채비율, 벌크선은 성장률, 일반화물선은 기업규모, 부채비율, 연수, 마지막으로 풀컨테이너선은 기업규모, 성장률, 부채비율, 접대비비율 및 연수가 총자산순이익률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각 해운선사들은 보유선박유형에 따라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재무적 요인들의 차이를 인식하고 이에 따른 선제적 조치와 선박포트폴리오의 다각화를 추진할 필요가 있다.

컨테이너터미널 자동화에 대한 관련 주체별 인식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the Subjects about Automated Container Terminal)

  • 유지원;김율성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195-202
    • /
    • 2020
  • 선박 대형화는 규모의 경제 추구를 위한 글로벌 해운선사들의 생존전략이며, 이러한 전략에 따라 허브항만에서 많은 화물을 동시에 적양하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컨테이너터미널은 터미널 시설 확충과 장치장 공간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자동화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유럽의 항만은 지속적인 인건비 상승과 부족한 노동력 문제 해결을 위하여 자동화를 도입하였으며, 최근 세계경제의 저성장과 초대형 선박의 등장, 대기오염, 안전사고 등에 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 중국 등 각국에서 완전자동화 컨테이너터미널 건설이 증가하고 있다. 국내 항만은 국외 완전자동화 컨테이너터미널과 비교하면 자동화 도입 초기 단계이며 변화하는 항만환경에 대한 대응책으로 자동화 도입을 추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컨테이너터미널 관련 이해관계자의 인식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집단 간 인식을 파악한 결과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사는 인건비 감소, 해운선사는 서비스 향상, 항운노조는 안전사고 예방, 항만공사 및 정부기관은 서비스 향상의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집단 간 인식을 면밀히 살펴보고자 일원배치 분산분석(One Way Anova)을 수행한 후 집단 간 이해관계를 살펴보기 위한 기초자료로써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컨테이너 항만의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The Port Marketing Strategies of the Container Terminal)

  • 정태원;곽규석
    • 한국항만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41-50
    • /
    • 1999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the port marketing strategies for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 power of container terminal. So far many attempts have been made to analyze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the terminal. Six factors hypothesized by this study come from previous research analyses about customers preference for port selection. Those are Cost Centrality and Intermediacy Free trade port Inland transportation connections Political and Economic institution and Port facilities. this study analyzes the most important factors about hob port and transhipment port separately through questionnaire analysis about users(shipper shipping company and freight forwarder) influencing on port sele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ound as follows:

  • PDF

우리나라 해상물동량 추정 (Estimation of Port Traffic in Korea)

  • 장봉규;양항진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55-274
    • /
    • 2005
  • To acquire a port traffic, governments in North-East Asia have intensively invested port development. Furthermore, the major shipping company directly make a call at northern chinese ports like Qingdao, Dalian and Tianjin. Those changes of port environment will have a considerable effect on a port traffic in Korea. In order to prepare against those changes, it is necessary to estimate a port traffic in Korea A port traffic in Korea is estimated by the use of explanation variables like GDP of Korea, real effective exchange rate, world economic performances and the trade in China, et al. When GDP in Korea goes up 1%, it is estimated that container port traffic of all ports and Pusan Port is upward $1.0{\sim}1.2%$ and $0.8{\sim}0.9%$ respectively. When the trade in China goes up 1%, it is estimated that Container transshipment is upward $1.6{\sim}1.7%$ approximately.

  • PDF

컨테이너 항만의 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The Port Maketing Strategies of the Container Terminal)

  • 정태원;곽규석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1998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21세기에 대비한 지능형 통합항만관리
    • /
    • pp.331-351
    • /
    • 1998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the port maketing strategies for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 power of container terminal. So far many attempts have been to analyze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the terminal. As a results, Six factors hypothesized by this study come from previous research analysis about customers preference for port selection. Those are Cost, Centrality, and Intermediacy, Free trade port, Inland transportation connections, Political and Economic institution, and Port facilities. This study analyze the most important factor about hub port, and transhipment port separately, though questionnaire analysis about users(shipper, shipping company, and freight forwarder) influenced on port sele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ound as follows : Equations See Full-text

  • PDF

컨테이너 선사 종사자의 직무환경 요인이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H사의 육상직과 해상직간 차이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Job Environmental Factors 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Container Shipping Workers -Focu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Land and Maritime Workers of 'H' Liner Shipping Company-)

  • 이원우;류희찬;이충배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43-158
    • /
    • 2022
  • 2010년대 부터 지속적인 해운산업의 불황과 최근 코로나19 팬데믹 등의 영향 등으로 해운산업은 많은 부침을 겪어오면서 종사자들의 직무에 대한 인식, 만족도, 이직의도 등도 커다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본 연구는 정기선 해운선사 종사자들이 갖는 직무환경 요인이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육상과 해상직 종사자들간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해운전문 인력 확보와 인사정책에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을 위해 선사 종사자의 직무환경 요인을 업무요인, 관계요인, 인사요인, 보수요인으로 구분하고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 간의 관계를 검정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과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직무환경 요인인 업무, 관계, 인사, 보수요인은 직무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만족도는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간 비교분석에서 해상직 종사자 집단은 육상직에 비해 업무 만족도가 높고 이직의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광양항 컨테이너 터미널 선석 재배치에 따른 기대효과 분석 (Estimating Benefits of Gwangyang Port Container Terminals' Berth Relocation)

  • 고용기;한상훈
    • 무역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141-159
    • /
    • 2020
  • Container terminals at Gwangyang Port are operated by three container operators: A, B and C. Ultimately, there is consensus that a single operator should operate all terminals so that economies of scale can be achieved even in the operation of the container terminal. Integration between operators has a positive effect on both operators and shipping companies. From the operator's point of view, overlapping fixed costs between operators can be unified, reducing overall costs and utilizing spare facilities. On the other hand, from the viewpoint of the shipping company, it is possible to ensure stable use of the port facilities and always allow berthing, reduce days on demurrage and ship waiting, and provide one-stop service for work. However, existing cases of operators' integration or relocation of terminals remained to estimate the expected effects of alternatives, emphasizing only the financial point of view. The port terminal is a large system, and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at it is an aggregate of major logistics facilities and equipment. Moreover, if the estimation can be made by quantifying the expected effect, the justification of the terminals' relocation can be further emphasized.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estimate the expected effect from the viewpoint of systemic operation. Moreover, the need for operators' integration can be further emphasized if it can be estimated through quantification of expected effects. Currently, three alternatives are considered as alternatives to the terminals' relocation, and in this study, the optimal plan was derived for the 3 alternatives by the linear planning model of the minimum shuttle transportation cost in the terminal. The optimal plan is alternative 2, which shows the most advantageous integration effect in terms of expected effects. Alternative 2 integrates the B terminal into the C terminal, and the A terminal operates independently as it is.

정기선사의 컨테이너 재고 수요예측모델 구축에 대한 연구 (Establishing a Demand Forecast Model for Container Inventory in Liner Shipping Companies)

  • 전준우;정길수;공정민;여기태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1-13
    • /
    • 2016
  • 본 연구는 System Dynamics를 이용하여 선사 컨테이너 인벤토리의 수요를 장비 Type/size별 예측, Port별 예측, Weekly 예측을 통해 보다 정교한 예측모델을 구축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예측은 중국의 상하이항과 얀티안항을 대상으로 하였다. 컨테이너 인벤토리는 수요가 많고 유효한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는 Dry 컨테이너 20', 40', High cube 40'으로 한정하였다. 시뮬레이션 기간은 2011년-2017년이며, 선사에서 실제 예측하는 단위인 Weekly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모델의 정확도 검증을 위해 절대비율 평균오차(MAPE)를 적용한 결과 상하이 Dry 40' 수요, 상하이 Dry High cube 40' 수요, 상하이 Dry 20' 공급, 상하이 Dry 40' 공급, 상하이 Dry High cube 40' 공급 예측 모델은 $$0%{\leq_-}MAPE{\leq_-}10%$$에 속하는 매우 정확한 예측 모델로 검증되었다. 그 외의 상하이 수요 공급 예측 모델은 $$10%{\leq_-}MAPE{\leq_-}20%$$에 속해 비교적 정확한 예측 모델로 검증되었다. 얀티안 Dry High cube 40' 수요, Dry 20' 공급 예측 모델은 $$0%{\leq_-}MAPE{\leq_-}10%$$에 속해 매우 정확한 예측 모델이며, 그 외의 얀티안 수요 공급 예측 모델은 $$10%{\leq_-}MAPE{\leq_-}20%$$에 속해 비교적 정확한 예측 모델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예측 모델은 실제 선사에서 관리중인 데이터와 비교해도 높은 정확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모델은 지역 수요예측 담당자 및 본부의 인벤토리 컨트롤 담당자가 참고자료로 유용하게 사용 가능하다.

부산항 컨화물의 연안환적운송 활성화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Coastal T/S Transport Activation of Busan Port Container Cargoes)

  • 채희정;안기명;김광희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59-165
    • /
    • 2008
  • 우리나라 연안컨테이너운송 서비스는 1995년 이후 한진과 대한통운이 연안항로에 전용선을 투입하여 운송서비스를 실시하였으나 연안컨테이너 물동량의 감소로 인하여 운항채산성이 악화되어 1999년 대한통운이, 2006년 5월에는 (주)한진이 연안컨테이너운송서비스를 중단하였다. 이로 인하여 국내외 선사들은 우리나라 항만간에 발생하는 환적화물의 처리 및 적시 운송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화주측면에서도 연안운송이 아닌 도로운송 등을 이용함으로써 물류비의 증가는 물론 운송지체에 따른 시간적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연안컨테이너운송체계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여 그 해결방안으로 몬테카를로 분석기법을 통해 컨테이너 연안운송분야에 외국적 외항선박이 투입되었을 경우의 경제적 효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패널회귀분석을 이용한 글로벌 선사의 재무요인 특성분석에 관한 연구 (An analysis of Financial Factors' Characteristic for Global Shipping Companies using Panel Regression Analysis)

  • 오재균;여기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4호
    • /
    • pp.65-73
    • /
    • 2019
  • 연구는 부채비율을 종속변수로 하고 ROE(자기자본 이익률), 매출액, 유동비율, 자본총계, 운임지수인 SCFI(Shanghai Containerized Freight Index)를 독립변수로 하여 패널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GLS 분석결과, 유동비율의 경우 부채비율에 부(-)의 영향을 끼쳤고, 매출액의 경우 부채비율에 정(+)의 영향을 끼쳤다. 또한 자본총계는 부채비율에 부(-)의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ROE의 경우 가설과는 다르게 부채비율에는 부(-)의 영향을 끼쳤고, SCFI지수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 글로벌 선사의 부채비율이 높아질수록 글로벌 선사가 규모의 경제를 달성해 매출이 증가한 것을 확인했다. 하지만 타인자본 투입을 통한 규모의 경제실현은 매출액 증가에는 도움은 되지만, 당기순이익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함을 확인하였다. 선사는 영업력을 확대하고 대형 컨테이너선을 확보하는 등의 화주 신뢰성을 확보하는 전략에 병행해야 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환율, 세계 경제 성장률, 제조업 생산지수 등을 고려한 분석이 필요하다.